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각장 보상금 지급 범위 반경 300m로 제한”…난개발 막나?
입력 2025.02.20 (07:40)
수정 2025.02.20 (09: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전주권 소각자원센터 인근에 주택이 우후죽순 들어서고 있습니다.
소각장 보상금을 노린 것 아니냐는 의혹 속에 전주시의회가 관련 조례 개정에 나섰는데요.
과연 난개발을 막을 수 있을까요?
유진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주권 소각자원센터에서 2백여 미터 떨어진 마을.
20제곱미터 남짓 작은 집을 짓기 위한 철골 구조물이 서 있습니다.
인근에도 다져 놓은 집터가 있습니다.
지난해 2월, 상림동 소각자원센터 일대에 새 광역소각장 건립이 결정된 뒤 주택이 우후죽순 들어서고 있습니다.
소각장 인근 주민에게 주는 보상금을 노리고 난개발이 이뤄지고 있다는 호소가 잇따릅니다.
[마을 주민/음성변조 : "이 동네에서 살 수가 없고, 그냥 우후죽순 난개발을 하고. 보상금 노리고 이렇게 들어오는데. 집답게 짓든지."]
실제 광역소각장 건립 확정 전과 후를 비교하면 소각장 인근으로 토지 쪼개기가 확인됩니다.
20년 전 41가구가 소각장 건립 확정 이후 백 가구에 육박할 정도로 불어났습니다.
이에 전주시의회는 인근 마을 주민 전체에게 주던 보상금 지급 범위를 시설 300미터 반경 안으로 제한하는 내용으로 조례를 개정했습니다.
[김윤철/전주시의회 복지환경위원장 : "(소각장 주변에) 환경 유해 물질이 배출돼서 건강에 안 좋다고 얘기를, 다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알면서, 건축 행위를 하고 들어오려고 하시는 분들의 의도는 무엇인가…."]
하지만 소각장 반경 3백미터 안에도 집 지을 공터가 적지 않은 상황.
이번 조례 개정으로 보상금을 둘러싼 난개발을 막을지 여전히 의문입니다.
KBS 뉴스 유진휘입니다.
촬영기자:정성수
전주권 소각자원센터 인근에 주택이 우후죽순 들어서고 있습니다.
소각장 보상금을 노린 것 아니냐는 의혹 속에 전주시의회가 관련 조례 개정에 나섰는데요.
과연 난개발을 막을 수 있을까요?
유진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주권 소각자원센터에서 2백여 미터 떨어진 마을.
20제곱미터 남짓 작은 집을 짓기 위한 철골 구조물이 서 있습니다.
인근에도 다져 놓은 집터가 있습니다.
지난해 2월, 상림동 소각자원센터 일대에 새 광역소각장 건립이 결정된 뒤 주택이 우후죽순 들어서고 있습니다.
소각장 인근 주민에게 주는 보상금을 노리고 난개발이 이뤄지고 있다는 호소가 잇따릅니다.
[마을 주민/음성변조 : "이 동네에서 살 수가 없고, 그냥 우후죽순 난개발을 하고. 보상금 노리고 이렇게 들어오는데. 집답게 짓든지."]
실제 광역소각장 건립 확정 전과 후를 비교하면 소각장 인근으로 토지 쪼개기가 확인됩니다.
20년 전 41가구가 소각장 건립 확정 이후 백 가구에 육박할 정도로 불어났습니다.
이에 전주시의회는 인근 마을 주민 전체에게 주던 보상금 지급 범위를 시설 300미터 반경 안으로 제한하는 내용으로 조례를 개정했습니다.
[김윤철/전주시의회 복지환경위원장 : "(소각장 주변에) 환경 유해 물질이 배출돼서 건강에 안 좋다고 얘기를, 다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알면서, 건축 행위를 하고 들어오려고 하시는 분들의 의도는 무엇인가…."]
하지만 소각장 반경 3백미터 안에도 집 지을 공터가 적지 않은 상황.
이번 조례 개정으로 보상금을 둘러싼 난개발을 막을지 여전히 의문입니다.
KBS 뉴스 유진휘입니다.
촬영기자:정성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각장 보상금 지급 범위 반경 300m로 제한”…난개발 막나?
-
- 입력 2025-02-20 07:40:58
- 수정2025-02-20 09:38:26

[앵커]
전주권 소각자원센터 인근에 주택이 우후죽순 들어서고 있습니다.
소각장 보상금을 노린 것 아니냐는 의혹 속에 전주시의회가 관련 조례 개정에 나섰는데요.
과연 난개발을 막을 수 있을까요?
유진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주권 소각자원센터에서 2백여 미터 떨어진 마을.
20제곱미터 남짓 작은 집을 짓기 위한 철골 구조물이 서 있습니다.
인근에도 다져 놓은 집터가 있습니다.
지난해 2월, 상림동 소각자원센터 일대에 새 광역소각장 건립이 결정된 뒤 주택이 우후죽순 들어서고 있습니다.
소각장 인근 주민에게 주는 보상금을 노리고 난개발이 이뤄지고 있다는 호소가 잇따릅니다.
[마을 주민/음성변조 : "이 동네에서 살 수가 없고, 그냥 우후죽순 난개발을 하고. 보상금 노리고 이렇게 들어오는데. 집답게 짓든지."]
실제 광역소각장 건립 확정 전과 후를 비교하면 소각장 인근으로 토지 쪼개기가 확인됩니다.
20년 전 41가구가 소각장 건립 확정 이후 백 가구에 육박할 정도로 불어났습니다.
이에 전주시의회는 인근 마을 주민 전체에게 주던 보상금 지급 범위를 시설 300미터 반경 안으로 제한하는 내용으로 조례를 개정했습니다.
[김윤철/전주시의회 복지환경위원장 : "(소각장 주변에) 환경 유해 물질이 배출돼서 건강에 안 좋다고 얘기를, 다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알면서, 건축 행위를 하고 들어오려고 하시는 분들의 의도는 무엇인가…."]
하지만 소각장 반경 3백미터 안에도 집 지을 공터가 적지 않은 상황.
이번 조례 개정으로 보상금을 둘러싼 난개발을 막을지 여전히 의문입니다.
KBS 뉴스 유진휘입니다.
촬영기자:정성수
전주권 소각자원센터 인근에 주택이 우후죽순 들어서고 있습니다.
소각장 보상금을 노린 것 아니냐는 의혹 속에 전주시의회가 관련 조례 개정에 나섰는데요.
과연 난개발을 막을 수 있을까요?
유진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주권 소각자원센터에서 2백여 미터 떨어진 마을.
20제곱미터 남짓 작은 집을 짓기 위한 철골 구조물이 서 있습니다.
인근에도 다져 놓은 집터가 있습니다.
지난해 2월, 상림동 소각자원센터 일대에 새 광역소각장 건립이 결정된 뒤 주택이 우후죽순 들어서고 있습니다.
소각장 인근 주민에게 주는 보상금을 노리고 난개발이 이뤄지고 있다는 호소가 잇따릅니다.
[마을 주민/음성변조 : "이 동네에서 살 수가 없고, 그냥 우후죽순 난개발을 하고. 보상금 노리고 이렇게 들어오는데. 집답게 짓든지."]
실제 광역소각장 건립 확정 전과 후를 비교하면 소각장 인근으로 토지 쪼개기가 확인됩니다.
20년 전 41가구가 소각장 건립 확정 이후 백 가구에 육박할 정도로 불어났습니다.
이에 전주시의회는 인근 마을 주민 전체에게 주던 보상금 지급 범위를 시설 300미터 반경 안으로 제한하는 내용으로 조례를 개정했습니다.
[김윤철/전주시의회 복지환경위원장 : "(소각장 주변에) 환경 유해 물질이 배출돼서 건강에 안 좋다고 얘기를, 다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알면서, 건축 행위를 하고 들어오려고 하시는 분들의 의도는 무엇인가…."]
하지만 소각장 반경 3백미터 안에도 집 지을 공터가 적지 않은 상황.
이번 조례 개정으로 보상금을 둘러싼 난개발을 막을지 여전히 의문입니다.
KBS 뉴스 유진휘입니다.
촬영기자:정성수
-
-
유진휘 기자 yujh@kbs.co.kr
유진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