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의 2면] 대도시 급증하는 쥐떼…원인은 ‘온난화’

입력 2025.02.03 (15:33) 수정 2025.02.03 (15: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은 CNN이 전한 소식입니다.

도시들이 심각한 쥐 문제를 겪고 있는데, 원인이 될 만한 것이 하나 있다는 제목의 기사입니다.

미국 리치먼드대의 조너선 리처드슨 생물학 교수는 미국 내 13개 대도시와 캐나다 토론토, 일본 도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등 모두 16곳의 쥐 증가 추세를 연구했는데요.

그 결과, 11개 도시에서 significant increasing trends, 쥐가 상당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요.

특히 워싱턴 DC와 샌프란시스코, 토론토와 뉴욕, 암스테르담에서 큰 폭으로 늘었다고 합니다.

하락세를 보인 곳은 뉴올리언스와 루이빌, 도쿄 세 곳밖에 없었습니다.

연구진은 쥐가 증가한 원인으로 높은 인구 밀도 등 여러 요인을 지목했지만, 가장 큰 원인은 '온난화'로 꼽았는데요.

특히 겨울 기온이 따뜻해지면서 쥐 떼가 먹이를 찾을 수 있는 시간이 길어졌고, 번식 기간도 더 늘어났다는 겁니다.

CNN은 쥐가 도시의 인프라를 훼손하고 전선을 갉아 화재를 일으키는 등 쥐 개체수 증가는 도시에 큰 문제가 된다고 지적했는데요.

해마다 미국에서 쥐로 인한 피해는 약 270억 달러, 우리 돈 약 39조 6,000억 원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연구진은 더 이상의 쥐 떼 급증을 방지하는 시민 교육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지금까지 뉴스의 2면이었습니다.

그래픽:강민수/영상편집:이은빈/자료조사:이장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의 2면] 대도시 급증하는 쥐떼…원인은 ‘온난화’
    • 입력 2025-02-03 15:33:16
    • 수정2025-02-03 15:41:49
    월드24
다음은 CNN이 전한 소식입니다.

도시들이 심각한 쥐 문제를 겪고 있는데, 원인이 될 만한 것이 하나 있다는 제목의 기사입니다.

미국 리치먼드대의 조너선 리처드슨 생물학 교수는 미국 내 13개 대도시와 캐나다 토론토, 일본 도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등 모두 16곳의 쥐 증가 추세를 연구했는데요.

그 결과, 11개 도시에서 significant increasing trends, 쥐가 상당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요.

특히 워싱턴 DC와 샌프란시스코, 토론토와 뉴욕, 암스테르담에서 큰 폭으로 늘었다고 합니다.

하락세를 보인 곳은 뉴올리언스와 루이빌, 도쿄 세 곳밖에 없었습니다.

연구진은 쥐가 증가한 원인으로 높은 인구 밀도 등 여러 요인을 지목했지만, 가장 큰 원인은 '온난화'로 꼽았는데요.

특히 겨울 기온이 따뜻해지면서 쥐 떼가 먹이를 찾을 수 있는 시간이 길어졌고, 번식 기간도 더 늘어났다는 겁니다.

CNN은 쥐가 도시의 인프라를 훼손하고 전선을 갉아 화재를 일으키는 등 쥐 개체수 증가는 도시에 큰 문제가 된다고 지적했는데요.

해마다 미국에서 쥐로 인한 피해는 약 270억 달러, 우리 돈 약 39조 6,000억 원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연구진은 더 이상의 쥐 떼 급증을 방지하는 시민 교육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지금까지 뉴스의 2면이었습니다.

그래픽:강민수/영상편집:이은빈/자료조사:이장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