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부터 IoT까지”…산재 줄이는 스마트 기술
입력 2025.02.02 (21:24)
수정 2025.02.02 (21: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 건설 현장의 안전을 지키는데 스마트 기술이 첨병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폭파 현장에 사족 보행 로봇을 투입해 위험을 미리 파악합니다.
콘크리트를 굳히는 데엔 사물인터넷이 동원됐습니다.
이승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구멍 뚫린 암반에 빼곡하게 폭약과 기폭장치를 심었습니다.
서울 인근의 한 터널 공사장입니다.
잠시 뒤 사이렌이 울리고.
["3, 2, 1, 발파!"]
폭음과 함께 강한 진동이 밀려옵니다.
이제부터 로봇이 나설 차례, 매캐한 연기 속으로 걸어 들어간 로봇이 폭발하지 않은 폭약이 남아있는지, 추가 붕괴 가능성은 없는지 확인합니다.
사족보행 로봇은 울퉁불퉁한 지형은 물론 계단도 오르내릴 수 있습니다.
[정남철/책임연구원/현대건설 기술연구원 : "건설 현장은 위험한 곳이 많은데요. 이 로봇 개를 먼저 투입함으로써 안전 재해를 줄일 수 있는 그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건설 현장에서 로봇 활용이 걸음마를 뗐다면 사물인터넷 기술 IoT는 이미 활발하게 쓰이고 있습니다.
콘크리트를 붓고 센서를 설치합니다.
이 센서를 통해 콘크리트 샘플 보관 장소의 온도 등을 현장과 똑같이 유지하면 콘크리트의 상태를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가 잘 굳지 않으면 건물 붕괴 위험이 높아지는데 사물인터넷, IoT를 활용해 이 위험을 줄이는 겁니다.
무거운 콘크리트 샘플을 옮기는 작업도 최소화할 수 있어 사고 위험도 낮출 수 있습니다.
[이의배/박사/대우건설 기술연구원 : "중량물에 대한 원거리 이동 자체를 줄일 수 있고 그만큼 작업자에 대한 안전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건설업의 산업재해 발생률과 사망률은 전체 산업 평균의 2배 수준입니다.
로봇부터 사물인터넷까지 스마트 기술이 산업현장의 위험 요소를 줄일 수 있다면 적극적 도입을 고민해야 할 시점입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촬영기자:권순두 허수곤/영상편집:한찬의
우리 건설 현장의 안전을 지키는데 스마트 기술이 첨병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폭파 현장에 사족 보행 로봇을 투입해 위험을 미리 파악합니다.
콘크리트를 굳히는 데엔 사물인터넷이 동원됐습니다.
이승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구멍 뚫린 암반에 빼곡하게 폭약과 기폭장치를 심었습니다.
서울 인근의 한 터널 공사장입니다.
잠시 뒤 사이렌이 울리고.
["3, 2, 1, 발파!"]
폭음과 함께 강한 진동이 밀려옵니다.
이제부터 로봇이 나설 차례, 매캐한 연기 속으로 걸어 들어간 로봇이 폭발하지 않은 폭약이 남아있는지, 추가 붕괴 가능성은 없는지 확인합니다.
사족보행 로봇은 울퉁불퉁한 지형은 물론 계단도 오르내릴 수 있습니다.
[정남철/책임연구원/현대건설 기술연구원 : "건설 현장은 위험한 곳이 많은데요. 이 로봇 개를 먼저 투입함으로써 안전 재해를 줄일 수 있는 그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건설 현장에서 로봇 활용이 걸음마를 뗐다면 사물인터넷 기술 IoT는 이미 활발하게 쓰이고 있습니다.
콘크리트를 붓고 센서를 설치합니다.
이 센서를 통해 콘크리트 샘플 보관 장소의 온도 등을 현장과 똑같이 유지하면 콘크리트의 상태를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가 잘 굳지 않으면 건물 붕괴 위험이 높아지는데 사물인터넷, IoT를 활용해 이 위험을 줄이는 겁니다.
무거운 콘크리트 샘플을 옮기는 작업도 최소화할 수 있어 사고 위험도 낮출 수 있습니다.
[이의배/박사/대우건설 기술연구원 : "중량물에 대한 원거리 이동 자체를 줄일 수 있고 그만큼 작업자에 대한 안전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건설업의 산업재해 발생률과 사망률은 전체 산업 평균의 2배 수준입니다.
로봇부터 사물인터넷까지 스마트 기술이 산업현장의 위험 요소를 줄일 수 있다면 적극적 도입을 고민해야 할 시점입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촬영기자:권순두 허수곤/영상편집:한찬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로봇부터 IoT까지”…산재 줄이는 스마트 기술
-
- 입력 2025-02-02 21:24:23
- 수정2025-02-02 21:42:45
[앵커]
우리 건설 현장의 안전을 지키는데 스마트 기술이 첨병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폭파 현장에 사족 보행 로봇을 투입해 위험을 미리 파악합니다.
콘크리트를 굳히는 데엔 사물인터넷이 동원됐습니다.
이승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구멍 뚫린 암반에 빼곡하게 폭약과 기폭장치를 심었습니다.
서울 인근의 한 터널 공사장입니다.
잠시 뒤 사이렌이 울리고.
["3, 2, 1, 발파!"]
폭음과 함께 강한 진동이 밀려옵니다.
이제부터 로봇이 나설 차례, 매캐한 연기 속으로 걸어 들어간 로봇이 폭발하지 않은 폭약이 남아있는지, 추가 붕괴 가능성은 없는지 확인합니다.
사족보행 로봇은 울퉁불퉁한 지형은 물론 계단도 오르내릴 수 있습니다.
[정남철/책임연구원/현대건설 기술연구원 : "건설 현장은 위험한 곳이 많은데요. 이 로봇 개를 먼저 투입함으로써 안전 재해를 줄일 수 있는 그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건설 현장에서 로봇 활용이 걸음마를 뗐다면 사물인터넷 기술 IoT는 이미 활발하게 쓰이고 있습니다.
콘크리트를 붓고 센서를 설치합니다.
이 센서를 통해 콘크리트 샘플 보관 장소의 온도 등을 현장과 똑같이 유지하면 콘크리트의 상태를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가 잘 굳지 않으면 건물 붕괴 위험이 높아지는데 사물인터넷, IoT를 활용해 이 위험을 줄이는 겁니다.
무거운 콘크리트 샘플을 옮기는 작업도 최소화할 수 있어 사고 위험도 낮출 수 있습니다.
[이의배/박사/대우건설 기술연구원 : "중량물에 대한 원거리 이동 자체를 줄일 수 있고 그만큼 작업자에 대한 안전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건설업의 산업재해 발생률과 사망률은 전체 산업 평균의 2배 수준입니다.
로봇부터 사물인터넷까지 스마트 기술이 산업현장의 위험 요소를 줄일 수 있다면 적극적 도입을 고민해야 할 시점입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촬영기자:권순두 허수곤/영상편집:한찬의
우리 건설 현장의 안전을 지키는데 스마트 기술이 첨병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폭파 현장에 사족 보행 로봇을 투입해 위험을 미리 파악합니다.
콘크리트를 굳히는 데엔 사물인터넷이 동원됐습니다.
이승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구멍 뚫린 암반에 빼곡하게 폭약과 기폭장치를 심었습니다.
서울 인근의 한 터널 공사장입니다.
잠시 뒤 사이렌이 울리고.
["3, 2, 1, 발파!"]
폭음과 함께 강한 진동이 밀려옵니다.
이제부터 로봇이 나설 차례, 매캐한 연기 속으로 걸어 들어간 로봇이 폭발하지 않은 폭약이 남아있는지, 추가 붕괴 가능성은 없는지 확인합니다.
사족보행 로봇은 울퉁불퉁한 지형은 물론 계단도 오르내릴 수 있습니다.
[정남철/책임연구원/현대건설 기술연구원 : "건설 현장은 위험한 곳이 많은데요. 이 로봇 개를 먼저 투입함으로써 안전 재해를 줄일 수 있는 그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건설 현장에서 로봇 활용이 걸음마를 뗐다면 사물인터넷 기술 IoT는 이미 활발하게 쓰이고 있습니다.
콘크리트를 붓고 센서를 설치합니다.
이 센서를 통해 콘크리트 샘플 보관 장소의 온도 등을 현장과 똑같이 유지하면 콘크리트의 상태를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가 잘 굳지 않으면 건물 붕괴 위험이 높아지는데 사물인터넷, IoT를 활용해 이 위험을 줄이는 겁니다.
무거운 콘크리트 샘플을 옮기는 작업도 최소화할 수 있어 사고 위험도 낮출 수 있습니다.
[이의배/박사/대우건설 기술연구원 : "중량물에 대한 원거리 이동 자체를 줄일 수 있고 그만큼 작업자에 대한 안전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건설업의 산업재해 발생률과 사망률은 전체 산업 평균의 2배 수준입니다.
로봇부터 사물인터넷까지 스마트 기술이 산업현장의 위험 요소를 줄일 수 있다면 적극적 도입을 고민해야 할 시점입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촬영기자:권순두 허수곤/영상편집:한찬의
-
-
이승철 기자 bullseye@kbs.co.kr
이승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