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반도체 산업 되찾아올 것”…애플·삼성 관세 면제 없다
입력 2025.02.14 (19:13)
수정 2025.02.14 (19: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상호 관세 적용에서 개별 품목에도 예외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삼성과 애플을 직접 언급하면서, 더 이상 면세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백악관은 바이든 정부의 반도체 보조금 정책도 재협상을 추진할 방침입니다.
김양순 기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미 대통령은 각국에 대한 상호 관세가 아주 단순하게 부과될 것이라며 개별 품목에도 예외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중국에서 아이폰을 생산하고 있는 애플과 반도체를 생산하고 있는 삼성을 콕 집어서 예외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관세에서) 애플을 면제했었고, 삼성을 면제했었던 건 이들이 중국에 세금을 내기 때문이었습니다. 애플은 중국에서 많은 제품을 생산하거든요. (당시에는 면세가) 공평하기 때문에 그렇게 했어요. 하지만 이제 적용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상호 관세 조치가 발효되면 미국이 잃어버린 자동차와 반도체 산업도 되찾아올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전 세계 반도체 주요 생산 기지인 타이완과 한국을 지목하며 앞으로는 미국에서 반도체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타이완이 반도체 산업을 빼앗아 갔습니다. 우린 이걸 다시 미국으로 가져올 겁니다. 만약 미국으로 다시 가져오지 않는다면 우리는 별로 행복하지 않을 거예요."]
미 백악관은 지난 2022년 바이든 행정부 당시 미국에서 반도체를 생산하는 외국 투자 기업에게 보조금을 지급하도록 한 반도체법도 재협상할 방침도 전했습니다.
반도체법에 따라 보조금을 받는 기업들은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 TSMC 등 외국 기업은 물론 인텔 등 미국 반도체 기업도 포함됩니다.
KBS 뉴스 김양순입니다.
영상편집:이인영/자료조사:김나영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상호 관세 적용에서 개별 품목에도 예외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삼성과 애플을 직접 언급하면서, 더 이상 면세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백악관은 바이든 정부의 반도체 보조금 정책도 재협상을 추진할 방침입니다.
김양순 기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미 대통령은 각국에 대한 상호 관세가 아주 단순하게 부과될 것이라며 개별 품목에도 예외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중국에서 아이폰을 생산하고 있는 애플과 반도체를 생산하고 있는 삼성을 콕 집어서 예외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관세에서) 애플을 면제했었고, 삼성을 면제했었던 건 이들이 중국에 세금을 내기 때문이었습니다. 애플은 중국에서 많은 제품을 생산하거든요. (당시에는 면세가) 공평하기 때문에 그렇게 했어요. 하지만 이제 적용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상호 관세 조치가 발효되면 미국이 잃어버린 자동차와 반도체 산업도 되찾아올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전 세계 반도체 주요 생산 기지인 타이완과 한국을 지목하며 앞으로는 미국에서 반도체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타이완이 반도체 산업을 빼앗아 갔습니다. 우린 이걸 다시 미국으로 가져올 겁니다. 만약 미국으로 다시 가져오지 않는다면 우리는 별로 행복하지 않을 거예요."]
미 백악관은 지난 2022년 바이든 행정부 당시 미국에서 반도체를 생산하는 외국 투자 기업에게 보조금을 지급하도록 한 반도체법도 재협상할 방침도 전했습니다.
반도체법에 따라 보조금을 받는 기업들은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 TSMC 등 외국 기업은 물론 인텔 등 미국 반도체 기업도 포함됩니다.
KBS 뉴스 김양순입니다.
영상편집:이인영/자료조사:김나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반도체 산업 되찾아올 것”…애플·삼성 관세 면제 없다
-
- 입력 2025-02-14 19:13:56
- 수정2025-02-14 19:45:43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상호 관세 적용에서 개별 품목에도 예외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삼성과 애플을 직접 언급하면서, 더 이상 면세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백악관은 바이든 정부의 반도체 보조금 정책도 재협상을 추진할 방침입니다.
김양순 기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미 대통령은 각국에 대한 상호 관세가 아주 단순하게 부과될 것이라며 개별 품목에도 예외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중국에서 아이폰을 생산하고 있는 애플과 반도체를 생산하고 있는 삼성을 콕 집어서 예외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관세에서) 애플을 면제했었고, 삼성을 면제했었던 건 이들이 중국에 세금을 내기 때문이었습니다. 애플은 중국에서 많은 제품을 생산하거든요. (당시에는 면세가) 공평하기 때문에 그렇게 했어요. 하지만 이제 적용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상호 관세 조치가 발효되면 미국이 잃어버린 자동차와 반도체 산업도 되찾아올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전 세계 반도체 주요 생산 기지인 타이완과 한국을 지목하며 앞으로는 미국에서 반도체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타이완이 반도체 산업을 빼앗아 갔습니다. 우린 이걸 다시 미국으로 가져올 겁니다. 만약 미국으로 다시 가져오지 않는다면 우리는 별로 행복하지 않을 거예요."]
미 백악관은 지난 2022년 바이든 행정부 당시 미국에서 반도체를 생산하는 외국 투자 기업에게 보조금을 지급하도록 한 반도체법도 재협상할 방침도 전했습니다.
반도체법에 따라 보조금을 받는 기업들은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 TSMC 등 외국 기업은 물론 인텔 등 미국 반도체 기업도 포함됩니다.
KBS 뉴스 김양순입니다.
영상편집:이인영/자료조사:김나영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상호 관세 적용에서 개별 품목에도 예외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삼성과 애플을 직접 언급하면서, 더 이상 면세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백악관은 바이든 정부의 반도체 보조금 정책도 재협상을 추진할 방침입니다.
김양순 기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미 대통령은 각국에 대한 상호 관세가 아주 단순하게 부과될 것이라며 개별 품목에도 예외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중국에서 아이폰을 생산하고 있는 애플과 반도체를 생산하고 있는 삼성을 콕 집어서 예외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관세에서) 애플을 면제했었고, 삼성을 면제했었던 건 이들이 중국에 세금을 내기 때문이었습니다. 애플은 중국에서 많은 제품을 생산하거든요. (당시에는 면세가) 공평하기 때문에 그렇게 했어요. 하지만 이제 적용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상호 관세 조치가 발효되면 미국이 잃어버린 자동차와 반도체 산업도 되찾아올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전 세계 반도체 주요 생산 기지인 타이완과 한국을 지목하며 앞으로는 미국에서 반도체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타이완이 반도체 산업을 빼앗아 갔습니다. 우린 이걸 다시 미국으로 가져올 겁니다. 만약 미국으로 다시 가져오지 않는다면 우리는 별로 행복하지 않을 거예요."]
미 백악관은 지난 2022년 바이든 행정부 당시 미국에서 반도체를 생산하는 외국 투자 기업에게 보조금을 지급하도록 한 반도체법도 재협상할 방침도 전했습니다.
반도체법에 따라 보조금을 받는 기업들은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 TSMC 등 외국 기업은 물론 인텔 등 미국 반도체 기업도 포함됩니다.
KBS 뉴스 김양순입니다.
영상편집:이인영/자료조사:김나영
-
-
김양순 기자 ysooni@kbs.co.kr
김양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