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플러스] 남미 호수에 출몰한 ‘녹색’ 카피바라…무슨 일?
입력 2025.02.19 (15:37)
수정 2025.02.19 (15: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명한 초록색을 띠는 네발 동물이 호수 주변을 이리저리 돌아다닙니다.
남미에 서식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설치류 카피바라입니다.
최근 아르헨티나 북서부 엔트레 리오스 주에선 이렇게 초록색으로 돌변한 카피바라가 출몰하고 있는데요.
원인은 바로 수력 발전 댐 건설 이후 조성된 대형 인공 호수의 '녹조' 때문입니다.
특히 기후변화 등의 영향으로 이 녹조 현상이 더욱 심각해지면서 호주 주변에 서식하는 카피바라들이 온몸에 녹조를 뒤집어쓴 채 발견되는 일이 일상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환경 당국의 우려도 커지는 중인데요.
녹조 현상이 강해질수록 독성 농도도 높아져 카피바라를 비롯한 생태계에 큰 피해를 줄 뿐 더러 인근 주민의 건강에도 치명적일 수 있다며 정부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경고했습니다.
남미에 서식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설치류 카피바라입니다.
최근 아르헨티나 북서부 엔트레 리오스 주에선 이렇게 초록색으로 돌변한 카피바라가 출몰하고 있는데요.
원인은 바로 수력 발전 댐 건설 이후 조성된 대형 인공 호수의 '녹조' 때문입니다.
특히 기후변화 등의 영향으로 이 녹조 현상이 더욱 심각해지면서 호주 주변에 서식하는 카피바라들이 온몸에 녹조를 뒤집어쓴 채 발견되는 일이 일상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환경 당국의 우려도 커지는 중인데요.
녹조 현상이 강해질수록 독성 농도도 높아져 카피바라를 비롯한 생태계에 큰 피해를 줄 뿐 더러 인근 주민의 건강에도 치명적일 수 있다며 정부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경고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월드 플러스] 남미 호수에 출몰한 ‘녹색’ 카피바라…무슨 일?
-
- 입력 2025-02-19 15:37:19
- 수정2025-02-19 15:48:35

선명한 초록색을 띠는 네발 동물이 호수 주변을 이리저리 돌아다닙니다.
남미에 서식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설치류 카피바라입니다.
최근 아르헨티나 북서부 엔트레 리오스 주에선 이렇게 초록색으로 돌변한 카피바라가 출몰하고 있는데요.
원인은 바로 수력 발전 댐 건설 이후 조성된 대형 인공 호수의 '녹조' 때문입니다.
특히 기후변화 등의 영향으로 이 녹조 현상이 더욱 심각해지면서 호주 주변에 서식하는 카피바라들이 온몸에 녹조를 뒤집어쓴 채 발견되는 일이 일상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환경 당국의 우려도 커지는 중인데요.
녹조 현상이 강해질수록 독성 농도도 높아져 카피바라를 비롯한 생태계에 큰 피해를 줄 뿐 더러 인근 주민의 건강에도 치명적일 수 있다며 정부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경고했습니다.
남미에 서식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설치류 카피바라입니다.
최근 아르헨티나 북서부 엔트레 리오스 주에선 이렇게 초록색으로 돌변한 카피바라가 출몰하고 있는데요.
원인은 바로 수력 발전 댐 건설 이후 조성된 대형 인공 호수의 '녹조' 때문입니다.
특히 기후변화 등의 영향으로 이 녹조 현상이 더욱 심각해지면서 호주 주변에 서식하는 카피바라들이 온몸에 녹조를 뒤집어쓴 채 발견되는 일이 일상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환경 당국의 우려도 커지는 중인데요.
녹조 현상이 강해질수록 독성 농도도 높아져 카피바라를 비롯한 생태계에 큰 피해를 줄 뿐 더러 인근 주민의 건강에도 치명적일 수 있다며 정부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경고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