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 났다하면 인명사고…재난도 부익부 빈익빈?
입력 2025.02.19 (19:32)
수정 2025.02.19 (19: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추운 날씨에 주택 화재도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충남소방본부가 분석해 보니 주택 화재로 숨진 주민의 절반 이상이 미등기 주택이나 컨테이너 등에 살고 있었습니다.
박병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주거용 비닐하우스에서 검은 연기가 올라옵니다.
["(이 안에 사람 있어요?) 몰라요."]
목욕을 위해 지핀 화목보일러에서 불이 시작돼 순식간에 번졌습니다.
["사람이 사는 것 같은데. 어우! 그런데 너무 뜨거워서…."]
패널로 만든 미등기 주택에서도 연기가 피어오릅니다.
원인 미상의 불로 80대 여성이 숨졌습니다.
최근 2년간 충남에서 발생한 주택 화재는 980여 건.
이 가운데 미등기 주택이나 비닐하우스, 농막 등 이른바 '기타 주택'이 차지하는 비율은 7%에 불과했지만, 전체 주택 화재 사망자의 절반 이상이 거주하고 있었습니다.
주로 화목보일러나 담배, 전기적 요인으로 불이났습니다.
소방대원과 미등기 주택을 점검해 봤습니다.
수백 도까지 오르는 화목보일러에 먼지가 잔뜩 한 콘센트가 붙어있고 불과 50cm 옆엔 땔감이 잔뜩 쌓여있습니다.
복사열로도 불이 붙을 수 있는 조건입니다.
["폭이 좀 넓게 떨어져 있어야 이게 연소 확대가 되지 않습니다."]
미등기 주택과 컨테이너, 농막 등은 화재예방시설법 적용을 받지 않아 소화기나 화재경보기 설치 의무도 없습니다.
예방 차원에서 보급하고 있지만 건축물대장에 등록되지 않아 찾는 것부터 쉽지 않습니다.
[김영승/충남소방본부 화재대응조사팀장 : "전산상에 그러한 시스템이 없다 보니 저희가 직접 현장을 돌아다니면서 발품을 팔아서…."]
일반 주택뿐 아니라 실제 사람이 머무는 곳엔 경보기 등을 의무화하도록 근거법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윱니다.
[이영주/충남소방본부 119대응과장 : "기타 주택에서도 소방 시설을 지금 컨설팅도 해주고 주택용 소방시설을 보급하고 있으나 제도적으로 지금 (의무) 설치할 수 있는 규정이 없는 실정입니다."]
주택 화재의 상당수가 농어촌 노후주택에서 발생하고, 사상자 중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많은 만큼 개선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박병준입니다.
추운 날씨에 주택 화재도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충남소방본부가 분석해 보니 주택 화재로 숨진 주민의 절반 이상이 미등기 주택이나 컨테이너 등에 살고 있었습니다.
박병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주거용 비닐하우스에서 검은 연기가 올라옵니다.
["(이 안에 사람 있어요?) 몰라요."]
목욕을 위해 지핀 화목보일러에서 불이 시작돼 순식간에 번졌습니다.
["사람이 사는 것 같은데. 어우! 그런데 너무 뜨거워서…."]
패널로 만든 미등기 주택에서도 연기가 피어오릅니다.
원인 미상의 불로 80대 여성이 숨졌습니다.
최근 2년간 충남에서 발생한 주택 화재는 980여 건.
이 가운데 미등기 주택이나 비닐하우스, 농막 등 이른바 '기타 주택'이 차지하는 비율은 7%에 불과했지만, 전체 주택 화재 사망자의 절반 이상이 거주하고 있었습니다.
주로 화목보일러나 담배, 전기적 요인으로 불이났습니다.
소방대원과 미등기 주택을 점검해 봤습니다.
수백 도까지 오르는 화목보일러에 먼지가 잔뜩 한 콘센트가 붙어있고 불과 50cm 옆엔 땔감이 잔뜩 쌓여있습니다.
복사열로도 불이 붙을 수 있는 조건입니다.
["폭이 좀 넓게 떨어져 있어야 이게 연소 확대가 되지 않습니다."]
미등기 주택과 컨테이너, 농막 등은 화재예방시설법 적용을 받지 않아 소화기나 화재경보기 설치 의무도 없습니다.
예방 차원에서 보급하고 있지만 건축물대장에 등록되지 않아 찾는 것부터 쉽지 않습니다.
[김영승/충남소방본부 화재대응조사팀장 : "전산상에 그러한 시스템이 없다 보니 저희가 직접 현장을 돌아다니면서 발품을 팔아서…."]
일반 주택뿐 아니라 실제 사람이 머무는 곳엔 경보기 등을 의무화하도록 근거법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윱니다.
[이영주/충남소방본부 119대응과장 : "기타 주택에서도 소방 시설을 지금 컨설팅도 해주고 주택용 소방시설을 보급하고 있으나 제도적으로 지금 (의무) 설치할 수 있는 규정이 없는 실정입니다."]
주택 화재의 상당수가 농어촌 노후주택에서 발생하고, 사상자 중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많은 만큼 개선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박병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불 났다하면 인명사고…재난도 부익부 빈익빈?
-
- 입력 2025-02-19 19:32:51
- 수정2025-02-19 19:42:35

[앵커]
추운 날씨에 주택 화재도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충남소방본부가 분석해 보니 주택 화재로 숨진 주민의 절반 이상이 미등기 주택이나 컨테이너 등에 살고 있었습니다.
박병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주거용 비닐하우스에서 검은 연기가 올라옵니다.
["(이 안에 사람 있어요?) 몰라요."]
목욕을 위해 지핀 화목보일러에서 불이 시작돼 순식간에 번졌습니다.
["사람이 사는 것 같은데. 어우! 그런데 너무 뜨거워서…."]
패널로 만든 미등기 주택에서도 연기가 피어오릅니다.
원인 미상의 불로 80대 여성이 숨졌습니다.
최근 2년간 충남에서 발생한 주택 화재는 980여 건.
이 가운데 미등기 주택이나 비닐하우스, 농막 등 이른바 '기타 주택'이 차지하는 비율은 7%에 불과했지만, 전체 주택 화재 사망자의 절반 이상이 거주하고 있었습니다.
주로 화목보일러나 담배, 전기적 요인으로 불이났습니다.
소방대원과 미등기 주택을 점검해 봤습니다.
수백 도까지 오르는 화목보일러에 먼지가 잔뜩 한 콘센트가 붙어있고 불과 50cm 옆엔 땔감이 잔뜩 쌓여있습니다.
복사열로도 불이 붙을 수 있는 조건입니다.
["폭이 좀 넓게 떨어져 있어야 이게 연소 확대가 되지 않습니다."]
미등기 주택과 컨테이너, 농막 등은 화재예방시설법 적용을 받지 않아 소화기나 화재경보기 설치 의무도 없습니다.
예방 차원에서 보급하고 있지만 건축물대장에 등록되지 않아 찾는 것부터 쉽지 않습니다.
[김영승/충남소방본부 화재대응조사팀장 : "전산상에 그러한 시스템이 없다 보니 저희가 직접 현장을 돌아다니면서 발품을 팔아서…."]
일반 주택뿐 아니라 실제 사람이 머무는 곳엔 경보기 등을 의무화하도록 근거법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윱니다.
[이영주/충남소방본부 119대응과장 : "기타 주택에서도 소방 시설을 지금 컨설팅도 해주고 주택용 소방시설을 보급하고 있으나 제도적으로 지금 (의무) 설치할 수 있는 규정이 없는 실정입니다."]
주택 화재의 상당수가 농어촌 노후주택에서 발생하고, 사상자 중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많은 만큼 개선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박병준입니다.
추운 날씨에 주택 화재도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충남소방본부가 분석해 보니 주택 화재로 숨진 주민의 절반 이상이 미등기 주택이나 컨테이너 등에 살고 있었습니다.
박병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주거용 비닐하우스에서 검은 연기가 올라옵니다.
["(이 안에 사람 있어요?) 몰라요."]
목욕을 위해 지핀 화목보일러에서 불이 시작돼 순식간에 번졌습니다.
["사람이 사는 것 같은데. 어우! 그런데 너무 뜨거워서…."]
패널로 만든 미등기 주택에서도 연기가 피어오릅니다.
원인 미상의 불로 80대 여성이 숨졌습니다.
최근 2년간 충남에서 발생한 주택 화재는 980여 건.
이 가운데 미등기 주택이나 비닐하우스, 농막 등 이른바 '기타 주택'이 차지하는 비율은 7%에 불과했지만, 전체 주택 화재 사망자의 절반 이상이 거주하고 있었습니다.
주로 화목보일러나 담배, 전기적 요인으로 불이났습니다.
소방대원과 미등기 주택을 점검해 봤습니다.
수백 도까지 오르는 화목보일러에 먼지가 잔뜩 한 콘센트가 붙어있고 불과 50cm 옆엔 땔감이 잔뜩 쌓여있습니다.
복사열로도 불이 붙을 수 있는 조건입니다.
["폭이 좀 넓게 떨어져 있어야 이게 연소 확대가 되지 않습니다."]
미등기 주택과 컨테이너, 농막 등은 화재예방시설법 적용을 받지 않아 소화기나 화재경보기 설치 의무도 없습니다.
예방 차원에서 보급하고 있지만 건축물대장에 등록되지 않아 찾는 것부터 쉽지 않습니다.
[김영승/충남소방본부 화재대응조사팀장 : "전산상에 그러한 시스템이 없다 보니 저희가 직접 현장을 돌아다니면서 발품을 팔아서…."]
일반 주택뿐 아니라 실제 사람이 머무는 곳엔 경보기 등을 의무화하도록 근거법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윱니다.
[이영주/충남소방본부 119대응과장 : "기타 주택에서도 소방 시설을 지금 컨설팅도 해주고 주택용 소방시설을 보급하고 있으나 제도적으로 지금 (의무) 설치할 수 있는 규정이 없는 실정입니다."]
주택 화재의 상당수가 농어촌 노후주택에서 발생하고, 사상자 중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많은 만큼 개선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박병준입니다.
-
-
박병준 기자 lol@kbs.co.kr
박병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