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분장 건설 ‘산 넘어 산’…공감대 ‘과제’
입력 2025.02.19 (21:50)
수정 2025.02.19 (22: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장 건설의 핵심은 어디에 또 어떻게 가장 안전하게 조성하느냐 입니다.
지질 조사와 부지 선정, 여기에다 주민 동의까지 얻으려면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법 통과 이후의 주요 과제를 김영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핀란드 수도 헬싱키에서 250km 떨어진 해안가.
18억 년 된 화강암 지층 450미터 아래 세계 최초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장, '온칼로'가 있습니다.
방벽으로 둘러싸인 지하에 6천5백 톤가량의 사용후핵연료가 10만 년 동안 봉인됩니다.
법이 최종 통과되면 우리나라도 이 같은 영구처분장 건설 절차에 들어갑니다.
가장 중요한 문제는 부지 선정.
[윤종일/카이스트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 : "장기간 안전하게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심지층 지질 암반 자체가 장기적으로, 과거에 수억 년 수십억 년 안정된 그런 지반을 확보하는 게 필요하고요."]
실크 정부가 지질 조사를 거쳐 몇몇 후보 지역을 정하면 이 가운데 건설을 원하는 지역이 다시 정부에 신청합니다.
이후 해당 지역에 대한 상세 지질 조사와 주민 투표 등의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하지만 지질 조사 후보지에 선정되기만 해도 즉각 반발 여론에 휩싸이는 등 주민 공감대를 얻기가 순탄치 않을 전망입니다.
특히 법안에 사용후핵연료 포화시 원전 내 저장시설에 '임시 저장'을 명시한 것부터 반발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박상현/탈핵부산시민연대 집행위원 : "보관 용량과 저장 용량과 일시를 명기하게 되면 이게 거기까지만 보관할 거라고 얘기는 하는데 저희 탈핵 시민단체 측에서는 이게 거의 영구적인 핵폐기장이 될 것이라는 지적을 하는 거고요."]
이전 정부들이 두 차례에 걸쳐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를 가동했지만 모두 실패에 돌아갔습니다.
때문에 영구처분장 건설과 관련해 국민적 동의를 얻을 수 있는 민주적이고 투명한 절차를 이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김영록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그래픽:조양성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장 건설의 핵심은 어디에 또 어떻게 가장 안전하게 조성하느냐 입니다.
지질 조사와 부지 선정, 여기에다 주민 동의까지 얻으려면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법 통과 이후의 주요 과제를 김영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핀란드 수도 헬싱키에서 250km 떨어진 해안가.
18억 년 된 화강암 지층 450미터 아래 세계 최초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장, '온칼로'가 있습니다.
방벽으로 둘러싸인 지하에 6천5백 톤가량의 사용후핵연료가 10만 년 동안 봉인됩니다.
법이 최종 통과되면 우리나라도 이 같은 영구처분장 건설 절차에 들어갑니다.
가장 중요한 문제는 부지 선정.
[윤종일/카이스트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 : "장기간 안전하게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심지층 지질 암반 자체가 장기적으로, 과거에 수억 년 수십억 년 안정된 그런 지반을 확보하는 게 필요하고요."]
실크 정부가 지질 조사를 거쳐 몇몇 후보 지역을 정하면 이 가운데 건설을 원하는 지역이 다시 정부에 신청합니다.
이후 해당 지역에 대한 상세 지질 조사와 주민 투표 등의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하지만 지질 조사 후보지에 선정되기만 해도 즉각 반발 여론에 휩싸이는 등 주민 공감대를 얻기가 순탄치 않을 전망입니다.
특히 법안에 사용후핵연료 포화시 원전 내 저장시설에 '임시 저장'을 명시한 것부터 반발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박상현/탈핵부산시민연대 집행위원 : "보관 용량과 저장 용량과 일시를 명기하게 되면 이게 거기까지만 보관할 거라고 얘기는 하는데 저희 탈핵 시민단체 측에서는 이게 거의 영구적인 핵폐기장이 될 것이라는 지적을 하는 거고요."]
이전 정부들이 두 차례에 걸쳐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를 가동했지만 모두 실패에 돌아갔습니다.
때문에 영구처분장 건설과 관련해 국민적 동의를 얻을 수 있는 민주적이고 투명한 절차를 이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김영록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그래픽:조양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처분장 건설 ‘산 넘어 산’…공감대 ‘과제’
-
- 입력 2025-02-19 21:50:20
- 수정2025-02-19 22:12:07

[앵커]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장 건설의 핵심은 어디에 또 어떻게 가장 안전하게 조성하느냐 입니다.
지질 조사와 부지 선정, 여기에다 주민 동의까지 얻으려면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법 통과 이후의 주요 과제를 김영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핀란드 수도 헬싱키에서 250km 떨어진 해안가.
18억 년 된 화강암 지층 450미터 아래 세계 최초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장, '온칼로'가 있습니다.
방벽으로 둘러싸인 지하에 6천5백 톤가량의 사용후핵연료가 10만 년 동안 봉인됩니다.
법이 최종 통과되면 우리나라도 이 같은 영구처분장 건설 절차에 들어갑니다.
가장 중요한 문제는 부지 선정.
[윤종일/카이스트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 : "장기간 안전하게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심지층 지질 암반 자체가 장기적으로, 과거에 수억 년 수십억 년 안정된 그런 지반을 확보하는 게 필요하고요."]
실크 정부가 지질 조사를 거쳐 몇몇 후보 지역을 정하면 이 가운데 건설을 원하는 지역이 다시 정부에 신청합니다.
이후 해당 지역에 대한 상세 지질 조사와 주민 투표 등의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하지만 지질 조사 후보지에 선정되기만 해도 즉각 반발 여론에 휩싸이는 등 주민 공감대를 얻기가 순탄치 않을 전망입니다.
특히 법안에 사용후핵연료 포화시 원전 내 저장시설에 '임시 저장'을 명시한 것부터 반발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박상현/탈핵부산시민연대 집행위원 : "보관 용량과 저장 용량과 일시를 명기하게 되면 이게 거기까지만 보관할 거라고 얘기는 하는데 저희 탈핵 시민단체 측에서는 이게 거의 영구적인 핵폐기장이 될 것이라는 지적을 하는 거고요."]
이전 정부들이 두 차례에 걸쳐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를 가동했지만 모두 실패에 돌아갔습니다.
때문에 영구처분장 건설과 관련해 국민적 동의를 얻을 수 있는 민주적이고 투명한 절차를 이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김영록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그래픽:조양성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장 건설의 핵심은 어디에 또 어떻게 가장 안전하게 조성하느냐 입니다.
지질 조사와 부지 선정, 여기에다 주민 동의까지 얻으려면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법 통과 이후의 주요 과제를 김영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핀란드 수도 헬싱키에서 250km 떨어진 해안가.
18억 년 된 화강암 지층 450미터 아래 세계 최초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장, '온칼로'가 있습니다.
방벽으로 둘러싸인 지하에 6천5백 톤가량의 사용후핵연료가 10만 년 동안 봉인됩니다.
법이 최종 통과되면 우리나라도 이 같은 영구처분장 건설 절차에 들어갑니다.
가장 중요한 문제는 부지 선정.
[윤종일/카이스트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 : "장기간 안전하게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심지층 지질 암반 자체가 장기적으로, 과거에 수억 년 수십억 년 안정된 그런 지반을 확보하는 게 필요하고요."]
실크 정부가 지질 조사를 거쳐 몇몇 후보 지역을 정하면 이 가운데 건설을 원하는 지역이 다시 정부에 신청합니다.
이후 해당 지역에 대한 상세 지질 조사와 주민 투표 등의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하지만 지질 조사 후보지에 선정되기만 해도 즉각 반발 여론에 휩싸이는 등 주민 공감대를 얻기가 순탄치 않을 전망입니다.
특히 법안에 사용후핵연료 포화시 원전 내 저장시설에 '임시 저장'을 명시한 것부터 반발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박상현/탈핵부산시민연대 집행위원 : "보관 용량과 저장 용량과 일시를 명기하게 되면 이게 거기까지만 보관할 거라고 얘기는 하는데 저희 탈핵 시민단체 측에서는 이게 거의 영구적인 핵폐기장이 될 것이라는 지적을 하는 거고요."]
이전 정부들이 두 차례에 걸쳐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를 가동했지만 모두 실패에 돌아갔습니다.
때문에 영구처분장 건설과 관련해 국민적 동의를 얻을 수 있는 민주적이고 투명한 절차를 이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김영록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그래픽:조양성
-
-
김영록 기자 kiyuro@kbs.co.kr
김영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