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죽음 내몬 ‘악플’…“황색 언론 스토킹이 공조”
입력 2025.02.19 (06:53)
수정 2025.02.19 (07: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제 25살, 장래가 기대되던 배우가 세상을 등졌습니다.
배우 김새론의 갑작스러운 죽음의 원인으로 도 넘은 '악플'이 또다시 지목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에는 악플을 양산하는 일부 자극적인 황색 언론과 유튜브 방송에 대한 비판이 큽니다.
무엇을 바꿔야 안타까운 죽음을 막을 수 있을까요?
김현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갑작스러운 죽음에 빈소는 깊은 충격과 슬픔에 빠졌습니다.
배우 김새론의 비보가 전해지면서 동료 연예인들의 추모가 잇따르는 가운데, 가수 미교의 추모글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사람이 죽어야 악성 댓글 다는 손이 멈춘다", "어그로 끌려고 자극적으로 기사를 내는 언론도 마찬가지"라고 적었습니다.
누리꾼 사이에서도 자성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한 온라인 게시판에는 누리꾼들이 성명을 내고, 연예인에게만 엄격한 잣대를 들이미는 이중적 현실이라며, 안타까운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사회적 성찰'이 필요하다고 꼬집었습니다.
[하재근/문화평론가 : "연예인을 공인이라고 하면서 그 연예인에 대한 모든 사생활까지 다 국민들 도덕의 잣대로 재단하고 까발리고, 공격하는 그런 경향이 있는데, 사실 진짜 공인은 권력자들, 정치인들 이런 사람들이고…."]
자극적 언론과 스토킹에 가까운 일부 유튜브 방송도 책임을 피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조회 수를 올리려고 사생활을 무분별하게 공격하는 가십성 기사, 이를 확대 재생산하는 일부 유튜브 방송이 사실상 악플의 출발점이라는 겁니다.
[이재국/성균관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 "사실 제대로 저널리즘 기준을 준수하는 측은 이렇게 크게 다루거나 또는 아예 안 다루겠죠. 악성 댓글이 달렸다고 그래서 그걸 기사화하지 않으면 기사가 안 되는 거죠. 수익성을 노리고 기사화하는 경우가…."]
설리, 구하라, 김새론까지 반복되는 스타들의 죽음에 대해 뉴욕 타임스는 "압박 심한 한국 연예산업에 닥친 비극"이라고 보도했고, CNN은 "완벽할 것을 기대하는 대중 분위기가 문제"라고 진단했습니다.
KBS 뉴스 김현수입니다.
촬영기자:권준용/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최창준/영상출처:연합뉴스TV
이제 25살, 장래가 기대되던 배우가 세상을 등졌습니다.
배우 김새론의 갑작스러운 죽음의 원인으로 도 넘은 '악플'이 또다시 지목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에는 악플을 양산하는 일부 자극적인 황색 언론과 유튜브 방송에 대한 비판이 큽니다.
무엇을 바꿔야 안타까운 죽음을 막을 수 있을까요?
김현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갑작스러운 죽음에 빈소는 깊은 충격과 슬픔에 빠졌습니다.
배우 김새론의 비보가 전해지면서 동료 연예인들의 추모가 잇따르는 가운데, 가수 미교의 추모글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사람이 죽어야 악성 댓글 다는 손이 멈춘다", "어그로 끌려고 자극적으로 기사를 내는 언론도 마찬가지"라고 적었습니다.
누리꾼 사이에서도 자성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한 온라인 게시판에는 누리꾼들이 성명을 내고, 연예인에게만 엄격한 잣대를 들이미는 이중적 현실이라며, 안타까운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사회적 성찰'이 필요하다고 꼬집었습니다.
[하재근/문화평론가 : "연예인을 공인이라고 하면서 그 연예인에 대한 모든 사생활까지 다 국민들 도덕의 잣대로 재단하고 까발리고, 공격하는 그런 경향이 있는데, 사실 진짜 공인은 권력자들, 정치인들 이런 사람들이고…."]
자극적 언론과 스토킹에 가까운 일부 유튜브 방송도 책임을 피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조회 수를 올리려고 사생활을 무분별하게 공격하는 가십성 기사, 이를 확대 재생산하는 일부 유튜브 방송이 사실상 악플의 출발점이라는 겁니다.
[이재국/성균관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 "사실 제대로 저널리즘 기준을 준수하는 측은 이렇게 크게 다루거나 또는 아예 안 다루겠죠. 악성 댓글이 달렸다고 그래서 그걸 기사화하지 않으면 기사가 안 되는 거죠. 수익성을 노리고 기사화하는 경우가…."]
설리, 구하라, 김새론까지 반복되는 스타들의 죽음에 대해 뉴욕 타임스는 "압박 심한 한국 연예산업에 닥친 비극"이라고 보도했고, CNN은 "완벽할 것을 기대하는 대중 분위기가 문제"라고 진단했습니다.
KBS 뉴스 김현수입니다.
촬영기자:권준용/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최창준/영상출처:연합뉴스TV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또 죽음 내몬 ‘악플’…“황색 언론 스토킹이 공조”
-
- 입력 2025-02-19 06:53:08
- 수정2025-02-19 07:55:17

[앵커]
이제 25살, 장래가 기대되던 배우가 세상을 등졌습니다.
배우 김새론의 갑작스러운 죽음의 원인으로 도 넘은 '악플'이 또다시 지목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에는 악플을 양산하는 일부 자극적인 황색 언론과 유튜브 방송에 대한 비판이 큽니다.
무엇을 바꿔야 안타까운 죽음을 막을 수 있을까요?
김현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갑작스러운 죽음에 빈소는 깊은 충격과 슬픔에 빠졌습니다.
배우 김새론의 비보가 전해지면서 동료 연예인들의 추모가 잇따르는 가운데, 가수 미교의 추모글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사람이 죽어야 악성 댓글 다는 손이 멈춘다", "어그로 끌려고 자극적으로 기사를 내는 언론도 마찬가지"라고 적었습니다.
누리꾼 사이에서도 자성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한 온라인 게시판에는 누리꾼들이 성명을 내고, 연예인에게만 엄격한 잣대를 들이미는 이중적 현실이라며, 안타까운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사회적 성찰'이 필요하다고 꼬집었습니다.
[하재근/문화평론가 : "연예인을 공인이라고 하면서 그 연예인에 대한 모든 사생활까지 다 국민들 도덕의 잣대로 재단하고 까발리고, 공격하는 그런 경향이 있는데, 사실 진짜 공인은 권력자들, 정치인들 이런 사람들이고…."]
자극적 언론과 스토킹에 가까운 일부 유튜브 방송도 책임을 피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조회 수를 올리려고 사생활을 무분별하게 공격하는 가십성 기사, 이를 확대 재생산하는 일부 유튜브 방송이 사실상 악플의 출발점이라는 겁니다.
[이재국/성균관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 "사실 제대로 저널리즘 기준을 준수하는 측은 이렇게 크게 다루거나 또는 아예 안 다루겠죠. 악성 댓글이 달렸다고 그래서 그걸 기사화하지 않으면 기사가 안 되는 거죠. 수익성을 노리고 기사화하는 경우가…."]
설리, 구하라, 김새론까지 반복되는 스타들의 죽음에 대해 뉴욕 타임스는 "압박 심한 한국 연예산업에 닥친 비극"이라고 보도했고, CNN은 "완벽할 것을 기대하는 대중 분위기가 문제"라고 진단했습니다.
KBS 뉴스 김현수입니다.
촬영기자:권준용/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최창준/영상출처:연합뉴스TV
이제 25살, 장래가 기대되던 배우가 세상을 등졌습니다.
배우 김새론의 갑작스러운 죽음의 원인으로 도 넘은 '악플'이 또다시 지목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에는 악플을 양산하는 일부 자극적인 황색 언론과 유튜브 방송에 대한 비판이 큽니다.
무엇을 바꿔야 안타까운 죽음을 막을 수 있을까요?
김현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갑작스러운 죽음에 빈소는 깊은 충격과 슬픔에 빠졌습니다.
배우 김새론의 비보가 전해지면서 동료 연예인들의 추모가 잇따르는 가운데, 가수 미교의 추모글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사람이 죽어야 악성 댓글 다는 손이 멈춘다", "어그로 끌려고 자극적으로 기사를 내는 언론도 마찬가지"라고 적었습니다.
누리꾼 사이에서도 자성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한 온라인 게시판에는 누리꾼들이 성명을 내고, 연예인에게만 엄격한 잣대를 들이미는 이중적 현실이라며, 안타까운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사회적 성찰'이 필요하다고 꼬집었습니다.
[하재근/문화평론가 : "연예인을 공인이라고 하면서 그 연예인에 대한 모든 사생활까지 다 국민들 도덕의 잣대로 재단하고 까발리고, 공격하는 그런 경향이 있는데, 사실 진짜 공인은 권력자들, 정치인들 이런 사람들이고…."]
자극적 언론과 스토킹에 가까운 일부 유튜브 방송도 책임을 피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조회 수를 올리려고 사생활을 무분별하게 공격하는 가십성 기사, 이를 확대 재생산하는 일부 유튜브 방송이 사실상 악플의 출발점이라는 겁니다.
[이재국/성균관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 "사실 제대로 저널리즘 기준을 준수하는 측은 이렇게 크게 다루거나 또는 아예 안 다루겠죠. 악성 댓글이 달렸다고 그래서 그걸 기사화하지 않으면 기사가 안 되는 거죠. 수익성을 노리고 기사화하는 경우가…."]
설리, 구하라, 김새론까지 반복되는 스타들의 죽음에 대해 뉴욕 타임스는 "압박 심한 한국 연예산업에 닥친 비극"이라고 보도했고, CNN은 "완벽할 것을 기대하는 대중 분위기가 문제"라고 진단했습니다.
KBS 뉴스 김현수입니다.
촬영기자:권준용/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최창준/영상출처:연합뉴스TV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다만 이 기사는 일부 댓글에 모욕・명예훼손 등 현행법에 저촉될 우려가 발견돼 건전한 댓글 문화 정착을 위해 댓글 사용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