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곧 푸틴 만날 수도”…미러 내일 우크라 빼고 고위급 회담

입력 2025.02.17 (23:24) 수정 2025.02.17 (23: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포트]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기 위한 협상 시계가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당장 내일, 미국과 러시아의 고위급이 사우디에서 대면합니다.

이 만남의 성과에 따라 조만간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회담이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김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대한 빨리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만날 수 있을 거라고 밝혔습니다.

만남의 의제,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푸틴 대통령과의 만남은) 최대한 빨리 이뤄질 수 있습니다. 곧 만날 수 있을 겁니다.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봅시다. 지금도 만나고 있고 뭔가 더 있을 거예요."]

크렘린궁도 긍정적입니다.

이르면 이달 안, 장소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유력합니다.

사전 작업도 준비 중입니다.

내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미국과 러시아 고위급 회담이 열립니다.

미국에선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이 참석하고, 러시아에선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 등이 회담에 나간다고 밝혔습니다.

전후 국경선은 어떻게 할지, 전쟁 재발을 어떻게 막을지 같은 종전의 세부 조건들이 조율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전쟁 당사자 우크라이나는 내일 협상에 빠져 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누구도 푸틴을 믿어서는 안 된다며, 자신들이 배제된 협상 결과는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우크라이나 대통령 : "우크라이나는 우리의 참여 없이 우리 등 뒤에서 이루어진 거래를 결코 받아들이지 않을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도 종전을 위한 대화에 참여할 거라고는 밝혔지만, 언제, 어떤 방식으로 협상에 참여시킬지는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김성일/자료조사:김시온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곧 푸틴 만날 수도”…미러 내일 우크라 빼고 고위급 회담
    • 입력 2025-02-17 23:24:10
    • 수정2025-02-17 23:48:28
    뉴스라인 W
[리포트]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기 위한 협상 시계가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당장 내일, 미국과 러시아의 고위급이 사우디에서 대면합니다.

이 만남의 성과에 따라 조만간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회담이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김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대한 빨리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만날 수 있을 거라고 밝혔습니다.

만남의 의제,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푸틴 대통령과의 만남은) 최대한 빨리 이뤄질 수 있습니다. 곧 만날 수 있을 겁니다.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봅시다. 지금도 만나고 있고 뭔가 더 있을 거예요."]

크렘린궁도 긍정적입니다.

이르면 이달 안, 장소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유력합니다.

사전 작업도 준비 중입니다.

내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미국과 러시아 고위급 회담이 열립니다.

미국에선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이 참석하고, 러시아에선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 등이 회담에 나간다고 밝혔습니다.

전후 국경선은 어떻게 할지, 전쟁 재발을 어떻게 막을지 같은 종전의 세부 조건들이 조율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전쟁 당사자 우크라이나는 내일 협상에 빠져 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누구도 푸틴을 믿어서는 안 된다며, 자신들이 배제된 협상 결과는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우크라이나 대통령 : "우크라이나는 우리의 참여 없이 우리 등 뒤에서 이루어진 거래를 결코 받아들이지 않을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도 종전을 위한 대화에 참여할 거라고는 밝혔지만, 언제, 어떤 방식으로 협상에 참여시킬지는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김성일/자료조사:김시온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