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전남도청 복원사업 공사현장 화재 ‘아찔’

입력 2025.01.04 (21:35) 수정 2025.01.04 (21: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5.18민주화운동의 상징과도 같은 옛 전남도청 복원사업 공사현장에서 오늘 오전 불이 났습니다.

불길은 30분 만에 진화됐고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는데요.

역사적 의미가 큰 5·18 최후항쟁지가 불길에 휩싸이면서 가슴을 쓸어내려야 했습니다.

김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가림막이 둘러진 건물에서 검은 연기가 쉴새없이 뿜어져 나옵니다.

건물에서는 시뻘건 불길이 치솟고, 무언가 터지는 소리까지 납니다.

옛 전남도청 복원사업 공사현장 건물에서 불이 난 건 오전 8시 40분쯤입니다.

[이문환/목격자 : "(여객기 참사) 조문객 한 분이 오셔서 조문 중에 이상한 것을 느끼셔서 봤더니 검은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습니다."]

옛 전남도청 본관 뒤편의 도 경찰국 건물 3층에서 시작된 불은 내부 천장 등을 태우고 약 30분 만에 진화됐습니다.

현장에 있던 작업자 약 20명은 곧바로 대피해 인명피해로 이어지진 않았습니다.

건물 천장의 철골빔을 철거하는 과정에서 불길이 시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김성수/옛 전남도청 복원추진단 복원시설과장 : "산소용접기로 절단 작업을 하면서 불꽃이 튀어서 천장에 있던 단열재 우레탄폼에 (옮겨붙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5·18기념재단과 5월 단체들은 큰 화재로 번지지 않아 다행스럽다면서도 5·18 마지막 항쟁지이자 민주화 운동의 혼이 깃든 장소가 사라질 뻔 했다며 유감의 뜻을 밝혔습니다.

옛 전남도청 복원추진단은 복원공사를 약 한 달간 중단하고, 안전진단과 보강작업을 마친 뒤 공사를 재개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호입니다.

촬영기자:김선오/화면제공:시청자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옛 전남도청 복원사업 공사현장 화재 ‘아찔’
    • 입력 2025-01-04 21:35:46
    • 수정2025-01-04 21:54:00
    뉴스9(광주)
[앵커]

5.18민주화운동의 상징과도 같은 옛 전남도청 복원사업 공사현장에서 오늘 오전 불이 났습니다.

불길은 30분 만에 진화됐고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는데요.

역사적 의미가 큰 5·18 최후항쟁지가 불길에 휩싸이면서 가슴을 쓸어내려야 했습니다.

김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가림막이 둘러진 건물에서 검은 연기가 쉴새없이 뿜어져 나옵니다.

건물에서는 시뻘건 불길이 치솟고, 무언가 터지는 소리까지 납니다.

옛 전남도청 복원사업 공사현장 건물에서 불이 난 건 오전 8시 40분쯤입니다.

[이문환/목격자 : "(여객기 참사) 조문객 한 분이 오셔서 조문 중에 이상한 것을 느끼셔서 봤더니 검은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습니다."]

옛 전남도청 본관 뒤편의 도 경찰국 건물 3층에서 시작된 불은 내부 천장 등을 태우고 약 30분 만에 진화됐습니다.

현장에 있던 작업자 약 20명은 곧바로 대피해 인명피해로 이어지진 않았습니다.

건물 천장의 철골빔을 철거하는 과정에서 불길이 시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김성수/옛 전남도청 복원추진단 복원시설과장 : "산소용접기로 절단 작업을 하면서 불꽃이 튀어서 천장에 있던 단열재 우레탄폼에 (옮겨붙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5·18기념재단과 5월 단체들은 큰 화재로 번지지 않아 다행스럽다면서도 5·18 마지막 항쟁지이자 민주화 운동의 혼이 깃든 장소가 사라질 뻔 했다며 유감의 뜻을 밝혔습니다.

옛 전남도청 복원추진단은 복원공사를 약 한 달간 중단하고, 안전진단과 보강작업을 마친 뒤 공사를 재개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호입니다.

촬영기자:김선오/화면제공:시청자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