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단신] 소비심리 5개월째 위축…“의류·화장품 등 안 사” 외
입력 2025.02.03 (19:33)
수정 2025.02.03 (20: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 단신 이어갑니다.
지난해 12월 제주지역 산업 생산이 줄고, 소비도 5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12월 도내 광공업 생산지수는 111.2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 줄었습니다.
전기·가스업, 의약품, 금속가공 등을 중심으로 생산과 출하가 늘었지만 전자·통신, 음료, 식료품 등 생산이 부진하며 전체 광공업 출하는 1년 전보다 2.9% 감소했고, 재고도 16.5%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12월 대형 소매점 판매액 지수는 91.3으로 1년 전보다 7% 줄면서 5개월째 감소세를 보였는데 신발과 가방, 화장품, 의복 등에서 감소 폭이 컸습니다.
‘전국체전 대비’ 공공체육시설 개선에 국비 58억
제주도는 내년 제주에서 개최되는 전국체전에 대비한 공공체육시설 개선 사업에 국비 58억 원을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지방비 등을 더해 모두 2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마련하고 시설 개선에 나설 계획입니다.
사업별로는 서귀포시가 강창학경기장과 보조경기장 개선에 172억 원을 사용하고 제주시는 준공 40년 된 종합경기장 실내수영장 내부 바닥과 경영풀을 보수하며 지역 체육관에 장애인 편의시설을 설치하게 됩니다.
올해부터 유치원-초1 연계 이음학기 확대 운영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을 잇는 이음학기가 확대 운영됩니다.
제주도교육청이 지난해 공립유치원 18곳과 사립유치원 2곳에서 초등학교와 연계한 누리과정 교육을 운영한 결과 학부모 만족도가 95.6%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도교육청은 삼성초병설유치원과 삼성초등학교의 제주 정체성 함양을 주제로 한 연계 교육과정을 2년간 지원하는 등 올해는 시범유치원 운영기관을 40개 유치원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제주학 발상지 복원·석주명기념관 건립 필요”
'제주학 창시자' 석주명 선생이 1940년대 제주의 자연과 문화를 연구한 가치를 인정받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옛 경성제국대 생약연구소 제주도 시험장 건물을 제주도가 매입한 취지에 맞게 석주명 기념 사업 용도로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서귀포시가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에 의뢰해 진행한 석주명 기념 사업 기본구상 용역 결과에선 제주시험장 청사뿐 아니라 관사와 창고 등도 복원해 교육과 전시, 체험 공간 등으로 활용하자는 제안과 장기 과제로 별도의 석주명 기념관 건립 필요성 등이 담겼습니다.
서귀포시는 올해 사업비를 확보해 제주도 시험장 종합 정비 사업에 나설 계획입니다.
지난해 12월 제주지역 산업 생산이 줄고, 소비도 5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12월 도내 광공업 생산지수는 111.2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 줄었습니다.
전기·가스업, 의약품, 금속가공 등을 중심으로 생산과 출하가 늘었지만 전자·통신, 음료, 식료품 등 생산이 부진하며 전체 광공업 출하는 1년 전보다 2.9% 감소했고, 재고도 16.5%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12월 대형 소매점 판매액 지수는 91.3으로 1년 전보다 7% 줄면서 5개월째 감소세를 보였는데 신발과 가방, 화장품, 의복 등에서 감소 폭이 컸습니다.
‘전국체전 대비’ 공공체육시설 개선에 국비 58억
제주도는 내년 제주에서 개최되는 전국체전에 대비한 공공체육시설 개선 사업에 국비 58억 원을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지방비 등을 더해 모두 2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마련하고 시설 개선에 나설 계획입니다.
사업별로는 서귀포시가 강창학경기장과 보조경기장 개선에 172억 원을 사용하고 제주시는 준공 40년 된 종합경기장 실내수영장 내부 바닥과 경영풀을 보수하며 지역 체육관에 장애인 편의시설을 설치하게 됩니다.
올해부터 유치원-초1 연계 이음학기 확대 운영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을 잇는 이음학기가 확대 운영됩니다.
제주도교육청이 지난해 공립유치원 18곳과 사립유치원 2곳에서 초등학교와 연계한 누리과정 교육을 운영한 결과 학부모 만족도가 95.6%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도교육청은 삼성초병설유치원과 삼성초등학교의 제주 정체성 함양을 주제로 한 연계 교육과정을 2년간 지원하는 등 올해는 시범유치원 운영기관을 40개 유치원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제주학 발상지 복원·석주명기념관 건립 필요”
'제주학 창시자' 석주명 선생이 1940년대 제주의 자연과 문화를 연구한 가치를 인정받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옛 경성제국대 생약연구소 제주도 시험장 건물을 제주도가 매입한 취지에 맞게 석주명 기념 사업 용도로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서귀포시가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에 의뢰해 진행한 석주명 기념 사업 기본구상 용역 결과에선 제주시험장 청사뿐 아니라 관사와 창고 등도 복원해 교육과 전시, 체험 공간 등으로 활용하자는 제안과 장기 과제로 별도의 석주명 기념관 건립 필요성 등이 담겼습니다.
서귀포시는 올해 사업비를 확보해 제주도 시험장 종합 정비 사업에 나설 계획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주요 단신] 소비심리 5개월째 위축…“의류·화장품 등 안 사” 외
-
- 입력 2025-02-03 19:33:43
- 수정2025-02-03 20:29:44

주요 단신 이어갑니다.
지난해 12월 제주지역 산업 생산이 줄고, 소비도 5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12월 도내 광공업 생산지수는 111.2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 줄었습니다.
전기·가스업, 의약품, 금속가공 등을 중심으로 생산과 출하가 늘었지만 전자·통신, 음료, 식료품 등 생산이 부진하며 전체 광공업 출하는 1년 전보다 2.9% 감소했고, 재고도 16.5%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12월 대형 소매점 판매액 지수는 91.3으로 1년 전보다 7% 줄면서 5개월째 감소세를 보였는데 신발과 가방, 화장품, 의복 등에서 감소 폭이 컸습니다.
‘전국체전 대비’ 공공체육시설 개선에 국비 58억
제주도는 내년 제주에서 개최되는 전국체전에 대비한 공공체육시설 개선 사업에 국비 58억 원을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지방비 등을 더해 모두 2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마련하고 시설 개선에 나설 계획입니다.
사업별로는 서귀포시가 강창학경기장과 보조경기장 개선에 172억 원을 사용하고 제주시는 준공 40년 된 종합경기장 실내수영장 내부 바닥과 경영풀을 보수하며 지역 체육관에 장애인 편의시설을 설치하게 됩니다.
올해부터 유치원-초1 연계 이음학기 확대 운영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을 잇는 이음학기가 확대 운영됩니다.
제주도교육청이 지난해 공립유치원 18곳과 사립유치원 2곳에서 초등학교와 연계한 누리과정 교육을 운영한 결과 학부모 만족도가 95.6%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도교육청은 삼성초병설유치원과 삼성초등학교의 제주 정체성 함양을 주제로 한 연계 교육과정을 2년간 지원하는 등 올해는 시범유치원 운영기관을 40개 유치원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제주학 발상지 복원·석주명기념관 건립 필요”
'제주학 창시자' 석주명 선생이 1940년대 제주의 자연과 문화를 연구한 가치를 인정받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옛 경성제국대 생약연구소 제주도 시험장 건물을 제주도가 매입한 취지에 맞게 석주명 기념 사업 용도로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서귀포시가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에 의뢰해 진행한 석주명 기념 사업 기본구상 용역 결과에선 제주시험장 청사뿐 아니라 관사와 창고 등도 복원해 교육과 전시, 체험 공간 등으로 활용하자는 제안과 장기 과제로 별도의 석주명 기념관 건립 필요성 등이 담겼습니다.
서귀포시는 올해 사업비를 확보해 제주도 시험장 종합 정비 사업에 나설 계획입니다.
지난해 12월 제주지역 산업 생산이 줄고, 소비도 5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12월 도내 광공업 생산지수는 111.2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 줄었습니다.
전기·가스업, 의약품, 금속가공 등을 중심으로 생산과 출하가 늘었지만 전자·통신, 음료, 식료품 등 생산이 부진하며 전체 광공업 출하는 1년 전보다 2.9% 감소했고, 재고도 16.5%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12월 대형 소매점 판매액 지수는 91.3으로 1년 전보다 7% 줄면서 5개월째 감소세를 보였는데 신발과 가방, 화장품, 의복 등에서 감소 폭이 컸습니다.
‘전국체전 대비’ 공공체육시설 개선에 국비 58억
제주도는 내년 제주에서 개최되는 전국체전에 대비한 공공체육시설 개선 사업에 국비 58억 원을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지방비 등을 더해 모두 2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마련하고 시설 개선에 나설 계획입니다.
사업별로는 서귀포시가 강창학경기장과 보조경기장 개선에 172억 원을 사용하고 제주시는 준공 40년 된 종합경기장 실내수영장 내부 바닥과 경영풀을 보수하며 지역 체육관에 장애인 편의시설을 설치하게 됩니다.
올해부터 유치원-초1 연계 이음학기 확대 운영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을 잇는 이음학기가 확대 운영됩니다.
제주도교육청이 지난해 공립유치원 18곳과 사립유치원 2곳에서 초등학교와 연계한 누리과정 교육을 운영한 결과 학부모 만족도가 95.6%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도교육청은 삼성초병설유치원과 삼성초등학교의 제주 정체성 함양을 주제로 한 연계 교육과정을 2년간 지원하는 등 올해는 시범유치원 운영기관을 40개 유치원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제주학 발상지 복원·석주명기념관 건립 필요”
'제주학 창시자' 석주명 선생이 1940년대 제주의 자연과 문화를 연구한 가치를 인정받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옛 경성제국대 생약연구소 제주도 시험장 건물을 제주도가 매입한 취지에 맞게 석주명 기념 사업 용도로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서귀포시가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에 의뢰해 진행한 석주명 기념 사업 기본구상 용역 결과에선 제주시험장 청사뿐 아니라 관사와 창고 등도 복원해 교육과 전시, 체험 공간 등으로 활용하자는 제안과 장기 과제로 별도의 석주명 기념관 건립 필요성 등이 담겼습니다.
서귀포시는 올해 사업비를 확보해 제주도 시험장 종합 정비 사업에 나설 계획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