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불 끄러 잇단 미국행…‘영리한 협상’ 고심
입력 2025.02.18 (06:14)
수정 2025.02.18 (07: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거세지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에 우리 정부와 기업인들이 잇따라 미국으로 건너 가 협상을 시작합니다.
다소 늦었지만 트럼프 1기 때 경험을 되살려 '적게' 내어주고 실리를 챙기는 방법, 고심하고 있습니다.
하누리 기자입니다.
[리포트]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과 삼성, 현대, LG 등 기업인들도 내일(19일) 미국으로 떠납니다.
이 '경제사절단'은 투자 협력안을 들고 갑니다.
미국산 에너지 수입 늘리고, 조선 분야 협력 방안과 완성차 제조시설 투자 등이 포함됐습니다.
일단 미국에 내줄 건 내주고 파도를 막자는 건데, 트럼프 1기 때 얻은 교훈입니다.
[로버트 라이트하이저/2018년 당시 미 무역대표부 대표 : "트럼프 대통령이 내린 결정은 일부 국가들에 대한 관세 부과를 중단하는 것입니다."]
당시 우리 정부는 픽업트럭을 수출할 때는 미국에 관세를 20년 더 물고 미국산 자동차를 수입할 땐 규제를 일부 풀어주는 등의 방식으로 한미 FTA를 개정했습니다.
미국산 수입을 늘리면서도 실질적 피해는 줄이는 '영리한 대책'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주원/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 "미국산 자동차가 잘 안 팔리죠. 받아들이는 조치를 하더라도 크게 문제가 될 건 없어요. 에너지를 포함해서 농산물이라든가 이런 쪽을 좀 많이 수입해 주는 그런 전략이 아마 필요하다고..."]
정부는 다음주 산업부 장관 방미 때 보다 구체적인 협상안을 제시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하누리입니다.
촬영기자:김철호/영상편집:이진이/그래픽:여현수
거세지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에 우리 정부와 기업인들이 잇따라 미국으로 건너 가 협상을 시작합니다.
다소 늦었지만 트럼프 1기 때 경험을 되살려 '적게' 내어주고 실리를 챙기는 방법, 고심하고 있습니다.
하누리 기자입니다.
[리포트]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과 삼성, 현대, LG 등 기업인들도 내일(19일) 미국으로 떠납니다.
이 '경제사절단'은 투자 협력안을 들고 갑니다.
미국산 에너지 수입 늘리고, 조선 분야 협력 방안과 완성차 제조시설 투자 등이 포함됐습니다.
일단 미국에 내줄 건 내주고 파도를 막자는 건데, 트럼프 1기 때 얻은 교훈입니다.
[로버트 라이트하이저/2018년 당시 미 무역대표부 대표 : "트럼프 대통령이 내린 결정은 일부 국가들에 대한 관세 부과를 중단하는 것입니다."]
당시 우리 정부는 픽업트럭을 수출할 때는 미국에 관세를 20년 더 물고 미국산 자동차를 수입할 땐 규제를 일부 풀어주는 등의 방식으로 한미 FTA를 개정했습니다.
미국산 수입을 늘리면서도 실질적 피해는 줄이는 '영리한 대책'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주원/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 "미국산 자동차가 잘 안 팔리죠. 받아들이는 조치를 하더라도 크게 문제가 될 건 없어요. 에너지를 포함해서 농산물이라든가 이런 쪽을 좀 많이 수입해 주는 그런 전략이 아마 필요하다고..."]
정부는 다음주 산업부 장관 방미 때 보다 구체적인 협상안을 제시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하누리입니다.
촬영기자:김철호/영상편집:이진이/그래픽:여현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관세 불 끄러 잇단 미국행…‘영리한 협상’ 고심
-
- 입력 2025-02-18 06:14:28
- 수정2025-02-18 07:54:53

[앵커]
거세지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에 우리 정부와 기업인들이 잇따라 미국으로 건너 가 협상을 시작합니다.
다소 늦었지만 트럼프 1기 때 경험을 되살려 '적게' 내어주고 실리를 챙기는 방법, 고심하고 있습니다.
하누리 기자입니다.
[리포트]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과 삼성, 현대, LG 등 기업인들도 내일(19일) 미국으로 떠납니다.
이 '경제사절단'은 투자 협력안을 들고 갑니다.
미국산 에너지 수입 늘리고, 조선 분야 협력 방안과 완성차 제조시설 투자 등이 포함됐습니다.
일단 미국에 내줄 건 내주고 파도를 막자는 건데, 트럼프 1기 때 얻은 교훈입니다.
[로버트 라이트하이저/2018년 당시 미 무역대표부 대표 : "트럼프 대통령이 내린 결정은 일부 국가들에 대한 관세 부과를 중단하는 것입니다."]
당시 우리 정부는 픽업트럭을 수출할 때는 미국에 관세를 20년 더 물고 미국산 자동차를 수입할 땐 규제를 일부 풀어주는 등의 방식으로 한미 FTA를 개정했습니다.
미국산 수입을 늘리면서도 실질적 피해는 줄이는 '영리한 대책'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주원/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 "미국산 자동차가 잘 안 팔리죠. 받아들이는 조치를 하더라도 크게 문제가 될 건 없어요. 에너지를 포함해서 농산물이라든가 이런 쪽을 좀 많이 수입해 주는 그런 전략이 아마 필요하다고..."]
정부는 다음주 산업부 장관 방미 때 보다 구체적인 협상안을 제시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하누리입니다.
촬영기자:김철호/영상편집:이진이/그래픽:여현수
거세지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에 우리 정부와 기업인들이 잇따라 미국으로 건너 가 협상을 시작합니다.
다소 늦었지만 트럼프 1기 때 경험을 되살려 '적게' 내어주고 실리를 챙기는 방법, 고심하고 있습니다.
하누리 기자입니다.
[리포트]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과 삼성, 현대, LG 등 기업인들도 내일(19일) 미국으로 떠납니다.
이 '경제사절단'은 투자 협력안을 들고 갑니다.
미국산 에너지 수입 늘리고, 조선 분야 협력 방안과 완성차 제조시설 투자 등이 포함됐습니다.
일단 미국에 내줄 건 내주고 파도를 막자는 건데, 트럼프 1기 때 얻은 교훈입니다.
[로버트 라이트하이저/2018년 당시 미 무역대표부 대표 : "트럼프 대통령이 내린 결정은 일부 국가들에 대한 관세 부과를 중단하는 것입니다."]
당시 우리 정부는 픽업트럭을 수출할 때는 미국에 관세를 20년 더 물고 미국산 자동차를 수입할 땐 규제를 일부 풀어주는 등의 방식으로 한미 FTA를 개정했습니다.
미국산 수입을 늘리면서도 실질적 피해는 줄이는 '영리한 대책'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주원/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 "미국산 자동차가 잘 안 팔리죠. 받아들이는 조치를 하더라도 크게 문제가 될 건 없어요. 에너지를 포함해서 농산물이라든가 이런 쪽을 좀 많이 수입해 주는 그런 전략이 아마 필요하다고..."]
정부는 다음주 산업부 장관 방미 때 보다 구체적인 협상안을 제시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하누리입니다.
촬영기자:김철호/영상편집:이진이/그래픽:여현수
-
-
하누리 기자 ha@kbs.co.kr
하누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