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 “내란 사태 반성 없어…여당 포기 선언문”
입력 2025.02.11 (21:27)
수정 2025.02.11 (22: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권성동 원내대표 연설에 민주당은 이재명 탓, 전 정부 탓 뿐이었다면서 여당 포기 선언문이라고 논평했습니다.
내란 사태에 대한 반성은 없었고, 개헌 제안은 꼼수였다고 말했습니다.
야권 반응을 이희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연설 도중 민주당의 거친 항의는 없었습니다.
[한창민/사회민주당 대표 : "부끄럽지도 않습니까!"]
그러나 본회의장을 나와서는 맹비난을 퍼부었습니다.
'내란 사태'에 대한 반성도 없었고, 여당으로서 민생과 경제 살리기에 대한 책임감도 없다는 겁니다.
[윤종군/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 : "10글자 사과와 34쪽 거짓과 궤변, 한마디로 여당 포기 선언문이었습니다. 내란 사태로 인한 국정 혼란과 민주주의 후퇴, 민생 파탄이라는 본질을 흐리기 위한 궤변과 꼼수입니다."]
연설에서 '민주당'은 44번, '이재명'은 18번 언급됐는데, 이 대표와 민주당에 대한 욕설과 비난만 난무한 책임 떠넘기기로 일관했다고 비판했습니다.
[박찬대/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내용이 없었다…. 우리 민주당 얘기만 주로 하셔 가지고. 본인들 얘기를 많이 하셔야 되는데."]
개헌 제안에 대해서도 "본질을 흐리기 위한 꼼수"에 불과하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지역화폐를 배제한 추경 언급에 대해선 민생을 당리당략으로 보지 말라고 당부했습니다.
조국혁신당은 비상계엄 선포마저 '민주당 탓'으로 돌리는 행태가 황당하다고 했고, 진보당은 윤 대통령의 궤변을 재탕한 연설에 불과했다고 비판했습니다.
개혁신당도 개헌 제안에 앞서 헌정 유린 사태에 대한 사과부터 하라고 촉구했습니다.
KBS 뉴스 이희연입니다.
촬영기자:임태호/영상편집:김선영/그래픽:김정현
권성동 원내대표 연설에 민주당은 이재명 탓, 전 정부 탓 뿐이었다면서 여당 포기 선언문이라고 논평했습니다.
내란 사태에 대한 반성은 없었고, 개헌 제안은 꼼수였다고 말했습니다.
야권 반응을 이희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연설 도중 민주당의 거친 항의는 없었습니다.
[한창민/사회민주당 대표 : "부끄럽지도 않습니까!"]
그러나 본회의장을 나와서는 맹비난을 퍼부었습니다.
'내란 사태'에 대한 반성도 없었고, 여당으로서 민생과 경제 살리기에 대한 책임감도 없다는 겁니다.
[윤종군/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 : "10글자 사과와 34쪽 거짓과 궤변, 한마디로 여당 포기 선언문이었습니다. 내란 사태로 인한 국정 혼란과 민주주의 후퇴, 민생 파탄이라는 본질을 흐리기 위한 궤변과 꼼수입니다."]
연설에서 '민주당'은 44번, '이재명'은 18번 언급됐는데, 이 대표와 민주당에 대한 욕설과 비난만 난무한 책임 떠넘기기로 일관했다고 비판했습니다.
[박찬대/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내용이 없었다…. 우리 민주당 얘기만 주로 하셔 가지고. 본인들 얘기를 많이 하셔야 되는데."]
개헌 제안에 대해서도 "본질을 흐리기 위한 꼼수"에 불과하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지역화폐를 배제한 추경 언급에 대해선 민생을 당리당략으로 보지 말라고 당부했습니다.
조국혁신당은 비상계엄 선포마저 '민주당 탓'으로 돌리는 행태가 황당하다고 했고, 진보당은 윤 대통령의 궤변을 재탕한 연설에 불과했다고 비판했습니다.
개혁신당도 개헌 제안에 앞서 헌정 유린 사태에 대한 사과부터 하라고 촉구했습니다.
KBS 뉴스 이희연입니다.
촬영기자:임태호/영상편집:김선영/그래픽:김정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야 “내란 사태 반성 없어…여당 포기 선언문”
-
- 입력 2025-02-11 21:27:40
- 수정2025-02-11 22:08:08
![](/data/news/2025/02/11/20250211_BfiPD1.jpg)
[앵커]
권성동 원내대표 연설에 민주당은 이재명 탓, 전 정부 탓 뿐이었다면서 여당 포기 선언문이라고 논평했습니다.
내란 사태에 대한 반성은 없었고, 개헌 제안은 꼼수였다고 말했습니다.
야권 반응을 이희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연설 도중 민주당의 거친 항의는 없었습니다.
[한창민/사회민주당 대표 : "부끄럽지도 않습니까!"]
그러나 본회의장을 나와서는 맹비난을 퍼부었습니다.
'내란 사태'에 대한 반성도 없었고, 여당으로서 민생과 경제 살리기에 대한 책임감도 없다는 겁니다.
[윤종군/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 : "10글자 사과와 34쪽 거짓과 궤변, 한마디로 여당 포기 선언문이었습니다. 내란 사태로 인한 국정 혼란과 민주주의 후퇴, 민생 파탄이라는 본질을 흐리기 위한 궤변과 꼼수입니다."]
연설에서 '민주당'은 44번, '이재명'은 18번 언급됐는데, 이 대표와 민주당에 대한 욕설과 비난만 난무한 책임 떠넘기기로 일관했다고 비판했습니다.
[박찬대/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내용이 없었다…. 우리 민주당 얘기만 주로 하셔 가지고. 본인들 얘기를 많이 하셔야 되는데."]
개헌 제안에 대해서도 "본질을 흐리기 위한 꼼수"에 불과하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지역화폐를 배제한 추경 언급에 대해선 민생을 당리당략으로 보지 말라고 당부했습니다.
조국혁신당은 비상계엄 선포마저 '민주당 탓'으로 돌리는 행태가 황당하다고 했고, 진보당은 윤 대통령의 궤변을 재탕한 연설에 불과했다고 비판했습니다.
개혁신당도 개헌 제안에 앞서 헌정 유린 사태에 대한 사과부터 하라고 촉구했습니다.
KBS 뉴스 이희연입니다.
촬영기자:임태호/영상편집:김선영/그래픽:김정현
권성동 원내대표 연설에 민주당은 이재명 탓, 전 정부 탓 뿐이었다면서 여당 포기 선언문이라고 논평했습니다.
내란 사태에 대한 반성은 없었고, 개헌 제안은 꼼수였다고 말했습니다.
야권 반응을 이희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연설 도중 민주당의 거친 항의는 없었습니다.
[한창민/사회민주당 대표 : "부끄럽지도 않습니까!"]
그러나 본회의장을 나와서는 맹비난을 퍼부었습니다.
'내란 사태'에 대한 반성도 없었고, 여당으로서 민생과 경제 살리기에 대한 책임감도 없다는 겁니다.
[윤종군/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 : "10글자 사과와 34쪽 거짓과 궤변, 한마디로 여당 포기 선언문이었습니다. 내란 사태로 인한 국정 혼란과 민주주의 후퇴, 민생 파탄이라는 본질을 흐리기 위한 궤변과 꼼수입니다."]
연설에서 '민주당'은 44번, '이재명'은 18번 언급됐는데, 이 대표와 민주당에 대한 욕설과 비난만 난무한 책임 떠넘기기로 일관했다고 비판했습니다.
[박찬대/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내용이 없었다…. 우리 민주당 얘기만 주로 하셔 가지고. 본인들 얘기를 많이 하셔야 되는데."]
개헌 제안에 대해서도 "본질을 흐리기 위한 꼼수"에 불과하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지역화폐를 배제한 추경 언급에 대해선 민생을 당리당략으로 보지 말라고 당부했습니다.
조국혁신당은 비상계엄 선포마저 '민주당 탓'으로 돌리는 행태가 황당하다고 했고, 진보당은 윤 대통령의 궤변을 재탕한 연설에 불과했다고 비판했습니다.
개혁신당도 개헌 제안에 앞서 헌정 유린 사태에 대한 사과부터 하라고 촉구했습니다.
KBS 뉴스 이희연입니다.
촬영기자:임태호/영상편집:김선영/그래픽:김정현
-
-
이희연 기자 hear@kbs.co.kr
이희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