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마을에 폭발사고 희생자가 또 있었다

입력 2025.02.10 (19:06) 수정 2025.02.10 (20: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4·3 당시 폭발사고로 희생된 아이들에 대한 보도 이어갑니다.

현재까지 KBS가 확인한 희생자만 70명이 넘습니다.

10년 전 알려진 30여 명보다 곱절 넘게 늘어난 건데요.

KBS 보도를 계기로 피해 사례가 계속 확인되고 있습니다.

안서연·고성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69년 전 서귀포시 남원읍 하례리에서 폭발사고로 숨진 어린이 2명이 4·3 희생자로 인정된 지 1년이 흘렀습니다.

KBS 취재 결과, 이 마을에서 폭발사고로 희생된 아이들은 이들뿐만이 아니었습니다.

이보다 3년 전인 1953년 6월 남원읍 하례리 두수오름 인근 밭에서 폭발물을 갖고 놀던 11살 고일수가 숨지고 친척 고운근이 다쳤습니다.

[현태규/서귀포시 남원읍 하례리 : "그때 친척끼리 다정했지. 폭탄 주워서 그걸 때려서 폭발하니까 그 자리에서 일수씨는 죽어버리고 운근이는 폭탄 맞아서 다 죽었다고 했는데 결과적으론 병원에 가서 살긴 살았다고."]

이를 증언한 현태규 할아버지 역시 또 다른 폭발사고의 피해자였습니다.

효돈초등학교 4학년이던 1957년 봄, 현 할아버지를 비롯한 아이 넷은 엿장수 둘을 따라다니며 옆 마을에서 탄피와 포탄을 주웠습니다.

불을 피우고 잠시 쉬던 찰나, 불발탄이 터지면서 친구 이남선이 죽고 이름 모를 누나가 크게 다쳤습니다.

[현태규/폭발사고 생존자 : "팡하니까 불이 그냥 터지는데 이 밭에도 불붙고 저 밭에도 불붙고 막 불이 튀어서 불붙었어요. 남자는 여기(가슴)로 맞아 이리(등)로 관통하고. 여자는 이리(옆구리)로 맞고."]

그날 폭발음은 68년이 흐르도록 현 할아버지를 놓아주지 않고 있습니다.

[현태규/폭발사고 생존자 : "그때가 처음으로 죽은 사람 본 거야. 귀가 그 당시에 소리 난 게 지금도 매미 소리 나요. 왱왱. 알아듣지 못해요 지금도."]

1954년 9월 한라산 입산 금지령이 해제되면서 군경 토벌대가 철수하고도 폭발사고가 잇따르자 동네 아이들은 공포에 떨어야 했습니다.

[현승부/남원읍 하례2리 노인회장 : "아이고 그 순간 무섭고말고. 갑자기 동네 아이가 죽었는데 안 무서울 수가 있겠어. 그때는 충격이 좀 컸지."]

1956년 5월 수류탄을 밟고 숨진 13살 형을 지난해 어렵게 4·3희생자로 인정받은 동생은 애끓었던 날들을 토로합니다.

[김기만/폭발사고 희생자 故김동만 동생 : "4·3에 일어났을 때 당한 사람들보다도 마음이 놓여 있을 때 그런 일이 있었으니까 마음은 몇 배 더 이상 아프기 마련이죠."]

특별법에 명시된 4·3 기간을 지나 폭발사고로 희생된 사람을 4·3희생자로 결정한 건 현재까지 단 2명뿐입니다.

KBS 뉴스 안서연입니다.

촬영기자:고성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그 마을에 폭발사고 희생자가 또 있었다
    • 입력 2025-02-10 19:06:08
    • 수정2025-02-10 20:01:43
    뉴스7(제주)
[앵커]

4·3 당시 폭발사고로 희생된 아이들에 대한 보도 이어갑니다.

현재까지 KBS가 확인한 희생자만 70명이 넘습니다.

10년 전 알려진 30여 명보다 곱절 넘게 늘어난 건데요.

KBS 보도를 계기로 피해 사례가 계속 확인되고 있습니다.

안서연·고성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69년 전 서귀포시 남원읍 하례리에서 폭발사고로 숨진 어린이 2명이 4·3 희생자로 인정된 지 1년이 흘렀습니다.

KBS 취재 결과, 이 마을에서 폭발사고로 희생된 아이들은 이들뿐만이 아니었습니다.

이보다 3년 전인 1953년 6월 남원읍 하례리 두수오름 인근 밭에서 폭발물을 갖고 놀던 11살 고일수가 숨지고 친척 고운근이 다쳤습니다.

[현태규/서귀포시 남원읍 하례리 : "그때 친척끼리 다정했지. 폭탄 주워서 그걸 때려서 폭발하니까 그 자리에서 일수씨는 죽어버리고 운근이는 폭탄 맞아서 다 죽었다고 했는데 결과적으론 병원에 가서 살긴 살았다고."]

이를 증언한 현태규 할아버지 역시 또 다른 폭발사고의 피해자였습니다.

효돈초등학교 4학년이던 1957년 봄, 현 할아버지를 비롯한 아이 넷은 엿장수 둘을 따라다니며 옆 마을에서 탄피와 포탄을 주웠습니다.

불을 피우고 잠시 쉬던 찰나, 불발탄이 터지면서 친구 이남선이 죽고 이름 모를 누나가 크게 다쳤습니다.

[현태규/폭발사고 생존자 : "팡하니까 불이 그냥 터지는데 이 밭에도 불붙고 저 밭에도 불붙고 막 불이 튀어서 불붙었어요. 남자는 여기(가슴)로 맞아 이리(등)로 관통하고. 여자는 이리(옆구리)로 맞고."]

그날 폭발음은 68년이 흐르도록 현 할아버지를 놓아주지 않고 있습니다.

[현태규/폭발사고 생존자 : "그때가 처음으로 죽은 사람 본 거야. 귀가 그 당시에 소리 난 게 지금도 매미 소리 나요. 왱왱. 알아듣지 못해요 지금도."]

1954년 9월 한라산 입산 금지령이 해제되면서 군경 토벌대가 철수하고도 폭발사고가 잇따르자 동네 아이들은 공포에 떨어야 했습니다.

[현승부/남원읍 하례2리 노인회장 : "아이고 그 순간 무섭고말고. 갑자기 동네 아이가 죽었는데 안 무서울 수가 있겠어. 그때는 충격이 좀 컸지."]

1956년 5월 수류탄을 밟고 숨진 13살 형을 지난해 어렵게 4·3희생자로 인정받은 동생은 애끓었던 날들을 토로합니다.

[김기만/폭발사고 희생자 故김동만 동생 : "4·3에 일어났을 때 당한 사람들보다도 마음이 놓여 있을 때 그런 일이 있었으니까 마음은 몇 배 더 이상 아프기 마련이죠."]

특별법에 명시된 4·3 기간을 지나 폭발사고로 희생된 사람을 4·3희생자로 결정한 건 현재까지 단 2명뿐입니다.

KBS 뉴스 안서연입니다.

촬영기자:고성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제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