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측, 검찰 조서 공개에…윤 측 대리인, 항의끝 퇴장
입력 2025.02.18 (21:02)
수정 2025.02.18 (21: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양측은 피의자 신문조서를 놓고도 충돌했습니다.
국회 측이 조서를 공개하자, 대통령 측이 증인으로 나오지도 않은 피의자들 조서를 증거로 쓸 순 없다고 강하게 항의했습니다.
재판부가 항의를 받아주지 않자, 대통령 측 대리인은 퇴장했습니다.
이어서 강푸른 기자.
[리포트]
국회 소추단 측은 두 시간 동안의 변론에서 수사기관의 피의자 신문조서를 상세히 제시했습니다.
[김선휴/국회 측 대리인 : "(윤 대통령이) '조 청장, 국회에 들어가는 국회의원들 다 잡아. 체포해. 불법이야'라며 같은 취지로 반복하여 지시하였다고 (조지호 경찰청장이) 진술하였습니다."]
탄핵 심판 증인으로 채택되지 않은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의 피의자신문조서 내용도 일부 공개했는데, 윤 대통령 측은 즉각 반발했습니다.
[장순욱/국회 측 대리인-조대현/윤 대통령 대리인 : "문상호에 대한 2회 진술 조서 진술 내용입니다. (이의 있습니다.)"]
[조대현/윤 대통령 대리인 : "피청구인 측에서 반대신문으로 신빙성을 탄핵할 수 없는 진술 조서에 대해서 증거 조사하는 것은 법률에 위반된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헌법재판소는 증거 채택 결정은 이미 4차 기일에 이뤄졌고, 관련 문제 제기에 대해선 이미 의견을 밝혔다며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문형배/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 "두 차례 이상 재판부 의견을 밝혔기 때문에…."]
문제제기를 한 윤 대통령 측 대리인은 이후 짐을 챙겨 퇴정했습니다.
윤 대통령 측은 정계선 헌법재판관이 국회 소추단 측 대리인인 김이수 변호사와 사법연수원 사제지간이라며, 공정성 의혹도 추가 제기했습니다.
반면, 국회 소추단 측은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의 거주지로 지목된 곳에서 벌어지는 강성 시위를 비판하며, 윤 대통령 주변 인사들을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KBS 뉴스 강푸른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영상편집:최근혁
양측은 피의자 신문조서를 놓고도 충돌했습니다.
국회 측이 조서를 공개하자, 대통령 측이 증인으로 나오지도 않은 피의자들 조서를 증거로 쓸 순 없다고 강하게 항의했습니다.
재판부가 항의를 받아주지 않자, 대통령 측 대리인은 퇴장했습니다.
이어서 강푸른 기자.
[리포트]
국회 소추단 측은 두 시간 동안의 변론에서 수사기관의 피의자 신문조서를 상세히 제시했습니다.
[김선휴/국회 측 대리인 : "(윤 대통령이) '조 청장, 국회에 들어가는 국회의원들 다 잡아. 체포해. 불법이야'라며 같은 취지로 반복하여 지시하였다고 (조지호 경찰청장이) 진술하였습니다."]
탄핵 심판 증인으로 채택되지 않은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의 피의자신문조서 내용도 일부 공개했는데, 윤 대통령 측은 즉각 반발했습니다.
[장순욱/국회 측 대리인-조대현/윤 대통령 대리인 : "문상호에 대한 2회 진술 조서 진술 내용입니다. (이의 있습니다.)"]
[조대현/윤 대통령 대리인 : "피청구인 측에서 반대신문으로 신빙성을 탄핵할 수 없는 진술 조서에 대해서 증거 조사하는 것은 법률에 위반된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헌법재판소는 증거 채택 결정은 이미 4차 기일에 이뤄졌고, 관련 문제 제기에 대해선 이미 의견을 밝혔다며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문형배/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 "두 차례 이상 재판부 의견을 밝혔기 때문에…."]
문제제기를 한 윤 대통령 측 대리인은 이후 짐을 챙겨 퇴정했습니다.
윤 대통령 측은 정계선 헌법재판관이 국회 소추단 측 대리인인 김이수 변호사와 사법연수원 사제지간이라며, 공정성 의혹도 추가 제기했습니다.
반면, 국회 소추단 측은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의 거주지로 지목된 곳에서 벌어지는 강성 시위를 비판하며, 윤 대통령 주변 인사들을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KBS 뉴스 강푸른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영상편집:최근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회 측, 검찰 조서 공개에…윤 측 대리인, 항의끝 퇴장
-
- 입력 2025-02-18 21:02:50
- 수정2025-02-18 21:10:05

[앵커]
양측은 피의자 신문조서를 놓고도 충돌했습니다.
국회 측이 조서를 공개하자, 대통령 측이 증인으로 나오지도 않은 피의자들 조서를 증거로 쓸 순 없다고 강하게 항의했습니다.
재판부가 항의를 받아주지 않자, 대통령 측 대리인은 퇴장했습니다.
이어서 강푸른 기자.
[리포트]
국회 소추단 측은 두 시간 동안의 변론에서 수사기관의 피의자 신문조서를 상세히 제시했습니다.
[김선휴/국회 측 대리인 : "(윤 대통령이) '조 청장, 국회에 들어가는 국회의원들 다 잡아. 체포해. 불법이야'라며 같은 취지로 반복하여 지시하였다고 (조지호 경찰청장이) 진술하였습니다."]
탄핵 심판 증인으로 채택되지 않은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의 피의자신문조서 내용도 일부 공개했는데, 윤 대통령 측은 즉각 반발했습니다.
[장순욱/국회 측 대리인-조대현/윤 대통령 대리인 : "문상호에 대한 2회 진술 조서 진술 내용입니다. (이의 있습니다.)"]
[조대현/윤 대통령 대리인 : "피청구인 측에서 반대신문으로 신빙성을 탄핵할 수 없는 진술 조서에 대해서 증거 조사하는 것은 법률에 위반된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헌법재판소는 증거 채택 결정은 이미 4차 기일에 이뤄졌고, 관련 문제 제기에 대해선 이미 의견을 밝혔다며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문형배/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 "두 차례 이상 재판부 의견을 밝혔기 때문에…."]
문제제기를 한 윤 대통령 측 대리인은 이후 짐을 챙겨 퇴정했습니다.
윤 대통령 측은 정계선 헌법재판관이 국회 소추단 측 대리인인 김이수 변호사와 사법연수원 사제지간이라며, 공정성 의혹도 추가 제기했습니다.
반면, 국회 소추단 측은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의 거주지로 지목된 곳에서 벌어지는 강성 시위를 비판하며, 윤 대통령 주변 인사들을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KBS 뉴스 강푸른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영상편집:최근혁
양측은 피의자 신문조서를 놓고도 충돌했습니다.
국회 측이 조서를 공개하자, 대통령 측이 증인으로 나오지도 않은 피의자들 조서를 증거로 쓸 순 없다고 강하게 항의했습니다.
재판부가 항의를 받아주지 않자, 대통령 측 대리인은 퇴장했습니다.
이어서 강푸른 기자.
[리포트]
국회 소추단 측은 두 시간 동안의 변론에서 수사기관의 피의자 신문조서를 상세히 제시했습니다.
[김선휴/국회 측 대리인 : "(윤 대통령이) '조 청장, 국회에 들어가는 국회의원들 다 잡아. 체포해. 불법이야'라며 같은 취지로 반복하여 지시하였다고 (조지호 경찰청장이) 진술하였습니다."]
탄핵 심판 증인으로 채택되지 않은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의 피의자신문조서 내용도 일부 공개했는데, 윤 대통령 측은 즉각 반발했습니다.
[장순욱/국회 측 대리인-조대현/윤 대통령 대리인 : "문상호에 대한 2회 진술 조서 진술 내용입니다. (이의 있습니다.)"]
[조대현/윤 대통령 대리인 : "피청구인 측에서 반대신문으로 신빙성을 탄핵할 수 없는 진술 조서에 대해서 증거 조사하는 것은 법률에 위반된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헌법재판소는 증거 채택 결정은 이미 4차 기일에 이뤄졌고, 관련 문제 제기에 대해선 이미 의견을 밝혔다며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문형배/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 "두 차례 이상 재판부 의견을 밝혔기 때문에…."]
문제제기를 한 윤 대통령 측 대리인은 이후 짐을 챙겨 퇴정했습니다.
윤 대통령 측은 정계선 헌법재판관이 국회 소추단 측 대리인인 김이수 변호사와 사법연수원 사제지간이라며, 공정성 의혹도 추가 제기했습니다.
반면, 국회 소추단 측은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의 거주지로 지목된 곳에서 벌어지는 강성 시위를 비판하며, 윤 대통령 주변 인사들을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KBS 뉴스 강푸른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영상편집:최근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윤석열 대통령 구속기소…헌정 최초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