정부 “올해 경제 1.8% 성장 전망”…잠재성장률 밑돌아
입력 2025.01.02 (10:40)
수정 2025.01.02 (10: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올해 우리나라 경제가 지난해보다 1.8%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오늘(2일) '2025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8%로 발표했습니다.
앞서 지난해 7월에는 2025년 경제 성장률을 2.2%로 전망했지만, 6개월 만에 성장률 전망치를 0.4%P 내려 잡은 겁니다.
성장률이 내려갈 걸로 본 배경으로는 수출 증가율이 둔화할 것이란 점을 꼽았습니다.
기재부는 "반도체 등 주력업종 경쟁 심화, 미국 통상정책 전환에 따른 하방 요인 등으로 수출 증가세 둔화가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통상정책 변화 가능성과 국내 정치 불안 등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를 반영한 것입니다.
기재부는 올해 내수 전망도 밝지 않다고 짚었습니다.
물가 상승률과 금리가 차츰 낮아지면서 소비와 설비투자가 완만하게 개선은 되겠지만, 건설투자는 당분간 부진이 지속될 거라고 기재부는 예상했습니다.
아울러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올해 예산이 국회에서 감액된 점도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김범석 기재부 1차관은 "과거에도 탄핵이나 정치적 이벤트를 고려했을 때 그 영향이 제한적이었다는 시각에서 2025년 전망에 반영했다"며 정치적 불확실성이 가져올 부정적 영향을 크게 보지는 않았다는 점을 시사했습니다.
기재부 전망대로 올해 우리 경제가 1.8% 성장하게 되면, 잠재성장률인 2.0%를 밑돌게 됩니다.
아직 4분기 성장률이 안 나와 집계가 덜 된 지난해 성장률은 2.1%가 될 거로 전망했습니다.
기재부 전망대로라면, 2023년 경제 성장률은 1.4%를 기록한 뒤 지난해 2%를 어렵게 넘겼지만, 다시 올해 1%대 성장을 기록하게 되는 셈입니다.
경제 성장률 통계가 집계되는 1954년 이후, 연간 경제 성장률이 2.0%를 밑돈 적은 1956년 (0.6%), 1980년(-1.6%), 1998년(-5.1%), 2009년(0.8%), 2020년(-0.7%), 2023년(1.4%) 등 총 6번이었습니다.
기재부는 최근 급등 중인 원·달러 환율 상황은 성장률 전망에 반영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소비자 물가는 지난해 2.3%보다 낮은 1.8% 상승할 거로 전망했는데, 국제유가 등이 안정될 것이란 가정에 따른 것입니다.
생산연령 인구가 줄고 경기가 부진한 영향으로 취업자 증가 폭도 지난해(17만 명)보다 줄어든 12만 명으로 예상됐습니다.
기획재정부는 오늘(2일) '2025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8%로 발표했습니다.
앞서 지난해 7월에는 2025년 경제 성장률을 2.2%로 전망했지만, 6개월 만에 성장률 전망치를 0.4%P 내려 잡은 겁니다.
성장률이 내려갈 걸로 본 배경으로는 수출 증가율이 둔화할 것이란 점을 꼽았습니다.
기재부는 "반도체 등 주력업종 경쟁 심화, 미국 통상정책 전환에 따른 하방 요인 등으로 수출 증가세 둔화가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통상정책 변화 가능성과 국내 정치 불안 등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를 반영한 것입니다.
기재부는 올해 내수 전망도 밝지 않다고 짚었습니다.
물가 상승률과 금리가 차츰 낮아지면서 소비와 설비투자가 완만하게 개선은 되겠지만, 건설투자는 당분간 부진이 지속될 거라고 기재부는 예상했습니다.
아울러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올해 예산이 국회에서 감액된 점도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김범석 기재부 1차관은 "과거에도 탄핵이나 정치적 이벤트를 고려했을 때 그 영향이 제한적이었다는 시각에서 2025년 전망에 반영했다"며 정치적 불확실성이 가져올 부정적 영향을 크게 보지는 않았다는 점을 시사했습니다.
기재부 전망대로 올해 우리 경제가 1.8% 성장하게 되면, 잠재성장률인 2.0%를 밑돌게 됩니다.
아직 4분기 성장률이 안 나와 집계가 덜 된 지난해 성장률은 2.1%가 될 거로 전망했습니다.
기재부 전망대로라면, 2023년 경제 성장률은 1.4%를 기록한 뒤 지난해 2%를 어렵게 넘겼지만, 다시 올해 1%대 성장을 기록하게 되는 셈입니다.
경제 성장률 통계가 집계되는 1954년 이후, 연간 경제 성장률이 2.0%를 밑돈 적은 1956년 (0.6%), 1980년(-1.6%), 1998년(-5.1%), 2009년(0.8%), 2020년(-0.7%), 2023년(1.4%) 등 총 6번이었습니다.
기재부는 최근 급등 중인 원·달러 환율 상황은 성장률 전망에 반영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소비자 물가는 지난해 2.3%보다 낮은 1.8% 상승할 거로 전망했는데, 국제유가 등이 안정될 것이란 가정에 따른 것입니다.
생산연령 인구가 줄고 경기가 부진한 영향으로 취업자 증가 폭도 지난해(17만 명)보다 줄어든 12만 명으로 예상됐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부 “올해 경제 1.8% 성장 전망”…잠재성장률 밑돌아
-
- 입력 2025-01-02 10:40:03
- 수정2025-01-02 10:42:04
정부가 올해 우리나라 경제가 지난해보다 1.8%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오늘(2일) '2025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8%로 발표했습니다.
앞서 지난해 7월에는 2025년 경제 성장률을 2.2%로 전망했지만, 6개월 만에 성장률 전망치를 0.4%P 내려 잡은 겁니다.
성장률이 내려갈 걸로 본 배경으로는 수출 증가율이 둔화할 것이란 점을 꼽았습니다.
기재부는 "반도체 등 주력업종 경쟁 심화, 미국 통상정책 전환에 따른 하방 요인 등으로 수출 증가세 둔화가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통상정책 변화 가능성과 국내 정치 불안 등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를 반영한 것입니다.
기재부는 올해 내수 전망도 밝지 않다고 짚었습니다.
물가 상승률과 금리가 차츰 낮아지면서 소비와 설비투자가 완만하게 개선은 되겠지만, 건설투자는 당분간 부진이 지속될 거라고 기재부는 예상했습니다.
아울러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올해 예산이 국회에서 감액된 점도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김범석 기재부 1차관은 "과거에도 탄핵이나 정치적 이벤트를 고려했을 때 그 영향이 제한적이었다는 시각에서 2025년 전망에 반영했다"며 정치적 불확실성이 가져올 부정적 영향을 크게 보지는 않았다는 점을 시사했습니다.
기재부 전망대로 올해 우리 경제가 1.8% 성장하게 되면, 잠재성장률인 2.0%를 밑돌게 됩니다.
아직 4분기 성장률이 안 나와 집계가 덜 된 지난해 성장률은 2.1%가 될 거로 전망했습니다.
기재부 전망대로라면, 2023년 경제 성장률은 1.4%를 기록한 뒤 지난해 2%를 어렵게 넘겼지만, 다시 올해 1%대 성장을 기록하게 되는 셈입니다.
경제 성장률 통계가 집계되는 1954년 이후, 연간 경제 성장률이 2.0%를 밑돈 적은 1956년 (0.6%), 1980년(-1.6%), 1998년(-5.1%), 2009년(0.8%), 2020년(-0.7%), 2023년(1.4%) 등 총 6번이었습니다.
기재부는 최근 급등 중인 원·달러 환율 상황은 성장률 전망에 반영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소비자 물가는 지난해 2.3%보다 낮은 1.8% 상승할 거로 전망했는데, 국제유가 등이 안정될 것이란 가정에 따른 것입니다.
생산연령 인구가 줄고 경기가 부진한 영향으로 취업자 증가 폭도 지난해(17만 명)보다 줄어든 12만 명으로 예상됐습니다.
기획재정부는 오늘(2일) '2025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8%로 발표했습니다.
앞서 지난해 7월에는 2025년 경제 성장률을 2.2%로 전망했지만, 6개월 만에 성장률 전망치를 0.4%P 내려 잡은 겁니다.
성장률이 내려갈 걸로 본 배경으로는 수출 증가율이 둔화할 것이란 점을 꼽았습니다.
기재부는 "반도체 등 주력업종 경쟁 심화, 미국 통상정책 전환에 따른 하방 요인 등으로 수출 증가세 둔화가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통상정책 변화 가능성과 국내 정치 불안 등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를 반영한 것입니다.
기재부는 올해 내수 전망도 밝지 않다고 짚었습니다.
물가 상승률과 금리가 차츰 낮아지면서 소비와 설비투자가 완만하게 개선은 되겠지만, 건설투자는 당분간 부진이 지속될 거라고 기재부는 예상했습니다.
아울러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올해 예산이 국회에서 감액된 점도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김범석 기재부 1차관은 "과거에도 탄핵이나 정치적 이벤트를 고려했을 때 그 영향이 제한적이었다는 시각에서 2025년 전망에 반영했다"며 정치적 불확실성이 가져올 부정적 영향을 크게 보지는 않았다는 점을 시사했습니다.
기재부 전망대로 올해 우리 경제가 1.8% 성장하게 되면, 잠재성장률인 2.0%를 밑돌게 됩니다.
아직 4분기 성장률이 안 나와 집계가 덜 된 지난해 성장률은 2.1%가 될 거로 전망했습니다.
기재부 전망대로라면, 2023년 경제 성장률은 1.4%를 기록한 뒤 지난해 2%를 어렵게 넘겼지만, 다시 올해 1%대 성장을 기록하게 되는 셈입니다.
경제 성장률 통계가 집계되는 1954년 이후, 연간 경제 성장률이 2.0%를 밑돈 적은 1956년 (0.6%), 1980년(-1.6%), 1998년(-5.1%), 2009년(0.8%), 2020년(-0.7%), 2023년(1.4%) 등 총 6번이었습니다.
기재부는 최근 급등 중인 원·달러 환율 상황은 성장률 전망에 반영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소비자 물가는 지난해 2.3%보다 낮은 1.8% 상승할 거로 전망했는데, 국제유가 등이 안정될 것이란 가정에 따른 것입니다.
생산연령 인구가 줄고 경기가 부진한 영향으로 취업자 증가 폭도 지난해(17만 명)보다 줄어든 12만 명으로 예상됐습니다.
-
-
김진화 기자 evolution@kbs.co.kr
김진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