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충남 시군 마지노선 붕괴…인구정책 ‘백약이 무효’

입력 2025.02.10 (21:47) 수정 2025.02.10 (22: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저출생 대응전략으로 수십조 원을 투입한 인구 정책에도 불구하고 충남 지역의 인구 감소세가 호전되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청양과 부여, 금산 등은 지난해 말, 심리적 마지노선이었던 인구 규모마저 무너지면서 위기감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박해평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청양군의 중심지인 터미널 주변 거리.

노인 몇 명을 빼면 오가는 사람을 거의 찾아보기 힘듭니다.

지난해말 기준 청양군 인구는 2만 9658명으로 전년보다 510명이 줄어 3만 명 선이 붕괴됐습니다.

출산장려금과 지역정착지원금, 임금보전 등 각종 재정적 지원을 펼쳤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는 못했습니다.

[김규태/청양군 미래전략과장 : "인구를 늘리는 가장 필요한 사항은 주거와 일자리라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우선적으로 주거는 저희가 빈집이음이나 귀농의 집을 통해서..."]

부여군과 금산군 역시 각각 1,496명과 478명이 감소하며 6만 명과 5만 명 선이 깨졌습니다.

국방도시로 성장 가능성이 큰 논산시마저 11만 명이 무너지자 올해 '인구복지국'을 신설하며 해법 찾기에 나섰습니다.

[김배자/논산시 인구복지국장 : "일자리를 제공받고 일하면서 또 여기에서 결혼도 하고 또 저희가 마련하는 청년 주택 또 신혼부부 주택 여기에서 거주를 하면서, 출산정책을 저희들이 펼치고..."]

반면 천안과 아산, 당진,그리고 충남 혁신도시로 지정된 홍성·예산군은 인구 증가세를 보여, 청양군과 천안시의 인구 격차는 무려 22배로 벌어졌습니다.

충남도가 2026년까지 3조 4천여억 원을 들여 인구감소 대응 5개년 계획을 추진 중이지만 지역별 산업 육성이나 주거 환경 개선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으면, 갑작스런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KBS 뉴스 박해평입니다.

촬영기자:이동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 충남 시군 마지노선 붕괴…인구정책 ‘백약이 무효’
    • 입력 2025-02-10 21:47:55
    • 수정2025-02-10 22:12:37
    뉴스9(대전)
[앵커]

저출생 대응전략으로 수십조 원을 투입한 인구 정책에도 불구하고 충남 지역의 인구 감소세가 호전되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청양과 부여, 금산 등은 지난해 말, 심리적 마지노선이었던 인구 규모마저 무너지면서 위기감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박해평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청양군의 중심지인 터미널 주변 거리.

노인 몇 명을 빼면 오가는 사람을 거의 찾아보기 힘듭니다.

지난해말 기준 청양군 인구는 2만 9658명으로 전년보다 510명이 줄어 3만 명 선이 붕괴됐습니다.

출산장려금과 지역정착지원금, 임금보전 등 각종 재정적 지원을 펼쳤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는 못했습니다.

[김규태/청양군 미래전략과장 : "인구를 늘리는 가장 필요한 사항은 주거와 일자리라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우선적으로 주거는 저희가 빈집이음이나 귀농의 집을 통해서..."]

부여군과 금산군 역시 각각 1,496명과 478명이 감소하며 6만 명과 5만 명 선이 깨졌습니다.

국방도시로 성장 가능성이 큰 논산시마저 11만 명이 무너지자 올해 '인구복지국'을 신설하며 해법 찾기에 나섰습니다.

[김배자/논산시 인구복지국장 : "일자리를 제공받고 일하면서 또 여기에서 결혼도 하고 또 저희가 마련하는 청년 주택 또 신혼부부 주택 여기에서 거주를 하면서, 출산정책을 저희들이 펼치고..."]

반면 천안과 아산, 당진,그리고 충남 혁신도시로 지정된 홍성·예산군은 인구 증가세를 보여, 청양군과 천안시의 인구 격차는 무려 22배로 벌어졌습니다.

충남도가 2026년까지 3조 4천여억 원을 들여 인구감소 대응 5개년 계획을 추진 중이지만 지역별 산업 육성이나 주거 환경 개선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으면, 갑작스런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KBS 뉴스 박해평입니다.

촬영기자:이동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