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EU, SNS 팩트체크 폐지한 메타 “심각한 윤리적 실수”

입력 2025.01.09 (17:45) 수정 2025.01.09 (18: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타가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인 페이스북 등 자사 플랫폼에서 팩트체크 기능을 없애기로 한 것에 대해 영국과 유럽연합이 비판하고 나섰습니다.

현지시각 8일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유럽연합(EU)과 영국의 입법부 인사들은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가 7일 미국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스레드에서 가짜뉴스를 판별하고 사실관계를 규명하는 제3자 팩트체크를 폐지한 결정을 비난했습니다.

유럽의회의 발레리 하이어 의원은 “유럽은 결코 조작과 허위 정보를 사회의 기준으로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면서 “메타는 미국에서 사실 확인을 포기함으로써 심각한 전략적, 윤리적 실수를 저지르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영국 하원의 치 온우라 과학기술위원장도 전문적인 팩트체크를 없애는 대신 사용자들이 게시물의 정확성을 감시하게 하겠다는 메타의 결정은 “우려스럽고 꽤 무섭다”며 “사람들은 가짜 정보에서 오는 해로운 영향에서 보호받을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결정으로 메타의 SNS에서는 트랜스젠더를 중성대명사 ‘it’(그것)으로 부르거나 성적 취향이나 성 정체성을 근거로 다른 사람을 정신질환자라고 부르는 것이 허용되는 등 그간 혐오 표현이나 가짜뉴스로 규제받던 콘텐츠들이 제재 없이 게시될 우려가 커졌습니다.

메타는 우선 미국에서만 팩트체크를 없앤다고 했지만, 메타 사용자가 전 세계적으로 30억 명 이상인 점을 고려하면 미국발 가짜뉴스가 온라인을 통해 전 세계로 퍼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저커버그는 팩트체크 폐지를 발표하면서 유럽을 ‘검열을 제도화하는 법률이 점점 늘어나는 곳’으로 언급했는데, 이에 대한 지적도 나왔습니다.

EU 집행위원회는 EU의 디지털서비스법을 겨냥한 것으로 보이는 저커버그의 발언을 반박하면서 “디지털서비스법에는 플랫폼에 합법적인 콘텐츠를 삭제하도록 강요하거나 요청하는 내용이 전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데미안 콜린스 전 영국 기술부 장관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영국의 ‘온라인안전법’과 같은 법률을 건드리려 할지 모른다면서 “(그것은) 영국이 미국의 디지털 규제 표준을 수용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무역 협상을 통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습니다.

다만 현지 법조계에서는 메타가 영국과 EU에서 팩트체크 폐지를 시행하면 엄격한 규제 조사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토마 레니에 EU 집행위 기술주권 담당 대변인도 “EU 디지털서비스법(DSA)에 따라 온라인상 체계적 위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새로운 정책이나 기능을 도입하려면 사전에 위험평가 분석을 실시해 그 결과를 집행위에 보고해야 한다”고 경고했습니다.

DSA는 온라인상 허위 정보와 불법·유해 콘텐츠 확산 방지 조처 의무를 부여하는 법으로, 위반 시 전 세계 매출의 최대 6%까지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영국·EU, SNS 팩트체크 폐지한 메타 “심각한 윤리적 실수”
    • 입력 2025-01-09 17:45:39
    • 수정2025-01-09 18:12:45
    국제
메타가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인 페이스북 등 자사 플랫폼에서 팩트체크 기능을 없애기로 한 것에 대해 영국과 유럽연합이 비판하고 나섰습니다.

현지시각 8일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유럽연합(EU)과 영국의 입법부 인사들은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가 7일 미국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스레드에서 가짜뉴스를 판별하고 사실관계를 규명하는 제3자 팩트체크를 폐지한 결정을 비난했습니다.

유럽의회의 발레리 하이어 의원은 “유럽은 결코 조작과 허위 정보를 사회의 기준으로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면서 “메타는 미국에서 사실 확인을 포기함으로써 심각한 전략적, 윤리적 실수를 저지르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영국 하원의 치 온우라 과학기술위원장도 전문적인 팩트체크를 없애는 대신 사용자들이 게시물의 정확성을 감시하게 하겠다는 메타의 결정은 “우려스럽고 꽤 무섭다”며 “사람들은 가짜 정보에서 오는 해로운 영향에서 보호받을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결정으로 메타의 SNS에서는 트랜스젠더를 중성대명사 ‘it’(그것)으로 부르거나 성적 취향이나 성 정체성을 근거로 다른 사람을 정신질환자라고 부르는 것이 허용되는 등 그간 혐오 표현이나 가짜뉴스로 규제받던 콘텐츠들이 제재 없이 게시될 우려가 커졌습니다.

메타는 우선 미국에서만 팩트체크를 없앤다고 했지만, 메타 사용자가 전 세계적으로 30억 명 이상인 점을 고려하면 미국발 가짜뉴스가 온라인을 통해 전 세계로 퍼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저커버그는 팩트체크 폐지를 발표하면서 유럽을 ‘검열을 제도화하는 법률이 점점 늘어나는 곳’으로 언급했는데, 이에 대한 지적도 나왔습니다.

EU 집행위원회는 EU의 디지털서비스법을 겨냥한 것으로 보이는 저커버그의 발언을 반박하면서 “디지털서비스법에는 플랫폼에 합법적인 콘텐츠를 삭제하도록 강요하거나 요청하는 내용이 전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데미안 콜린스 전 영국 기술부 장관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영국의 ‘온라인안전법’과 같은 법률을 건드리려 할지 모른다면서 “(그것은) 영국이 미국의 디지털 규제 표준을 수용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무역 협상을 통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습니다.

다만 현지 법조계에서는 메타가 영국과 EU에서 팩트체크 폐지를 시행하면 엄격한 규제 조사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토마 레니에 EU 집행위 기술주권 담당 대변인도 “EU 디지털서비스법(DSA)에 따라 온라인상 체계적 위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새로운 정책이나 기능을 도입하려면 사전에 위험평가 분석을 실시해 그 결과를 집행위에 보고해야 한다”고 경고했습니다.

DSA는 온라인상 허위 정보와 불법·유해 콘텐츠 확산 방지 조처 의무를 부여하는 법으로, 위반 시 전 세계 매출의 최대 6%까지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