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뿌리K] 에덴 프로젝트 ‘청신호’, 왕궁축산단지 ‘국가사업’ 도전장
입력 2025.01.09 (19:31)
수정 2025.01.09 (20: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 말, 익산 왕궁 축산단지를 찾은 영국의 에덴 프로젝트팀이 긍정적인 현장 답사 결과를 보내왔습니다.
익산시는 에덴 프로젝트를 대선 공약에 반영해 국가 재정사업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조경모 기자입니다.
[리포트]
두 달 전, 익산 왕궁 축산단지를 방문한 영국 에덴 프로젝트팀.
이들은 매입 절차를 마친 폐축사 등을 둘러보고 사업 추진 가능성을 살폈습니다.
[샘 스미스/영국 '에덴 프로젝트' 총괄책임자/지난해 11월 : "에덴 프로젝트의 근간은 지역 고유의 이야기입니다. 익산 왕궁 생태 복원 현장을 직접 보니 익산시와 에덴 프로젝트가 같은 지향점을 갖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최근 에덴 프로젝트팀이 익산시에 보내온 현장 답사 보고서.
왕궁 축산단지 생태 복원이, 자연과 인간의 공존 등을 추구하는 에덴 프로젝트의 방향성과 부합한다고 밝혔습니다.
왕궁 단지 전체 공간을 계절과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4개 테마로 구성하는 등 기본적인 밑그림도 제시했습니다.
익산시는 일단 에덴 프로젝트팀의 긍정적인 답변으로 추진 동력을 마련했다는 생각입니다.
2천억 원이 넘는 사업비는 국가 재정사업으로 확보할 생각입니다.
하지만 환경부가 이미 2천억 원 규모의 자연환경 복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추가 지원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 때문에 익산시는 탄핵 국면으로 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진 상황을 적극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정헌율/익산시장 : "최근에 (조기) 대선 (이야기가) 있고 그러니까 일단 그러면 대선 공약 사업에 넣어서 추진해보자."]
익산 왕궁지역이 생태관광명소로 변모하기 위한 첫발을 내딛은 가운데, 국가 사업 반영 여부가 최대 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촬영기자:정종배
[앵커]
네, 이번에는 익산시가 왕궁 축산단지에 추진하려는 에덴 프로젝트를 과연 현실화할 수 있을지, 자세하게 짚어봅니다.
익산시 녹색도시환경국 양경진 국장, 자리 함께했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익산시가 왕궁 축산단지의 생태 복원을 위해 영국의 에덴 프로젝트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구체적으로 에덴 프로젝트가 무엇이고 왕궁 축산단지에 도입을 추진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지, 먼저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앵커]
에덴 프로젝트 도입 추진은 이미 3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요,
현장 실사단이 다녀가면서 최근, 이와 관련된 답사보고서도 나왔다고요,
에덴 프로젝트 도입 가능성, 어떻게 보고 있던가요?
[앵커]
중국 청도에도 ‘뉴 에덴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고 환경부도 왕궁 축산단지에 생태습지와 생태숲 등을 조성할 계획인데요,
익산의 차별화된 에덴 프로젝트 어떻게 구상하고 계십니까?
[앵커]
익산시의 청사진대로 에덴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선 막대한 사업비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무려 천억 원 넘는 사업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환경부 사업과 별도로 진행되면서 과연 이 예산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지 우려의 목소리는 여전합니다.
어떻게 해결하실 건가요?
[앵커]
네, 익산 왕국축산단지가 에덴 프로젝트를 통해 생태 정원으로 탈바꿈할 수 있을지 시민들도 관심을 갖고 계실텐데요,
꼼꼼한 준비가 필요하겠습니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나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지난해 말, 익산 왕궁 축산단지를 찾은 영국의 에덴 프로젝트팀이 긍정적인 현장 답사 결과를 보내왔습니다.
익산시는 에덴 프로젝트를 대선 공약에 반영해 국가 재정사업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조경모 기자입니다.
[리포트]
두 달 전, 익산 왕궁 축산단지를 방문한 영국 에덴 프로젝트팀.
이들은 매입 절차를 마친 폐축사 등을 둘러보고 사업 추진 가능성을 살폈습니다.
[샘 스미스/영국 '에덴 프로젝트' 총괄책임자/지난해 11월 : "에덴 프로젝트의 근간은 지역 고유의 이야기입니다. 익산 왕궁 생태 복원 현장을 직접 보니 익산시와 에덴 프로젝트가 같은 지향점을 갖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최근 에덴 프로젝트팀이 익산시에 보내온 현장 답사 보고서.
왕궁 축산단지 생태 복원이, 자연과 인간의 공존 등을 추구하는 에덴 프로젝트의 방향성과 부합한다고 밝혔습니다.
왕궁 단지 전체 공간을 계절과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4개 테마로 구성하는 등 기본적인 밑그림도 제시했습니다.
익산시는 일단 에덴 프로젝트팀의 긍정적인 답변으로 추진 동력을 마련했다는 생각입니다.
2천억 원이 넘는 사업비는 국가 재정사업으로 확보할 생각입니다.
하지만 환경부가 이미 2천억 원 규모의 자연환경 복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추가 지원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 때문에 익산시는 탄핵 국면으로 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진 상황을 적극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정헌율/익산시장 : "최근에 (조기) 대선 (이야기가) 있고 그러니까 일단 그러면 대선 공약 사업에 넣어서 추진해보자."]
익산 왕궁지역이 생태관광명소로 변모하기 위한 첫발을 내딛은 가운데, 국가 사업 반영 여부가 최대 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촬영기자:정종배
[앵커]
네, 이번에는 익산시가 왕궁 축산단지에 추진하려는 에덴 프로젝트를 과연 현실화할 수 있을지, 자세하게 짚어봅니다.
익산시 녹색도시환경국 양경진 국장, 자리 함께했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익산시가 왕궁 축산단지의 생태 복원을 위해 영국의 에덴 프로젝트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구체적으로 에덴 프로젝트가 무엇이고 왕궁 축산단지에 도입을 추진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지, 먼저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앵커]
에덴 프로젝트 도입 추진은 이미 3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요,
현장 실사단이 다녀가면서 최근, 이와 관련된 답사보고서도 나왔다고요,
에덴 프로젝트 도입 가능성, 어떻게 보고 있던가요?
[앵커]
중국 청도에도 ‘뉴 에덴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고 환경부도 왕궁 축산단지에 생태습지와 생태숲 등을 조성할 계획인데요,
익산의 차별화된 에덴 프로젝트 어떻게 구상하고 계십니까?
[앵커]
익산시의 청사진대로 에덴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선 막대한 사업비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무려 천억 원 넘는 사업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환경부 사업과 별도로 진행되면서 과연 이 예산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지 우려의 목소리는 여전합니다.
어떻게 해결하실 건가요?
[앵커]
네, 익산 왕국축산단지가 에덴 프로젝트를 통해 생태 정원으로 탈바꿈할 수 있을지 시민들도 관심을 갖고 계실텐데요,
꼼꼼한 준비가 필요하겠습니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나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풀뿌리K] 에덴 프로젝트 ‘청신호’, 왕궁축산단지 ‘국가사업’ 도전장
-
- 입력 2025-01-09 19:31:31
- 수정2025-01-09 20:06:28
[앵커]
지난해 말, 익산 왕궁 축산단지를 찾은 영국의 에덴 프로젝트팀이 긍정적인 현장 답사 결과를 보내왔습니다.
익산시는 에덴 프로젝트를 대선 공약에 반영해 국가 재정사업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조경모 기자입니다.
[리포트]
두 달 전, 익산 왕궁 축산단지를 방문한 영국 에덴 프로젝트팀.
이들은 매입 절차를 마친 폐축사 등을 둘러보고 사업 추진 가능성을 살폈습니다.
[샘 스미스/영국 '에덴 프로젝트' 총괄책임자/지난해 11월 : "에덴 프로젝트의 근간은 지역 고유의 이야기입니다. 익산 왕궁 생태 복원 현장을 직접 보니 익산시와 에덴 프로젝트가 같은 지향점을 갖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최근 에덴 프로젝트팀이 익산시에 보내온 현장 답사 보고서.
왕궁 축산단지 생태 복원이, 자연과 인간의 공존 등을 추구하는 에덴 프로젝트의 방향성과 부합한다고 밝혔습니다.
왕궁 단지 전체 공간을 계절과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4개 테마로 구성하는 등 기본적인 밑그림도 제시했습니다.
익산시는 일단 에덴 프로젝트팀의 긍정적인 답변으로 추진 동력을 마련했다는 생각입니다.
2천억 원이 넘는 사업비는 국가 재정사업으로 확보할 생각입니다.
하지만 환경부가 이미 2천억 원 규모의 자연환경 복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추가 지원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 때문에 익산시는 탄핵 국면으로 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진 상황을 적극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정헌율/익산시장 : "최근에 (조기) 대선 (이야기가) 있고 그러니까 일단 그러면 대선 공약 사업에 넣어서 추진해보자."]
익산 왕궁지역이 생태관광명소로 변모하기 위한 첫발을 내딛은 가운데, 국가 사업 반영 여부가 최대 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촬영기자:정종배
[앵커]
네, 이번에는 익산시가 왕궁 축산단지에 추진하려는 에덴 프로젝트를 과연 현실화할 수 있을지, 자세하게 짚어봅니다.
익산시 녹색도시환경국 양경진 국장, 자리 함께했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익산시가 왕궁 축산단지의 생태 복원을 위해 영국의 에덴 프로젝트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구체적으로 에덴 프로젝트가 무엇이고 왕궁 축산단지에 도입을 추진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지, 먼저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앵커]
에덴 프로젝트 도입 추진은 이미 3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요,
현장 실사단이 다녀가면서 최근, 이와 관련된 답사보고서도 나왔다고요,
에덴 프로젝트 도입 가능성, 어떻게 보고 있던가요?
[앵커]
중국 청도에도 ‘뉴 에덴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고 환경부도 왕궁 축산단지에 생태습지와 생태숲 등을 조성할 계획인데요,
익산의 차별화된 에덴 프로젝트 어떻게 구상하고 계십니까?
[앵커]
익산시의 청사진대로 에덴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선 막대한 사업비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무려 천억 원 넘는 사업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환경부 사업과 별도로 진행되면서 과연 이 예산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지 우려의 목소리는 여전합니다.
어떻게 해결하실 건가요?
[앵커]
네, 익산 왕국축산단지가 에덴 프로젝트를 통해 생태 정원으로 탈바꿈할 수 있을지 시민들도 관심을 갖고 계실텐데요,
꼼꼼한 준비가 필요하겠습니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나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지난해 말, 익산 왕궁 축산단지를 찾은 영국의 에덴 프로젝트팀이 긍정적인 현장 답사 결과를 보내왔습니다.
익산시는 에덴 프로젝트를 대선 공약에 반영해 국가 재정사업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조경모 기자입니다.
[리포트]
두 달 전, 익산 왕궁 축산단지를 방문한 영국 에덴 프로젝트팀.
이들은 매입 절차를 마친 폐축사 등을 둘러보고 사업 추진 가능성을 살폈습니다.
[샘 스미스/영국 '에덴 프로젝트' 총괄책임자/지난해 11월 : "에덴 프로젝트의 근간은 지역 고유의 이야기입니다. 익산 왕궁 생태 복원 현장을 직접 보니 익산시와 에덴 프로젝트가 같은 지향점을 갖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최근 에덴 프로젝트팀이 익산시에 보내온 현장 답사 보고서.
왕궁 축산단지 생태 복원이, 자연과 인간의 공존 등을 추구하는 에덴 프로젝트의 방향성과 부합한다고 밝혔습니다.
왕궁 단지 전체 공간을 계절과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4개 테마로 구성하는 등 기본적인 밑그림도 제시했습니다.
익산시는 일단 에덴 프로젝트팀의 긍정적인 답변으로 추진 동력을 마련했다는 생각입니다.
2천억 원이 넘는 사업비는 국가 재정사업으로 확보할 생각입니다.
하지만 환경부가 이미 2천억 원 규모의 자연환경 복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추가 지원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 때문에 익산시는 탄핵 국면으로 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진 상황을 적극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정헌율/익산시장 : "최근에 (조기) 대선 (이야기가) 있고 그러니까 일단 그러면 대선 공약 사업에 넣어서 추진해보자."]
익산 왕궁지역이 생태관광명소로 변모하기 위한 첫발을 내딛은 가운데, 국가 사업 반영 여부가 최대 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촬영기자:정종배
[앵커]
네, 이번에는 익산시가 왕궁 축산단지에 추진하려는 에덴 프로젝트를 과연 현실화할 수 있을지, 자세하게 짚어봅니다.
익산시 녹색도시환경국 양경진 국장, 자리 함께했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익산시가 왕궁 축산단지의 생태 복원을 위해 영국의 에덴 프로젝트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구체적으로 에덴 프로젝트가 무엇이고 왕궁 축산단지에 도입을 추진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지, 먼저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앵커]
에덴 프로젝트 도입 추진은 이미 3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요,
현장 실사단이 다녀가면서 최근, 이와 관련된 답사보고서도 나왔다고요,
에덴 프로젝트 도입 가능성, 어떻게 보고 있던가요?
[앵커]
중국 청도에도 ‘뉴 에덴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고 환경부도 왕궁 축산단지에 생태습지와 생태숲 등을 조성할 계획인데요,
익산의 차별화된 에덴 프로젝트 어떻게 구상하고 계십니까?
[앵커]
익산시의 청사진대로 에덴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선 막대한 사업비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무려 천억 원 넘는 사업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환경부 사업과 별도로 진행되면서 과연 이 예산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지 우려의 목소리는 여전합니다.
어떻게 해결하실 건가요?
[앵커]
네, 익산 왕국축산단지가 에덴 프로젝트를 통해 생태 정원으로 탈바꿈할 수 있을지 시민들도 관심을 갖고 계실텐데요,
꼼꼼한 준비가 필요하겠습니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나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
-
조경모 기자 jkm@kbs.co.kr
조경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