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파에 참돔 폐사 걱정” 양식장·화훼농가 한파 비상

입력 2025.02.06 (21:29) 수정 2025.02.06 (21: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수그러들지 않는 한파에 농어민들 어려움이 큽니다.

양식장도, 화훼단지도 피해를 막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김효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참돔 10만 마리를 키우는 양식장입니다.

연일 매섭게 몰아치는 한파에 바닷물 온도가 8.5도까지 떨어지면서 비상이 걸렸습니다.

난류성 어종인 참돔이 견딜 수 있는 최저 한계 수온은 7도, 지금 같은 저수온 상태가 3~4일 더 이어지면 참돔이 집단 폐사할 수 있습니다.

활동량을 늘려 저수온을 견딜 수 있도록 참돔을 분리해 양식장 밀도를 낮췄습니다.

[이경식/양식 어민 : "음력 설 지나고 나면 입춘 되고 좀 따뜻한 게 있는데, 올해 유별스레 자꾸 한파가 (있어서) 혹시 한계 수온 이하로 내려갈까 봐 노심초사하고 있습니다."]

또 양식장에 사료 공급도 중단했습니다.

바닷물이 차가워지면 물고기들의 소화력이 떨어져 폐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국내 최대 화훼 단지의 농민들도 계속되는 강추위에 걱정이 태산입니다.

꽃을 피우기 위해 전기 난방기 26대를 하루 종일 가동하고 있습니다.

바깥은 영하의 날씨지만 온실 내부는 영상 18도 이상을 유지해야 해 난방비가 급격히 늘었습니다.

지난해 이맘때 한 달 전기요금이 250만 원 정도였는데 올해는 2배로 뛰었습니다.

[정윤제/화훼 농민 : "입춘 (액)땜 하는지 영하 9도씩 일주일씩 가버리니까 난방기든 전기든 지금 완전 잔뜩 가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주말까지 강추위가 예보되면서 한파 피해를 줄이기 위한 농어민들의 힘겨운 싸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효경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파에 참돔 폐사 걱정” 양식장·화훼농가 한파 비상
    • 입력 2025-02-06 21:29:21
    • 수정2025-02-06 21:40:36
    뉴스 9
[앵커]

수그러들지 않는 한파에 농어민들 어려움이 큽니다.

양식장도, 화훼단지도 피해를 막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김효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참돔 10만 마리를 키우는 양식장입니다.

연일 매섭게 몰아치는 한파에 바닷물 온도가 8.5도까지 떨어지면서 비상이 걸렸습니다.

난류성 어종인 참돔이 견딜 수 있는 최저 한계 수온은 7도, 지금 같은 저수온 상태가 3~4일 더 이어지면 참돔이 집단 폐사할 수 있습니다.

활동량을 늘려 저수온을 견딜 수 있도록 참돔을 분리해 양식장 밀도를 낮췄습니다.

[이경식/양식 어민 : "음력 설 지나고 나면 입춘 되고 좀 따뜻한 게 있는데, 올해 유별스레 자꾸 한파가 (있어서) 혹시 한계 수온 이하로 내려갈까 봐 노심초사하고 있습니다."]

또 양식장에 사료 공급도 중단했습니다.

바닷물이 차가워지면 물고기들의 소화력이 떨어져 폐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국내 최대 화훼 단지의 농민들도 계속되는 강추위에 걱정이 태산입니다.

꽃을 피우기 위해 전기 난방기 26대를 하루 종일 가동하고 있습니다.

바깥은 영하의 날씨지만 온실 내부는 영상 18도 이상을 유지해야 해 난방비가 급격히 늘었습니다.

지난해 이맘때 한 달 전기요금이 250만 원 정도였는데 올해는 2배로 뛰었습니다.

[정윤제/화훼 농민 : "입춘 (액)땜 하는지 영하 9도씩 일주일씩 가버리니까 난방기든 전기든 지금 완전 잔뜩 가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주말까지 강추위가 예보되면서 한파 피해를 줄이기 위한 농어민들의 힘겨운 싸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효경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