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심당 찍고 쇼핑까지’…“머무는 관광 가능성”
입력 2025.02.03 (19:57)
수정 2025.02.03 (20: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그동안 스쳐 지나가던, 이른바 '노잼 도시'로 불리던 대전이 최근 SNS와 젊은 층 사이에서 관광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새로 들어선 대형 쇼핑몰과 지역 명물 '성심당'의 존재가 머무는 관광지로의 가능성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박연선 기자입니다.
[리포트]
성심당 명물인 '딸기 시루'를 사려는 대기 줄이 매장 밖 50m 가까이 늘어섰습니다.
1시간 넘게 기다리는 게 예삿일이지만, 대전에 들렀다면 빠질 수 없는 필수 '관광 코스'입니다.
딸기 시루뿐 아니라, 성심당에서 판매하는 각종 빵은 젊은 층의 주요 SNS 소재기도 합니다.
[김혜정·장희민/대구시 동구 : "SNS에서 딸기 시루에 대해서 많이 보고, 친구랑 대전 여행하는 김에 성심당 와서 딸기 시루 사러 왔습니다. 빨리 먹고 싶어요."]
몇 년 새 연달아 문을 연 대형 쇼핑 시설들도 대전시 방문객 증가의 한 축입니다.
쇼핑 외에도 아쿠아리움과 갤러리 기획전 등 즐길 거리를 제공해 인기가 높습니다.
카드 사용 추이를 볼 때 절반가량은 외지인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입니다.
실제 대전시 방문객의 네이게이션 빅데이터를 살펴보면, 2018년에는 최다 검색 10곳 중 절반이 대전역과 대전 복합터미널 등 교통시설이었던 반면, 2023년에는 성심당 본점과 분점, 백화점 등 쇼핑몰 5곳이 새로 자리를 차지하거나 순위가 올랐습니다.
성심당이 갖고 있는 전국적인 화제성과 쇼핑몰 등 신규 기반 시설들이 동반 상승 효과를 낸 것으로 풀이됩니다.
[윤설민/대전세종연구원 경제사회연구실장 : "체류형으로 갈 수 있게끔 핵심 점포에 대한 민간 시설들이 확충될 필요가 있다는 것들, 그리고 대전이 강점을 가지고 있는 성심당과 꿈돌이 같은 자본들을 계속 관광하고 엮을 수 있게끔…."]
다만 대전시 방문객이 대부분 충청권과 수도권에 몰려있어, 숙박 관광과 외지인 방문을 늘리기 위해 대전역 등 거점 시설을 이용한 도보형 관광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KBS 뉴스 박연선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그동안 스쳐 지나가던, 이른바 '노잼 도시'로 불리던 대전이 최근 SNS와 젊은 층 사이에서 관광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새로 들어선 대형 쇼핑몰과 지역 명물 '성심당'의 존재가 머무는 관광지로의 가능성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박연선 기자입니다.
[리포트]
성심당 명물인 '딸기 시루'를 사려는 대기 줄이 매장 밖 50m 가까이 늘어섰습니다.
1시간 넘게 기다리는 게 예삿일이지만, 대전에 들렀다면 빠질 수 없는 필수 '관광 코스'입니다.
딸기 시루뿐 아니라, 성심당에서 판매하는 각종 빵은 젊은 층의 주요 SNS 소재기도 합니다.
[김혜정·장희민/대구시 동구 : "SNS에서 딸기 시루에 대해서 많이 보고, 친구랑 대전 여행하는 김에 성심당 와서 딸기 시루 사러 왔습니다. 빨리 먹고 싶어요."]
몇 년 새 연달아 문을 연 대형 쇼핑 시설들도 대전시 방문객 증가의 한 축입니다.
쇼핑 외에도 아쿠아리움과 갤러리 기획전 등 즐길 거리를 제공해 인기가 높습니다.
카드 사용 추이를 볼 때 절반가량은 외지인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입니다.
실제 대전시 방문객의 네이게이션 빅데이터를 살펴보면, 2018년에는 최다 검색 10곳 중 절반이 대전역과 대전 복합터미널 등 교통시설이었던 반면, 2023년에는 성심당 본점과 분점, 백화점 등 쇼핑몰 5곳이 새로 자리를 차지하거나 순위가 올랐습니다.
성심당이 갖고 있는 전국적인 화제성과 쇼핑몰 등 신규 기반 시설들이 동반 상승 효과를 낸 것으로 풀이됩니다.
[윤설민/대전세종연구원 경제사회연구실장 : "체류형으로 갈 수 있게끔 핵심 점포에 대한 민간 시설들이 확충될 필요가 있다는 것들, 그리고 대전이 강점을 가지고 있는 성심당과 꿈돌이 같은 자본들을 계속 관광하고 엮을 수 있게끔…."]
다만 대전시 방문객이 대부분 충청권과 수도권에 몰려있어, 숙박 관광과 외지인 방문을 늘리기 위해 대전역 등 거점 시설을 이용한 도보형 관광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KBS 뉴스 박연선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성심당 찍고 쇼핑까지’…“머무는 관광 가능성”
-
- 입력 2025-02-03 19:57:25
- 수정2025-02-03 20:02:38

[앵커]
그동안 스쳐 지나가던, 이른바 '노잼 도시'로 불리던 대전이 최근 SNS와 젊은 층 사이에서 관광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새로 들어선 대형 쇼핑몰과 지역 명물 '성심당'의 존재가 머무는 관광지로의 가능성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박연선 기자입니다.
[리포트]
성심당 명물인 '딸기 시루'를 사려는 대기 줄이 매장 밖 50m 가까이 늘어섰습니다.
1시간 넘게 기다리는 게 예삿일이지만, 대전에 들렀다면 빠질 수 없는 필수 '관광 코스'입니다.
딸기 시루뿐 아니라, 성심당에서 판매하는 각종 빵은 젊은 층의 주요 SNS 소재기도 합니다.
[김혜정·장희민/대구시 동구 : "SNS에서 딸기 시루에 대해서 많이 보고, 친구랑 대전 여행하는 김에 성심당 와서 딸기 시루 사러 왔습니다. 빨리 먹고 싶어요."]
몇 년 새 연달아 문을 연 대형 쇼핑 시설들도 대전시 방문객 증가의 한 축입니다.
쇼핑 외에도 아쿠아리움과 갤러리 기획전 등 즐길 거리를 제공해 인기가 높습니다.
카드 사용 추이를 볼 때 절반가량은 외지인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입니다.
실제 대전시 방문객의 네이게이션 빅데이터를 살펴보면, 2018년에는 최다 검색 10곳 중 절반이 대전역과 대전 복합터미널 등 교통시설이었던 반면, 2023년에는 성심당 본점과 분점, 백화점 등 쇼핑몰 5곳이 새로 자리를 차지하거나 순위가 올랐습니다.
성심당이 갖고 있는 전국적인 화제성과 쇼핑몰 등 신규 기반 시설들이 동반 상승 효과를 낸 것으로 풀이됩니다.
[윤설민/대전세종연구원 경제사회연구실장 : "체류형으로 갈 수 있게끔 핵심 점포에 대한 민간 시설들이 확충될 필요가 있다는 것들, 그리고 대전이 강점을 가지고 있는 성심당과 꿈돌이 같은 자본들을 계속 관광하고 엮을 수 있게끔…."]
다만 대전시 방문객이 대부분 충청권과 수도권에 몰려있어, 숙박 관광과 외지인 방문을 늘리기 위해 대전역 등 거점 시설을 이용한 도보형 관광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KBS 뉴스 박연선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그동안 스쳐 지나가던, 이른바 '노잼 도시'로 불리던 대전이 최근 SNS와 젊은 층 사이에서 관광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새로 들어선 대형 쇼핑몰과 지역 명물 '성심당'의 존재가 머무는 관광지로의 가능성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박연선 기자입니다.
[리포트]
성심당 명물인 '딸기 시루'를 사려는 대기 줄이 매장 밖 50m 가까이 늘어섰습니다.
1시간 넘게 기다리는 게 예삿일이지만, 대전에 들렀다면 빠질 수 없는 필수 '관광 코스'입니다.
딸기 시루뿐 아니라, 성심당에서 판매하는 각종 빵은 젊은 층의 주요 SNS 소재기도 합니다.
[김혜정·장희민/대구시 동구 : "SNS에서 딸기 시루에 대해서 많이 보고, 친구랑 대전 여행하는 김에 성심당 와서 딸기 시루 사러 왔습니다. 빨리 먹고 싶어요."]
몇 년 새 연달아 문을 연 대형 쇼핑 시설들도 대전시 방문객 증가의 한 축입니다.
쇼핑 외에도 아쿠아리움과 갤러리 기획전 등 즐길 거리를 제공해 인기가 높습니다.
카드 사용 추이를 볼 때 절반가량은 외지인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입니다.
실제 대전시 방문객의 네이게이션 빅데이터를 살펴보면, 2018년에는 최다 검색 10곳 중 절반이 대전역과 대전 복합터미널 등 교통시설이었던 반면, 2023년에는 성심당 본점과 분점, 백화점 등 쇼핑몰 5곳이 새로 자리를 차지하거나 순위가 올랐습니다.
성심당이 갖고 있는 전국적인 화제성과 쇼핑몰 등 신규 기반 시설들이 동반 상승 효과를 낸 것으로 풀이됩니다.
[윤설민/대전세종연구원 경제사회연구실장 : "체류형으로 갈 수 있게끔 핵심 점포에 대한 민간 시설들이 확충될 필요가 있다는 것들, 그리고 대전이 강점을 가지고 있는 성심당과 꿈돌이 같은 자본들을 계속 관광하고 엮을 수 있게끔…."]
다만 대전시 방문객이 대부분 충청권과 수도권에 몰려있어, 숙박 관광과 외지인 방문을 늘리기 위해 대전역 등 거점 시설을 이용한 도보형 관광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KBS 뉴스 박연선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
-
박연선 기자 zion@kbs.co.kr
박연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