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비위 의혹에도 요직에…징계 절차는?

입력 2025.02.03 (19:34) 수정 2025.02.03 (20: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 내용 취재한 박병준 기자와 좀 더 이어가 보겠습니다.

박 기자, 이 사건을 지난해 이맘 때부터 꾸준히 보도를 해오고 있는데, 시간이 꽤 지나서요.

시청자 이해를 돕기 위해 어떤 내용이었는지 간단히 짚어보죠.

[기자]

당진시의 한 고위공무원이 직권을 남용해 지역에서 사업을 하는 민간업체를 상대로 사업을 방해하고 있다는 제보로 지난해 초 취재를 시작했는데요.

저희가 확보한 다수의 녹취파일에는 고위 공무원인 A씨가 지역의 여러 업체 관계자를 상대로 노골적으로 인사 청탁을 하거나 본래 업체들이 하려는 사업과는 무관한 일을 시키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었습니다.

예컨대 지역에서 공장 증설을 추진 중인 업체에는 지인 자녀의 채용을 요구한다던가, 또 다른 녹취에선 당진에 있는 한 업체를 지목해 "해당 업체와는 거래하지 말라"는 "특정 정당의 돈줄이다. 시장님이 싫어하는 업체"라는 등 권한을 넘나드는 다양한 압박성 발언을 한 것이 확인됐습니다.

그러면서 이런 행동의 배경에 오성환 당진시장이 있다는 뉘앙스를 여러 차례 내비쳤는데, 당시 오 시장은 자신과는 무관하고, A씨가 만들어낸 말이라고 해명한 바 있습니다.

[앵커]

각종 비위 의혹에도 A씨가 계속 고위직을 유지해 제 식구 감싸기라는 비판도 있었지요?

[기자]

그렇습니다.

충남도 감사위원회가 A씨에 대한 각종 비위 첩보를 입수해 감사에 착수한 것이 2023년 8월이고요.

이후 같은 해 12월, 경찰도 수사를 시작해 7개월 수사를 진행했고, 검찰도 또 7개월 동안 추가 수사를 이어갔습니다.

1년 반에 걸친 기간 동안 공무원의 비위 혐의에 대한 수사가 진행된 건데, 당진시는 A씨에게 직위해제 3개월이라는 임시 처분만 내렸고요.

그 이후에는 다시 국장직에 복귀시킨 뒤 다른 요직으로 번갈아 가며 인사 이동시켜 제 식구 감싸기라는 비판이 일었습니다.

이와 관련 오성환 당진시장은 아직 기소 결정이 나지 않은 만큼 보직 이동은 문제가 없다고 공식적으로 밝히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이번엔 검찰에서도 A씨를 기소한 상황입니다.

충남도 감사위원회 경찰, 그리고 검찰까지, 모두 범죄 혐의점이 있다고 결론을 내린 만큼, 그리고 기소된 만큼 절차대로 징계 절차에 착수할지 주목됩니다.

[앵커]

징계 절차는 어떻게 진행되는 겁니까?

[기자]

5급 이상 공무원은 상급 기관인 충남도 인사위원회에서 징계가 의결되는데요.

보통 두 달에 한 번 인사위가 열립니다.

이달 인사위가 오는 5일 전후로 열릴 전망이어서 물리적인 시간상 이번에 A 씨에 대한 징계 안건이 상정되긴 힘들 것으로 보이고 오는 4월에 열리는 인사위에서 최종 징계 수위가 결정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앵커]

여기까지 듣죠.

박 기자 잘 수고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 비위 의혹에도 요직에…징계 절차는?
    • 입력 2025-02-03 19:34:56
    • 수정2025-02-03 20:14:40
    뉴스7(대전)
[앵커]

이 내용 취재한 박병준 기자와 좀 더 이어가 보겠습니다.

박 기자, 이 사건을 지난해 이맘 때부터 꾸준히 보도를 해오고 있는데, 시간이 꽤 지나서요.

시청자 이해를 돕기 위해 어떤 내용이었는지 간단히 짚어보죠.

[기자]

당진시의 한 고위공무원이 직권을 남용해 지역에서 사업을 하는 민간업체를 상대로 사업을 방해하고 있다는 제보로 지난해 초 취재를 시작했는데요.

저희가 확보한 다수의 녹취파일에는 고위 공무원인 A씨가 지역의 여러 업체 관계자를 상대로 노골적으로 인사 청탁을 하거나 본래 업체들이 하려는 사업과는 무관한 일을 시키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었습니다.

예컨대 지역에서 공장 증설을 추진 중인 업체에는 지인 자녀의 채용을 요구한다던가, 또 다른 녹취에선 당진에 있는 한 업체를 지목해 "해당 업체와는 거래하지 말라"는 "특정 정당의 돈줄이다. 시장님이 싫어하는 업체"라는 등 권한을 넘나드는 다양한 압박성 발언을 한 것이 확인됐습니다.

그러면서 이런 행동의 배경에 오성환 당진시장이 있다는 뉘앙스를 여러 차례 내비쳤는데, 당시 오 시장은 자신과는 무관하고, A씨가 만들어낸 말이라고 해명한 바 있습니다.

[앵커]

각종 비위 의혹에도 A씨가 계속 고위직을 유지해 제 식구 감싸기라는 비판도 있었지요?

[기자]

그렇습니다.

충남도 감사위원회가 A씨에 대한 각종 비위 첩보를 입수해 감사에 착수한 것이 2023년 8월이고요.

이후 같은 해 12월, 경찰도 수사를 시작해 7개월 수사를 진행했고, 검찰도 또 7개월 동안 추가 수사를 이어갔습니다.

1년 반에 걸친 기간 동안 공무원의 비위 혐의에 대한 수사가 진행된 건데, 당진시는 A씨에게 직위해제 3개월이라는 임시 처분만 내렸고요.

그 이후에는 다시 국장직에 복귀시킨 뒤 다른 요직으로 번갈아 가며 인사 이동시켜 제 식구 감싸기라는 비판이 일었습니다.

이와 관련 오성환 당진시장은 아직 기소 결정이 나지 않은 만큼 보직 이동은 문제가 없다고 공식적으로 밝히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이번엔 검찰에서도 A씨를 기소한 상황입니다.

충남도 감사위원회 경찰, 그리고 검찰까지, 모두 범죄 혐의점이 있다고 결론을 내린 만큼, 그리고 기소된 만큼 절차대로 징계 절차에 착수할지 주목됩니다.

[앵커]

징계 절차는 어떻게 진행되는 겁니까?

[기자]

5급 이상 공무원은 상급 기관인 충남도 인사위원회에서 징계가 의결되는데요.

보통 두 달에 한 번 인사위가 열립니다.

이달 인사위가 오는 5일 전후로 열릴 전망이어서 물리적인 시간상 이번에 A 씨에 대한 징계 안건이 상정되긴 힘들 것으로 보이고 오는 4월에 열리는 인사위에서 최종 징계 수위가 결정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앵커]

여기까지 듣죠.

박 기자 잘 수고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