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자 구상’ 말도 안 돼” 비난에 “모두가 좋아해”

입력 2025.02.06 (19:23) 수정 2025.02.06 (2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놓은 이른바 '가자 구상'에 각국의 우려와 비판이 쇄도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구상이 환영받고 있다고 주장했는데요.

미국 민주당에선 '인종청소'라며 탄핵 목소리까지 나왔습니다.

보도에 김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이 제시한 가자지구 해법에 하마스 등 팔레스타인 측 뿐만아니라 서방 동맹국들도 비판을 쏟아냈습니다.

프랑스는 심각한 국제법 위반이라고 지적했고, 독일은 또 다른 고통과 증오를 불러올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유엔은 '인종청소'라는 단어까지 사용하면서 상황을 악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스테판 뒤자릭/유엔 사무총장 대변인 : "모든 강제 이주 행위는 인종청소와 마찬가지입니다."]

이 같은 비판과 우려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아랑곳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모두가 환영하고 있다고 맞섰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모두가 (가자 구상을) 사랑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언급할) 적절한 때가 아니지만 나중에 뭔가 할 겁니다."]

백악관과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을 옹호하면서도 수위를 조절하는 모습입니다.

백악관은 팔레스타인 주민들의 이주는 '일시적'일 것이라면서 마음에 들지 않으면 중동에서 해결책을 내라고 말했습니다.

헤그세스 국방장관은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가자지구에 군대를 보내고 싶진 않다'면서 모든 선택지가 테이블 위에 있다고 밝혔습니다.

[피트 헤그세스/미국 국방장관 : "트럼프 대통령은 틀에 박힌 사고에서 벗어나 새롭고 독특하며 역동적인 방법을 찾아 난공불락처럼 느껴졌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합니다."]

민주당 내에선 국제법 위반은 물론이고 '인종청소'라는 반인류 범죄라며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발의하겠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평화롭게 공존하는 '두 국가 해법'도 성사가 더욱 어려워졌다는 평가입니다.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여현수/자료조사:김시온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자 구상’ 말도 안 돼” 비난에 “모두가 좋아해”
    • 입력 2025-02-06 19:23:57
    • 수정2025-02-06 22:05:16
    뉴스 7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놓은 이른바 '가자 구상'에 각국의 우려와 비판이 쇄도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구상이 환영받고 있다고 주장했는데요.

미국 민주당에선 '인종청소'라며 탄핵 목소리까지 나왔습니다.

보도에 김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이 제시한 가자지구 해법에 하마스 등 팔레스타인 측 뿐만아니라 서방 동맹국들도 비판을 쏟아냈습니다.

프랑스는 심각한 국제법 위반이라고 지적했고, 독일은 또 다른 고통과 증오를 불러올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유엔은 '인종청소'라는 단어까지 사용하면서 상황을 악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스테판 뒤자릭/유엔 사무총장 대변인 : "모든 강제 이주 행위는 인종청소와 마찬가지입니다."]

이 같은 비판과 우려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아랑곳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모두가 환영하고 있다고 맞섰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모두가 (가자 구상을) 사랑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언급할) 적절한 때가 아니지만 나중에 뭔가 할 겁니다."]

백악관과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을 옹호하면서도 수위를 조절하는 모습입니다.

백악관은 팔레스타인 주민들의 이주는 '일시적'일 것이라면서 마음에 들지 않으면 중동에서 해결책을 내라고 말했습니다.

헤그세스 국방장관은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가자지구에 군대를 보내고 싶진 않다'면서 모든 선택지가 테이블 위에 있다고 밝혔습니다.

[피트 헤그세스/미국 국방장관 : "트럼프 대통령은 틀에 박힌 사고에서 벗어나 새롭고 독특하며 역동적인 방법을 찾아 난공불락처럼 느껴졌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합니다."]

민주당 내에선 국제법 위반은 물론이고 '인종청소'라는 반인류 범죄라며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발의하겠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평화롭게 공존하는 '두 국가 해법'도 성사가 더욱 어려워졌다는 평가입니다.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여현수/자료조사:김시온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