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차 한 대에 1.6명 이용…서해선 유령역 현실화

입력 2025.01.17 (08:38) 수정 2025.01.17 (08: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충남 홍성과 경기도 화성을 잇는 서해선 복선전철이 개통한 지 두 달이 지났습니다.

개통 당시에도 단절 구간이 생겨 이용률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는데요.

실제로 열차 한 대당 이용객이 1.6명에 그치는 등 일부 역이 유령역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성용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열차가 승강장에 들어왔지만, 타고 내리는 사람은 단 3명, 평일 오전이라고 하지만, 출퇴근 시간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서해선 복선전철 개통에 맞춰 신설된 이 역에서 열차를 타거나 내린 승객은 개통 첫 달인 11월에 1,523명, 지난달 696명으로 집계됐습니다.

하루 14차례 열차가 오가는 것을 감안하면 지난달에는 한 열차에 1.6명이 타고 내린 셈입니다.

인근의 다른 신설역 역시 지난달 열차 한 대에 평균5.8명이 이용했습니다.

이렇다 보니 승객 편의를 위해 역에 투입된 셔틀버스도 텅 빈 채로 운행되기 일쑤입니다.

[정재환/합덕역 셔틀버스 기사 : "운행할 때 한 서너 차례는 빈 차로 거의 다닐 때가 많습니다. 타면 한 서너 명, 이 정도밖에 안 타요."]

승객들은 가장 불편한 점으로 구간 단절을 꼽습니다.

수도권 일부 구간 개통이 지연되면서 경기도 고양까지 이어지는 전 구간 개통은 내년 3월로 미뤄진 상태입니다.

생활권과 동떨어진 역 위치 역시 지적됩니다.

[서해선 복선전철 승객 : "(전에) 합덕역으로 한번 가봤어요. 그런데 한 시간 남짓. (버스를) 두 번 타야 하니까. 개인차가 없으면 여기 이용하기 어렵다는 거죠."]

여기에 서해선과 경부선 철도 연결 사업도 빨라야 2031년은 돼야 가능해 당장 이용 수요를 늘릴 뾰족한 수는 없어 보입니다.

서해안의 새 철도시대를 열겠다며 4조 원이 넘는 예산이 투입된 서해선 복선전철.

최소한 단절구간은 이어져야 개통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성용희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열차 한 대에 1.6명 이용…서해선 유령역 현실화
    • 입력 2025-01-17 08:38:26
    • 수정2025-01-17 08:52:31
    뉴스광장(대전)
[앵커]

충남 홍성과 경기도 화성을 잇는 서해선 복선전철이 개통한 지 두 달이 지났습니다.

개통 당시에도 단절 구간이 생겨 이용률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는데요.

실제로 열차 한 대당 이용객이 1.6명에 그치는 등 일부 역이 유령역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성용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열차가 승강장에 들어왔지만, 타고 내리는 사람은 단 3명, 평일 오전이라고 하지만, 출퇴근 시간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서해선 복선전철 개통에 맞춰 신설된 이 역에서 열차를 타거나 내린 승객은 개통 첫 달인 11월에 1,523명, 지난달 696명으로 집계됐습니다.

하루 14차례 열차가 오가는 것을 감안하면 지난달에는 한 열차에 1.6명이 타고 내린 셈입니다.

인근의 다른 신설역 역시 지난달 열차 한 대에 평균5.8명이 이용했습니다.

이렇다 보니 승객 편의를 위해 역에 투입된 셔틀버스도 텅 빈 채로 운행되기 일쑤입니다.

[정재환/합덕역 셔틀버스 기사 : "운행할 때 한 서너 차례는 빈 차로 거의 다닐 때가 많습니다. 타면 한 서너 명, 이 정도밖에 안 타요."]

승객들은 가장 불편한 점으로 구간 단절을 꼽습니다.

수도권 일부 구간 개통이 지연되면서 경기도 고양까지 이어지는 전 구간 개통은 내년 3월로 미뤄진 상태입니다.

생활권과 동떨어진 역 위치 역시 지적됩니다.

[서해선 복선전철 승객 : "(전에) 합덕역으로 한번 가봤어요. 그런데 한 시간 남짓. (버스를) 두 번 타야 하니까. 개인차가 없으면 여기 이용하기 어렵다는 거죠."]

여기에 서해선과 경부선 철도 연결 사업도 빨라야 2031년은 돼야 가능해 당장 이용 수요를 늘릴 뾰족한 수는 없어 보입니다.

서해안의 새 철도시대를 열겠다며 4조 원이 넘는 예산이 투입된 서해선 복선전철.

최소한 단절구간은 이어져야 개통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성용희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