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자동차·반도체·의약품·목재 관세, 한 달 내 발표”
입력 2025.02.20 (08:45)
수정 2025.02.20 (10: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 달 안에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목재 등에 대해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 시각 19일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주최로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서 열린 ‘미래투자이니셔티브(FII·Future Investment Initiative) 프라이오리티 서밋’ 연설에서 이같이 언급하고, “미국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자동차 관세를 4월2일쯤 내놓을 것이라고 밝혔는데, 자동차와 반도체 등에 대한 관세가 그보다 더 빨리 발표될 가능성을 시사한 것입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4일,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 행사에서 수입 자동차 관세 도입 일정에 대한 기자들 질문에 “아마도 4월 2일께”라고 답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와 재계로서는 대미 수출 품목 중 1, 2위인 자동차와 반도체 관세 부과에 대비하기 위한 행보가 더욱 바빠질 전망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외국 기업 등)이 미국에서 제품을 만들지 않으면, 간단히 말해 관세를 내야 한다는 것”이라며 “그들이 미국에서 제품을 만들면 그들은 관세를 물 필요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 관세가 “우리 재정에 수조 달러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가정들과 근로자들, 회사들을 위해 극적으로 세금을 내릴 것”이라며 “팁에 과세하지 않고, 희망하건대 사회보장과 관련한 세금을 부과하지 않을 것이며, 초과 근무 수당에 과세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임 조 바이든 전 대통령 시절에 유가 안정을 위해 방출했던 전략 비축유를 신속히 채울 것이라고도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 종결 문제와 관련해 자신과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또 한 번 “선거를 치르지 않은 독재자”로 칭했습니다.
앞서 소셜미디어에 게재한 글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전쟁 중임을 이유로 대선을 치르지 않은 채 임기 종료 후에도 자리를 지키고 있다는 점에 대해 “독재자”라는 표현을 썼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는 형편없었다”며 “그의 나라는 산산조각이 났고, 수많은 사람들이 불필요하게 죽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전쟁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지적한 뒤 “양쪽(러시아와 우크라이나)과 대화하지 않으면 전쟁을 끝낼 수 없다”며 “우리는 휴전을 곧 이루고 유럽과 중동에 안정을 구축하길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자신의 최측근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 경영자가 이끄는 정부효율부(DOGE)의 정부 인원 및 사업 구조조정으로 아낀 돈의 20%는 미국 국민에게 주고, 20%는 정부 부채를 상환하는 데 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지난달 20일 취임한 뒤 불법 이민자 단속 및 추방에서 거둔 성과를 거론한 뒤 “유럽과 다른 나라들도 그것을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 시각 19일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주최로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서 열린 ‘미래투자이니셔티브(FII·Future Investment Initiative) 프라이오리티 서밋’ 연설에서 이같이 언급하고, “미국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자동차 관세를 4월2일쯤 내놓을 것이라고 밝혔는데, 자동차와 반도체 등에 대한 관세가 그보다 더 빨리 발표될 가능성을 시사한 것입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4일,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 행사에서 수입 자동차 관세 도입 일정에 대한 기자들 질문에 “아마도 4월 2일께”라고 답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와 재계로서는 대미 수출 품목 중 1, 2위인 자동차와 반도체 관세 부과에 대비하기 위한 행보가 더욱 바빠질 전망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외국 기업 등)이 미국에서 제품을 만들지 않으면, 간단히 말해 관세를 내야 한다는 것”이라며 “그들이 미국에서 제품을 만들면 그들은 관세를 물 필요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 관세가 “우리 재정에 수조 달러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가정들과 근로자들, 회사들을 위해 극적으로 세금을 내릴 것”이라며 “팁에 과세하지 않고, 희망하건대 사회보장과 관련한 세금을 부과하지 않을 것이며, 초과 근무 수당에 과세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임 조 바이든 전 대통령 시절에 유가 안정을 위해 방출했던 전략 비축유를 신속히 채울 것이라고도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 종결 문제와 관련해 자신과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또 한 번 “선거를 치르지 않은 독재자”로 칭했습니다.
앞서 소셜미디어에 게재한 글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전쟁 중임을 이유로 대선을 치르지 않은 채 임기 종료 후에도 자리를 지키고 있다는 점에 대해 “독재자”라는 표현을 썼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는 형편없었다”며 “그의 나라는 산산조각이 났고, 수많은 사람들이 불필요하게 죽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전쟁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지적한 뒤 “양쪽(러시아와 우크라이나)과 대화하지 않으면 전쟁을 끝낼 수 없다”며 “우리는 휴전을 곧 이루고 유럽과 중동에 안정을 구축하길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자신의 최측근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 경영자가 이끄는 정부효율부(DOGE)의 정부 인원 및 사업 구조조정으로 아낀 돈의 20%는 미국 국민에게 주고, 20%는 정부 부채를 상환하는 데 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지난달 20일 취임한 뒤 불법 이민자 단속 및 추방에서 거둔 성과를 거론한 뒤 “유럽과 다른 나라들도 그것을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자동차·반도체·의약품·목재 관세, 한 달 내 발표”
-
- 입력 2025-02-20 08:45:43
- 수정2025-02-20 10:01:37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 달 안에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목재 등에 대해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 시각 19일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주최로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서 열린 ‘미래투자이니셔티브(FII·Future Investment Initiative) 프라이오리티 서밋’ 연설에서 이같이 언급하고, “미국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자동차 관세를 4월2일쯤 내놓을 것이라고 밝혔는데, 자동차와 반도체 등에 대한 관세가 그보다 더 빨리 발표될 가능성을 시사한 것입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4일,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 행사에서 수입 자동차 관세 도입 일정에 대한 기자들 질문에 “아마도 4월 2일께”라고 답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와 재계로서는 대미 수출 품목 중 1, 2위인 자동차와 반도체 관세 부과에 대비하기 위한 행보가 더욱 바빠질 전망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외국 기업 등)이 미국에서 제품을 만들지 않으면, 간단히 말해 관세를 내야 한다는 것”이라며 “그들이 미국에서 제품을 만들면 그들은 관세를 물 필요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 관세가 “우리 재정에 수조 달러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가정들과 근로자들, 회사들을 위해 극적으로 세금을 내릴 것”이라며 “팁에 과세하지 않고, 희망하건대 사회보장과 관련한 세금을 부과하지 않을 것이며, 초과 근무 수당에 과세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임 조 바이든 전 대통령 시절에 유가 안정을 위해 방출했던 전략 비축유를 신속히 채울 것이라고도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 종결 문제와 관련해 자신과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또 한 번 “선거를 치르지 않은 독재자”로 칭했습니다.
앞서 소셜미디어에 게재한 글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전쟁 중임을 이유로 대선을 치르지 않은 채 임기 종료 후에도 자리를 지키고 있다는 점에 대해 “독재자”라는 표현을 썼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는 형편없었다”며 “그의 나라는 산산조각이 났고, 수많은 사람들이 불필요하게 죽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전쟁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지적한 뒤 “양쪽(러시아와 우크라이나)과 대화하지 않으면 전쟁을 끝낼 수 없다”며 “우리는 휴전을 곧 이루고 유럽과 중동에 안정을 구축하길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자신의 최측근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 경영자가 이끄는 정부효율부(DOGE)의 정부 인원 및 사업 구조조정으로 아낀 돈의 20%는 미국 국민에게 주고, 20%는 정부 부채를 상환하는 데 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지난달 20일 취임한 뒤 불법 이민자 단속 및 추방에서 거둔 성과를 거론한 뒤 “유럽과 다른 나라들도 그것을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 시각 19일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주최로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서 열린 ‘미래투자이니셔티브(FII·Future Investment Initiative) 프라이오리티 서밋’ 연설에서 이같이 언급하고, “미국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자동차 관세를 4월2일쯤 내놓을 것이라고 밝혔는데, 자동차와 반도체 등에 대한 관세가 그보다 더 빨리 발표될 가능성을 시사한 것입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4일,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 행사에서 수입 자동차 관세 도입 일정에 대한 기자들 질문에 “아마도 4월 2일께”라고 답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와 재계로서는 대미 수출 품목 중 1, 2위인 자동차와 반도체 관세 부과에 대비하기 위한 행보가 더욱 바빠질 전망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외국 기업 등)이 미국에서 제품을 만들지 않으면, 간단히 말해 관세를 내야 한다는 것”이라며 “그들이 미국에서 제품을 만들면 그들은 관세를 물 필요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 관세가 “우리 재정에 수조 달러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가정들과 근로자들, 회사들을 위해 극적으로 세금을 내릴 것”이라며 “팁에 과세하지 않고, 희망하건대 사회보장과 관련한 세금을 부과하지 않을 것이며, 초과 근무 수당에 과세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임 조 바이든 전 대통령 시절에 유가 안정을 위해 방출했던 전략 비축유를 신속히 채울 것이라고도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 종결 문제와 관련해 자신과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또 한 번 “선거를 치르지 않은 독재자”로 칭했습니다.
앞서 소셜미디어에 게재한 글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전쟁 중임을 이유로 대선을 치르지 않은 채 임기 종료 후에도 자리를 지키고 있다는 점에 대해 “독재자”라는 표현을 썼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는 형편없었다”며 “그의 나라는 산산조각이 났고, 수많은 사람들이 불필요하게 죽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전쟁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지적한 뒤 “양쪽(러시아와 우크라이나)과 대화하지 않으면 전쟁을 끝낼 수 없다”며 “우리는 휴전을 곧 이루고 유럽과 중동에 안정을 구축하길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자신의 최측근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 경영자가 이끄는 정부효율부(DOGE)의 정부 인원 및 사업 구조조정으로 아낀 돈의 20%는 미국 국민에게 주고, 20%는 정부 부채를 상환하는 데 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지난달 20일 취임한 뒤 불법 이민자 단속 및 추방에서 거둔 성과를 거론한 뒤 “유럽과 다른 나라들도 그것을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
정지주 기자 jjcheong@kbs.co.kr
정지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