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장까지 만났지만…의대 정원은 여전히 ‘혼란’
입력 2025.02.17 (21:43)
수정 2025.02.17 (21: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김택우 대한의사협회 회장이 우원식 국회의장을 만나 의대 증원 백지화를 거듭 요구했습니다.
학사 일정상 당장 내년도 의대 정원을 결정해야 하지만, 여전히 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진선민 기잡니다.
[리포트]
의정 갈등 해결 의지가 없다며 정부를 비판해온 김택우 의사협회장, 취임 후 처음으로 우원식 국회의장과 면담을 갖고, 의대 증원 백지화라는 기존 입장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김택우/대한의사협회장 : "의사 수만 늘려서는 지역의료와 필수의료를 살릴 수 없다고 말하는 학생들과 전공의들의 목소리를 외면해서는 안 됩니다."]
우 의장은 정부와 여당이 좀 더 유연성을 갖고 대화해야 한다면서 적극 중재에 나서겠다고 화답했습니다.
[우원식/국회의장 : "국회가 좀 더 적극적으로 이 문제에 나서야겠습니다. 그 시작은 중요한 당사자들의 대화를 어떻게 복원해 나가느냐..."]
정부가 공언한 내년도 의대 정원 확정 시한은 불과 열흘 남짓 남았습니다.
내년도 의대 정원을 이달 안에 결정해야 각 대학이 3월까지 확정된 정원을 교육부에 제출할 수 있습니다.
이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심사를 거쳐 5월에 입시요강을 발표하게 됩니다.
입시 일정이 빠듯한데도 정부와 의료계는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습니다.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정부의 통제력은 예전같지 않은 상황입니다.
[박단/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 : "이주호 교육부 장관과 조규홍 복지부 장관께서 이런 것들을 맡아서 하고 있지만 해결에 진전이 없는 상태고..."]
휴학생 복귀 시 올해 의대 1학년은 7천5백 명.
과연 정상적인 교육이 가능할 지를 놓고서도 정부와 의료계는 첨예하게 맞서고 있습니다.
KBS 뉴스 진선민입니다.
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김지혜
김택우 대한의사협회 회장이 우원식 국회의장을 만나 의대 증원 백지화를 거듭 요구했습니다.
학사 일정상 당장 내년도 의대 정원을 결정해야 하지만, 여전히 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진선민 기잡니다.
[리포트]
의정 갈등 해결 의지가 없다며 정부를 비판해온 김택우 의사협회장, 취임 후 처음으로 우원식 국회의장과 면담을 갖고, 의대 증원 백지화라는 기존 입장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김택우/대한의사협회장 : "의사 수만 늘려서는 지역의료와 필수의료를 살릴 수 없다고 말하는 학생들과 전공의들의 목소리를 외면해서는 안 됩니다."]
우 의장은 정부와 여당이 좀 더 유연성을 갖고 대화해야 한다면서 적극 중재에 나서겠다고 화답했습니다.
[우원식/국회의장 : "국회가 좀 더 적극적으로 이 문제에 나서야겠습니다. 그 시작은 중요한 당사자들의 대화를 어떻게 복원해 나가느냐..."]
정부가 공언한 내년도 의대 정원 확정 시한은 불과 열흘 남짓 남았습니다.
내년도 의대 정원을 이달 안에 결정해야 각 대학이 3월까지 확정된 정원을 교육부에 제출할 수 있습니다.
이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심사를 거쳐 5월에 입시요강을 발표하게 됩니다.
입시 일정이 빠듯한데도 정부와 의료계는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습니다.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정부의 통제력은 예전같지 않은 상황입니다.
[박단/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 : "이주호 교육부 장관과 조규홍 복지부 장관께서 이런 것들을 맡아서 하고 있지만 해결에 진전이 없는 상태고..."]
휴학생 복귀 시 올해 의대 1학년은 7천5백 명.
과연 정상적인 교육이 가능할 지를 놓고서도 정부와 의료계는 첨예하게 맞서고 있습니다.
KBS 뉴스 진선민입니다.
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김지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회의장까지 만났지만…의대 정원은 여전히 ‘혼란’
-
- 입력 2025-02-17 21:43:16
- 수정2025-02-17 21:57:40

[앵커]
김택우 대한의사협회 회장이 우원식 국회의장을 만나 의대 증원 백지화를 거듭 요구했습니다.
학사 일정상 당장 내년도 의대 정원을 결정해야 하지만, 여전히 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진선민 기잡니다.
[리포트]
의정 갈등 해결 의지가 없다며 정부를 비판해온 김택우 의사협회장, 취임 후 처음으로 우원식 국회의장과 면담을 갖고, 의대 증원 백지화라는 기존 입장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김택우/대한의사협회장 : "의사 수만 늘려서는 지역의료와 필수의료를 살릴 수 없다고 말하는 학생들과 전공의들의 목소리를 외면해서는 안 됩니다."]
우 의장은 정부와 여당이 좀 더 유연성을 갖고 대화해야 한다면서 적극 중재에 나서겠다고 화답했습니다.
[우원식/국회의장 : "국회가 좀 더 적극적으로 이 문제에 나서야겠습니다. 그 시작은 중요한 당사자들의 대화를 어떻게 복원해 나가느냐..."]
정부가 공언한 내년도 의대 정원 확정 시한은 불과 열흘 남짓 남았습니다.
내년도 의대 정원을 이달 안에 결정해야 각 대학이 3월까지 확정된 정원을 교육부에 제출할 수 있습니다.
이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심사를 거쳐 5월에 입시요강을 발표하게 됩니다.
입시 일정이 빠듯한데도 정부와 의료계는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습니다.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정부의 통제력은 예전같지 않은 상황입니다.
[박단/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 : "이주호 교육부 장관과 조규홍 복지부 장관께서 이런 것들을 맡아서 하고 있지만 해결에 진전이 없는 상태고..."]
휴학생 복귀 시 올해 의대 1학년은 7천5백 명.
과연 정상적인 교육이 가능할 지를 놓고서도 정부와 의료계는 첨예하게 맞서고 있습니다.
KBS 뉴스 진선민입니다.
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김지혜
김택우 대한의사협회 회장이 우원식 국회의장을 만나 의대 증원 백지화를 거듭 요구했습니다.
학사 일정상 당장 내년도 의대 정원을 결정해야 하지만, 여전히 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진선민 기잡니다.
[리포트]
의정 갈등 해결 의지가 없다며 정부를 비판해온 김택우 의사협회장, 취임 후 처음으로 우원식 국회의장과 면담을 갖고, 의대 증원 백지화라는 기존 입장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김택우/대한의사협회장 : "의사 수만 늘려서는 지역의료와 필수의료를 살릴 수 없다고 말하는 학생들과 전공의들의 목소리를 외면해서는 안 됩니다."]
우 의장은 정부와 여당이 좀 더 유연성을 갖고 대화해야 한다면서 적극 중재에 나서겠다고 화답했습니다.
[우원식/국회의장 : "국회가 좀 더 적극적으로 이 문제에 나서야겠습니다. 그 시작은 중요한 당사자들의 대화를 어떻게 복원해 나가느냐..."]
정부가 공언한 내년도 의대 정원 확정 시한은 불과 열흘 남짓 남았습니다.
내년도 의대 정원을 이달 안에 결정해야 각 대학이 3월까지 확정된 정원을 교육부에 제출할 수 있습니다.
이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심사를 거쳐 5월에 입시요강을 발표하게 됩니다.
입시 일정이 빠듯한데도 정부와 의료계는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습니다.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정부의 통제력은 예전같지 않은 상황입니다.
[박단/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 : "이주호 교육부 장관과 조규홍 복지부 장관께서 이런 것들을 맡아서 하고 있지만 해결에 진전이 없는 상태고..."]
휴학생 복귀 시 올해 의대 1학년은 7천5백 명.
과연 정상적인 교육이 가능할 지를 놓고서도 정부와 의료계는 첨예하게 맞서고 있습니다.
KBS 뉴스 진선민입니다.
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김지혜
-
-
진선민 기자 jsm@kbs.co.kr
진선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보건의료 위기경보 ‘심각’…집단휴진 사태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