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의계약 ‘쏠림’…총량제는 ‘슬그머니 폐지’

입력 2025.02.03 (07:58) 수정 2025.02.03 (08: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관공서 수의계약과 관련해, 특정 업체의 '쏠림'을 막기 위한 총량제를 도입하는 곳이 늘고 있습니다.

투명성과 공정성 확보가 목적인데요.

4년 전, 수의계약 총량제를 도입한 창원시는 지난해 이 제도를 슬그머니 폐지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보도에 손원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설 환경개선 공사나 공원 조경수 정비, 시설 방수공사 등 2천만 원 이하는 수의계약 대상입니다.

최근 창원에선 수의계약 일감이 특정 업체에 몰리고 있다는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

전문건설협회 창원시지회 소속 업체는 8백여 개.

한해 대여섯 건 따내기도 어려운 일감을 토목과 전기, 조경 등 분야별로 소수 업체가 수십 건씩 가져간다는 겁니다.

[전문건설협회 전 관계자/음성변조 : "(공무원) 인맥을 찾아서 이렇게 1년에 10건 끌어오기도 쉽지 않습니다. 이거는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다들 그렇게 이야기합니다."]

창원시가 공개한 수의계약 현황을 분석했더니, 2023년과 지난해 2년 연속 수의계약을 20건 이상 수주한 업체는 69곳, 2020년과 2021년과 비교해 27%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업계에서는 수의계약 '쏠림'이 최근 2년 사이 심해졌다고 말합니다.

[창원시 A 업체 대표/음성변조 : "일이 없다 보니까 한 푼이라도 벌어야 하니까 이걸 쳐다보게 되는 겁니다. 수의계약이라는 거를. 너무 경기가 안 좋다 보니까 이거라도 해야 되겠다는 그런 절박함이거든요."]

창원시는 수의계약 쏠림 현상을 막기 위해 2022년 도입한 수의계약 총량제를 지난해 슬그머니 폐기했습니다.

수의계약이 골고루 발주되게 한 업체가 받는 한도 금액을 정한 건데, 도입 이듬해 총량 금액 재조정 등 운영 개선이 한 차례 있었지만, 2년 만에 운영 자체를 하지 않기로 한 것입니다.

구청과 사업소, 읍·면·동 사무소 등 창원시 발주 부서만 74곳이어서 일일이 관리하는 게 어렵다는 이윱니다.

[윤성연/창원시 회계과장 : "특정 업체에 대한 계약 건이 많은 부분에 대해서 다른 업체로 대체하는 것에 대해 본청 회계과에서 관서에 관여하는 부분에 한계가 있었습니다."]

창원시는 본청에서 관할 읍·면·동 등에 대한 수의계약 발주 점검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기자:권경환/그래픽:김신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의계약 ‘쏠림’…총량제는 ‘슬그머니 폐지’
    • 입력 2025-02-03 07:58:29
    • 수정2025-02-03 08:57:16
    뉴스광장(창원)
[앵커]

관공서 수의계약과 관련해, 특정 업체의 '쏠림'을 막기 위한 총량제를 도입하는 곳이 늘고 있습니다.

투명성과 공정성 확보가 목적인데요.

4년 전, 수의계약 총량제를 도입한 창원시는 지난해 이 제도를 슬그머니 폐지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보도에 손원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설 환경개선 공사나 공원 조경수 정비, 시설 방수공사 등 2천만 원 이하는 수의계약 대상입니다.

최근 창원에선 수의계약 일감이 특정 업체에 몰리고 있다는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

전문건설협회 창원시지회 소속 업체는 8백여 개.

한해 대여섯 건 따내기도 어려운 일감을 토목과 전기, 조경 등 분야별로 소수 업체가 수십 건씩 가져간다는 겁니다.

[전문건설협회 전 관계자/음성변조 : "(공무원) 인맥을 찾아서 이렇게 1년에 10건 끌어오기도 쉽지 않습니다. 이거는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다들 그렇게 이야기합니다."]

창원시가 공개한 수의계약 현황을 분석했더니, 2023년과 지난해 2년 연속 수의계약을 20건 이상 수주한 업체는 69곳, 2020년과 2021년과 비교해 27%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업계에서는 수의계약 '쏠림'이 최근 2년 사이 심해졌다고 말합니다.

[창원시 A 업체 대표/음성변조 : "일이 없다 보니까 한 푼이라도 벌어야 하니까 이걸 쳐다보게 되는 겁니다. 수의계약이라는 거를. 너무 경기가 안 좋다 보니까 이거라도 해야 되겠다는 그런 절박함이거든요."]

창원시는 수의계약 쏠림 현상을 막기 위해 2022년 도입한 수의계약 총량제를 지난해 슬그머니 폐기했습니다.

수의계약이 골고루 발주되게 한 업체가 받는 한도 금액을 정한 건데, 도입 이듬해 총량 금액 재조정 등 운영 개선이 한 차례 있었지만, 2년 만에 운영 자체를 하지 않기로 한 것입니다.

구청과 사업소, 읍·면·동 사무소 등 창원시 발주 부서만 74곳이어서 일일이 관리하는 게 어렵다는 이윱니다.

[윤성연/창원시 회계과장 : "특정 업체에 대한 계약 건이 많은 부분에 대해서 다른 업체로 대체하는 것에 대해 본청 회계과에서 관서에 관여하는 부분에 한계가 있었습니다."]

창원시는 본청에서 관할 읍·면·동 등에 대한 수의계약 발주 점검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기자:권경환/그래픽:김신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