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왕고래 경제성 확보 안 돼”…2, 3차 시추도 불확실

입력 2025.02.06 (19:14) 수정 2025.02.06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인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1차 시추 결과가 나왔습니다.

경제성이 없어 이곳은 더 이상 파 볼 필요가 없다는 것이 정부 판단입니다.

박경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6월, 포항 앞바다에 최대 140억 배럴의 석유와 가스가 있을 가능성이 처음 언급됐습니다.

[지난해 6월 :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막대한 양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물리 탐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당시 정부는 그 가치를 삼성전자 시가총액 5배 정도로 봤습니다.

미국 심해 기술평가 전문기업 액트지오가 분석했는데, 유망 구조 7개를 발견했다고 강조했습니다.

[비토르 아브레우/액트지오 고문/지난해 6월 : "(이들 지역의) 유망성은 상당히 높습니다. (석유와 가스의 존재를 암시하는) 모든 요소가 갖춰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 중 가장 가능성이 높은 대왕고래 구조에 대한 1차 탐사 시추는 지난해 12월 시작했습니다.

천억 원이 넘는 비용을 들여, 47일 동안 탐사 시추가 진행됐지만, 의미 있는 결과를 얻지 못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가스 징후는 발견했으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었다"면서 "해당 시추공은 다시 원상 복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곳에 추가 탐사를 진행할 필요성도 낮다고 판단해 시추공을 막은 겁니다.

이번 시추의 최종 분석 결과는 8월쯤 발표될 예정입니다.

산업부는 "'석유 시스템' 자체는 양호했다"면서 "이번 시추 중 획득한 데이터는 남은 6개 유망 구조 탐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대왕고래가 가장 유망한 공구였던 만큼 향후 2차, 3차 구조 시추의 성공 가능성도 불확실해졌습니다.

[최경식/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 "탄화수소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면서 전반적인 심해 가스 광구의 어떤 개발 가능성이 상당히 낮아진 걸로 보여지는…"]

정부는 2차 시추부터는 예정대로 해외 기업의 투자를 유치해 진행하겠다며, 3월부터 투자 유치 절차를 개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박경준입니다.

영상편집:이현모/화면제공:한국석유공사/그래픽:여현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왕고래 경제성 확보 안 돼”…2, 3차 시추도 불확실
    • 입력 2025-02-06 19:14:08
    • 수정2025-02-06 22:04:18
    뉴스 7
[앵커]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인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1차 시추 결과가 나왔습니다.

경제성이 없어 이곳은 더 이상 파 볼 필요가 없다는 것이 정부 판단입니다.

박경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6월, 포항 앞바다에 최대 140억 배럴의 석유와 가스가 있을 가능성이 처음 언급됐습니다.

[지난해 6월 :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막대한 양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물리 탐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당시 정부는 그 가치를 삼성전자 시가총액 5배 정도로 봤습니다.

미국 심해 기술평가 전문기업 액트지오가 분석했는데, 유망 구조 7개를 발견했다고 강조했습니다.

[비토르 아브레우/액트지오 고문/지난해 6월 : "(이들 지역의) 유망성은 상당히 높습니다. (석유와 가스의 존재를 암시하는) 모든 요소가 갖춰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 중 가장 가능성이 높은 대왕고래 구조에 대한 1차 탐사 시추는 지난해 12월 시작했습니다.

천억 원이 넘는 비용을 들여, 47일 동안 탐사 시추가 진행됐지만, 의미 있는 결과를 얻지 못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가스 징후는 발견했으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었다"면서 "해당 시추공은 다시 원상 복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곳에 추가 탐사를 진행할 필요성도 낮다고 판단해 시추공을 막은 겁니다.

이번 시추의 최종 분석 결과는 8월쯤 발표될 예정입니다.

산업부는 "'석유 시스템' 자체는 양호했다"면서 "이번 시추 중 획득한 데이터는 남은 6개 유망 구조 탐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대왕고래가 가장 유망한 공구였던 만큼 향후 2차, 3차 구조 시추의 성공 가능성도 불확실해졌습니다.

[최경식/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 "탄화수소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면서 전반적인 심해 가스 광구의 어떤 개발 가능성이 상당히 낮아진 걸로 보여지는…"]

정부는 2차 시추부터는 예정대로 해외 기업의 투자를 유치해 진행하겠다며, 3월부터 투자 유치 절차를 개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박경준입니다.

영상편집:이현모/화면제공:한국석유공사/그래픽:여현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