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자지구 휴전합의 임박…“마지막 단계 거쳐 이르면 14일 발표”
입력 2025.01.14 (20:45)
수정 2025.01.14 (21: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가자지구 휴전 합의가 이르면 현지시각 14일 마무리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AFP 통신은 14일 카타르 도하에서 이스라엘 정보기관장, 미국 행정부의 특사, 카타르 총리 등이 참여한 가운데 열리고 있는 휴전 회담이 최종 단계에 돌입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해당 소식통은 “오늘 마지막 회의가 열릴 것으로 보인다”며 “협상의 세부 조건을 마무리하는 것이 목표가 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카타르 외무부는 합의안이 이스라엘과 하마스 양측에 전달돼 구체적 내용이 최종 조율 중이라며 “주요 입장차는 해소됐다”고 언급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이스라엘과 아랍 관리들을 인용해 협상 타결 소식이 이르면 14일 발표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WSJ은 협상이 막판에 결렬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도 “2023년 말 이후 휴전에 가장 근접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예상대로 휴전이 성사된다면 2023년 10월 7일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공격하며 전쟁이 시작된 지 465일만입니다.
양측의 일시 휴전이 일주일만인 2023년 12월 1일 파기된 때부터 계산하면 410일 만에 포성이 멎게 되는 셈입니다.
현재 하마스와 이스라엘이 논의 중인 휴전안은 인질·수감자 교환을 핵심 조건으로 하는 단계적 교전 중단과 종전 가능성 모색입니다.
AP 통신에 따르면 첫 단계 42일간 일시적으로 교전을 멈춘 상태에서 하마스가 이스라엘 여성 군인 5명을 포함한 인질 33명을 석방하고, 이에 맞춰 이스라엘도 자국에 있는 팔레스타인 수감자 수백 명을 풀어주게 됩니다.
또 이 기간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의 인구 밀집 지역에서 철수하는 가운데 휴전 2단계로 이어질 세부 사항을 하마스와 계속 논의하게 됩니다.
이를 두고 AP는 “휴전 1단계 후 이스라엘군이 군사작전을 재개할 가능성을 남겨두는 부분”이라고 짚었습니다.
임기가 일주일도 남지 않은 바이든 대통령은 13일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전쟁에서 내가 몇 달 전 구체화한 제안이 마침내 현실화할 조짐을 보인다”고 기대감을 보였습니다.
같은 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도 “우리는 타결에 매우 가깝다”며 “어쩌면 이번 주 막바지에 (협상 타결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오는 20일 취임하는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해 10월 대선 승리 전후로 분쟁 종식을 압박해왔습니다.
협상 당사자인 하마스 수장 무함마드 신와르는 지난 밤사이 합의 조건에 원칙적으로 동의한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WSJ가 아랍 관리들을 인용해 전했습니다.
양측이 휴전에 합의해도 이스라엘 내각이 이를 추인해야만 발효될 수 있는데, 이스라엘 연립정부 내 극우파 각료들이 반대하고 있어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설득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마스는 2023년 10월 7일 이스라엘 남부를 기습하며 약 1천200명을 살해하고 251명을 납치했습니다.
인질 94명이 아직 가자지구에 억류 중인 상태로 이스라엘군은 이 가운데 34명은 이미 사망한 상태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하마스가 통치하는 가자지구 보건부는 전쟁 이후 현재까지 팔레스타인 주민 4만 6천645명이 숨지고 11만 12명이 다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스라엘군은 가자지구에서 무장대원 1만 7천 명 이상을 살해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AFP 통신은 14일 카타르 도하에서 이스라엘 정보기관장, 미국 행정부의 특사, 카타르 총리 등이 참여한 가운데 열리고 있는 휴전 회담이 최종 단계에 돌입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해당 소식통은 “오늘 마지막 회의가 열릴 것으로 보인다”며 “협상의 세부 조건을 마무리하는 것이 목표가 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카타르 외무부는 합의안이 이스라엘과 하마스 양측에 전달돼 구체적 내용이 최종 조율 중이라며 “주요 입장차는 해소됐다”고 언급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이스라엘과 아랍 관리들을 인용해 협상 타결 소식이 이르면 14일 발표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WSJ은 협상이 막판에 결렬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도 “2023년 말 이후 휴전에 가장 근접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예상대로 휴전이 성사된다면 2023년 10월 7일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공격하며 전쟁이 시작된 지 465일만입니다.
양측의 일시 휴전이 일주일만인 2023년 12월 1일 파기된 때부터 계산하면 410일 만에 포성이 멎게 되는 셈입니다.
현재 하마스와 이스라엘이 논의 중인 휴전안은 인질·수감자 교환을 핵심 조건으로 하는 단계적 교전 중단과 종전 가능성 모색입니다.
AP 통신에 따르면 첫 단계 42일간 일시적으로 교전을 멈춘 상태에서 하마스가 이스라엘 여성 군인 5명을 포함한 인질 33명을 석방하고, 이에 맞춰 이스라엘도 자국에 있는 팔레스타인 수감자 수백 명을 풀어주게 됩니다.
또 이 기간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의 인구 밀집 지역에서 철수하는 가운데 휴전 2단계로 이어질 세부 사항을 하마스와 계속 논의하게 됩니다.
이를 두고 AP는 “휴전 1단계 후 이스라엘군이 군사작전을 재개할 가능성을 남겨두는 부분”이라고 짚었습니다.
임기가 일주일도 남지 않은 바이든 대통령은 13일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전쟁에서 내가 몇 달 전 구체화한 제안이 마침내 현실화할 조짐을 보인다”고 기대감을 보였습니다.
같은 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도 “우리는 타결에 매우 가깝다”며 “어쩌면 이번 주 막바지에 (협상 타결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오는 20일 취임하는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해 10월 대선 승리 전후로 분쟁 종식을 압박해왔습니다.
협상 당사자인 하마스 수장 무함마드 신와르는 지난 밤사이 합의 조건에 원칙적으로 동의한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WSJ가 아랍 관리들을 인용해 전했습니다.
양측이 휴전에 합의해도 이스라엘 내각이 이를 추인해야만 발효될 수 있는데, 이스라엘 연립정부 내 극우파 각료들이 반대하고 있어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설득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마스는 2023년 10월 7일 이스라엘 남부를 기습하며 약 1천200명을 살해하고 251명을 납치했습니다.
인질 94명이 아직 가자지구에 억류 중인 상태로 이스라엘군은 이 가운데 34명은 이미 사망한 상태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하마스가 통치하는 가자지구 보건부는 전쟁 이후 현재까지 팔레스타인 주민 4만 6천645명이 숨지고 11만 12명이 다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스라엘군은 가자지구에서 무장대원 1만 7천 명 이상을 살해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자지구 휴전합의 임박…“마지막 단계 거쳐 이르면 14일 발표”
-
- 입력 2025-01-14 20:45:33
- 수정2025-01-14 21:16:01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가자지구 휴전 합의가 이르면 현지시각 14일 마무리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AFP 통신은 14일 카타르 도하에서 이스라엘 정보기관장, 미국 행정부의 특사, 카타르 총리 등이 참여한 가운데 열리고 있는 휴전 회담이 최종 단계에 돌입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해당 소식통은 “오늘 마지막 회의가 열릴 것으로 보인다”며 “협상의 세부 조건을 마무리하는 것이 목표가 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카타르 외무부는 합의안이 이스라엘과 하마스 양측에 전달돼 구체적 내용이 최종 조율 중이라며 “주요 입장차는 해소됐다”고 언급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이스라엘과 아랍 관리들을 인용해 협상 타결 소식이 이르면 14일 발표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WSJ은 협상이 막판에 결렬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도 “2023년 말 이후 휴전에 가장 근접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예상대로 휴전이 성사된다면 2023년 10월 7일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공격하며 전쟁이 시작된 지 465일만입니다.
양측의 일시 휴전이 일주일만인 2023년 12월 1일 파기된 때부터 계산하면 410일 만에 포성이 멎게 되는 셈입니다.
현재 하마스와 이스라엘이 논의 중인 휴전안은 인질·수감자 교환을 핵심 조건으로 하는 단계적 교전 중단과 종전 가능성 모색입니다.
AP 통신에 따르면 첫 단계 42일간 일시적으로 교전을 멈춘 상태에서 하마스가 이스라엘 여성 군인 5명을 포함한 인질 33명을 석방하고, 이에 맞춰 이스라엘도 자국에 있는 팔레스타인 수감자 수백 명을 풀어주게 됩니다.
또 이 기간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의 인구 밀집 지역에서 철수하는 가운데 휴전 2단계로 이어질 세부 사항을 하마스와 계속 논의하게 됩니다.
이를 두고 AP는 “휴전 1단계 후 이스라엘군이 군사작전을 재개할 가능성을 남겨두는 부분”이라고 짚었습니다.
임기가 일주일도 남지 않은 바이든 대통령은 13일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전쟁에서 내가 몇 달 전 구체화한 제안이 마침내 현실화할 조짐을 보인다”고 기대감을 보였습니다.
같은 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도 “우리는 타결에 매우 가깝다”며 “어쩌면 이번 주 막바지에 (협상 타결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오는 20일 취임하는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해 10월 대선 승리 전후로 분쟁 종식을 압박해왔습니다.
협상 당사자인 하마스 수장 무함마드 신와르는 지난 밤사이 합의 조건에 원칙적으로 동의한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WSJ가 아랍 관리들을 인용해 전했습니다.
양측이 휴전에 합의해도 이스라엘 내각이 이를 추인해야만 발효될 수 있는데, 이스라엘 연립정부 내 극우파 각료들이 반대하고 있어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설득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마스는 2023년 10월 7일 이스라엘 남부를 기습하며 약 1천200명을 살해하고 251명을 납치했습니다.
인질 94명이 아직 가자지구에 억류 중인 상태로 이스라엘군은 이 가운데 34명은 이미 사망한 상태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하마스가 통치하는 가자지구 보건부는 전쟁 이후 현재까지 팔레스타인 주민 4만 6천645명이 숨지고 11만 12명이 다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스라엘군은 가자지구에서 무장대원 1만 7천 명 이상을 살해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AFP 통신은 14일 카타르 도하에서 이스라엘 정보기관장, 미국 행정부의 특사, 카타르 총리 등이 참여한 가운데 열리고 있는 휴전 회담이 최종 단계에 돌입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해당 소식통은 “오늘 마지막 회의가 열릴 것으로 보인다”며 “협상의 세부 조건을 마무리하는 것이 목표가 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카타르 외무부는 합의안이 이스라엘과 하마스 양측에 전달돼 구체적 내용이 최종 조율 중이라며 “주요 입장차는 해소됐다”고 언급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이스라엘과 아랍 관리들을 인용해 협상 타결 소식이 이르면 14일 발표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WSJ은 협상이 막판에 결렬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도 “2023년 말 이후 휴전에 가장 근접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예상대로 휴전이 성사된다면 2023년 10월 7일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공격하며 전쟁이 시작된 지 465일만입니다.
양측의 일시 휴전이 일주일만인 2023년 12월 1일 파기된 때부터 계산하면 410일 만에 포성이 멎게 되는 셈입니다.
현재 하마스와 이스라엘이 논의 중인 휴전안은 인질·수감자 교환을 핵심 조건으로 하는 단계적 교전 중단과 종전 가능성 모색입니다.
AP 통신에 따르면 첫 단계 42일간 일시적으로 교전을 멈춘 상태에서 하마스가 이스라엘 여성 군인 5명을 포함한 인질 33명을 석방하고, 이에 맞춰 이스라엘도 자국에 있는 팔레스타인 수감자 수백 명을 풀어주게 됩니다.
또 이 기간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의 인구 밀집 지역에서 철수하는 가운데 휴전 2단계로 이어질 세부 사항을 하마스와 계속 논의하게 됩니다.
이를 두고 AP는 “휴전 1단계 후 이스라엘군이 군사작전을 재개할 가능성을 남겨두는 부분”이라고 짚었습니다.
임기가 일주일도 남지 않은 바이든 대통령은 13일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전쟁에서 내가 몇 달 전 구체화한 제안이 마침내 현실화할 조짐을 보인다”고 기대감을 보였습니다.
같은 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도 “우리는 타결에 매우 가깝다”며 “어쩌면 이번 주 막바지에 (협상 타결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오는 20일 취임하는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해 10월 대선 승리 전후로 분쟁 종식을 압박해왔습니다.
협상 당사자인 하마스 수장 무함마드 신와르는 지난 밤사이 합의 조건에 원칙적으로 동의한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WSJ가 아랍 관리들을 인용해 전했습니다.
양측이 휴전에 합의해도 이스라엘 내각이 이를 추인해야만 발효될 수 있는데, 이스라엘 연립정부 내 극우파 각료들이 반대하고 있어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설득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마스는 2023년 10월 7일 이스라엘 남부를 기습하며 약 1천200명을 살해하고 251명을 납치했습니다.
인질 94명이 아직 가자지구에 억류 중인 상태로 이스라엘군은 이 가운데 34명은 이미 사망한 상태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하마스가 통치하는 가자지구 보건부는 전쟁 이후 현재까지 팔레스타인 주민 4만 6천645명이 숨지고 11만 12명이 다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스라엘군은 가자지구에서 무장대원 1만 7천 명 이상을 살해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
홍진아 기자 gina@kbs.co.kr
홍진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