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도’ 대구시 vs ‘신중’ 경북도…행정통합 ‘동상이몽’
입력 2025.02.21 (21:44)
수정 2025.02.21 (22: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정국 혼란으로 대구·경북 행정 통합 논의가 사실상 중단된 지 석 달이 다 돼갑니다.
관련 특별법 제정 목표도 애초 상반기에서 연말로 미뤄졌는데요.
대구시가 서둘러 절차를 마무리 지으려는 반면, 경상북도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면서 논의는 지지부진합니다.
김도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비상계엄 사태로 정부의 국정운영 동력이 약해지면서 급제동이 걸린 대구·경북 행정 통합 논의, 지난해 12월, 대구시의회에선 통합 동의안이 통과됐지만 경북은 아직 소식이 없습니다.
이와 관련해 홍준표 대구시장은 최근 간부회의에서 "경북도의회 통과가 최우선인 만큼 경북도가 더욱 분발해야 한다"며 직접 압박에 나섰습니다.
반면 경북도는 신중한 입장입니다.
행정 통합 특례에 대한 정부 협조와 지원이 멈춘 상황에서 무리한 추진은 어렵다는 겁니다.
[김호진/경북도 기획조정실장 : "시군 권한 강화나 북부 지역 낙후 지역 발전 대책 등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권한과 특례 이전 등의 검토 내지 추진 등이 이루어지는지 상황을 보고 있고…."]
조기 대선 출마를 발표한 홍준표 시장의 거취 등 리더십 변화 가능성이 있어 통합 절차를 서두르려는 대구시와, 통합 반대 여론이 우세한 경북 북부권을 설득할 확실한 카드가 필요한 경북도의 입장차도 뚜렷합니다.
최근 대통령 탄핵을 놓고 시·도 두 단체장의 입장이 미묘하게 엇갈리는 등 주도권 싸움도 치열하다는 분석입니다.
시민사회단체는 통합 논의가 지연되고 있는 지금이 시도민 숙의 과정을 제대로 진행할 수 있는 적기라고 강조합니다.
[이창용/지방분권운동 대구경북본부 상임대표 : "대구시와 경북도도 이제 작년 수준에서 이 논의를 해서는 안 되고 더 깊숙하게 시도민들과 소통하려고 하는 노력을 해야 될 것 같고요."]
계엄과 탄핵, 조기 대선 등 불확실성으로 가득한 정국 상황에서 대구 경북 행정 통합 논의가 다시 추진력을 얻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정국 혼란으로 대구·경북 행정 통합 논의가 사실상 중단된 지 석 달이 다 돼갑니다.
관련 특별법 제정 목표도 애초 상반기에서 연말로 미뤄졌는데요.
대구시가 서둘러 절차를 마무리 지으려는 반면, 경상북도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면서 논의는 지지부진합니다.
김도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비상계엄 사태로 정부의 국정운영 동력이 약해지면서 급제동이 걸린 대구·경북 행정 통합 논의, 지난해 12월, 대구시의회에선 통합 동의안이 통과됐지만 경북은 아직 소식이 없습니다.
이와 관련해 홍준표 대구시장은 최근 간부회의에서 "경북도의회 통과가 최우선인 만큼 경북도가 더욱 분발해야 한다"며 직접 압박에 나섰습니다.
반면 경북도는 신중한 입장입니다.
행정 통합 특례에 대한 정부 협조와 지원이 멈춘 상황에서 무리한 추진은 어렵다는 겁니다.
[김호진/경북도 기획조정실장 : "시군 권한 강화나 북부 지역 낙후 지역 발전 대책 등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권한과 특례 이전 등의 검토 내지 추진 등이 이루어지는지 상황을 보고 있고…."]
조기 대선 출마를 발표한 홍준표 시장의 거취 등 리더십 변화 가능성이 있어 통합 절차를 서두르려는 대구시와, 통합 반대 여론이 우세한 경북 북부권을 설득할 확실한 카드가 필요한 경북도의 입장차도 뚜렷합니다.
최근 대통령 탄핵을 놓고 시·도 두 단체장의 입장이 미묘하게 엇갈리는 등 주도권 싸움도 치열하다는 분석입니다.
시민사회단체는 통합 논의가 지연되고 있는 지금이 시도민 숙의 과정을 제대로 진행할 수 있는 적기라고 강조합니다.
[이창용/지방분권운동 대구경북본부 상임대표 : "대구시와 경북도도 이제 작년 수준에서 이 논의를 해서는 안 되고 더 깊숙하게 시도민들과 소통하려고 하는 노력을 해야 될 것 같고요."]
계엄과 탄핵, 조기 대선 등 불확실성으로 가득한 정국 상황에서 대구 경북 행정 통합 논의가 다시 추진력을 얻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속도’ 대구시 vs ‘신중’ 경북도…행정통합 ‘동상이몽’
-
- 입력 2025-02-21 21:44:41
- 수정2025-02-21 22:00:03

[앵커]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정국 혼란으로 대구·경북 행정 통합 논의가 사실상 중단된 지 석 달이 다 돼갑니다.
관련 특별법 제정 목표도 애초 상반기에서 연말로 미뤄졌는데요.
대구시가 서둘러 절차를 마무리 지으려는 반면, 경상북도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면서 논의는 지지부진합니다.
김도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비상계엄 사태로 정부의 국정운영 동력이 약해지면서 급제동이 걸린 대구·경북 행정 통합 논의, 지난해 12월, 대구시의회에선 통합 동의안이 통과됐지만 경북은 아직 소식이 없습니다.
이와 관련해 홍준표 대구시장은 최근 간부회의에서 "경북도의회 통과가 최우선인 만큼 경북도가 더욱 분발해야 한다"며 직접 압박에 나섰습니다.
반면 경북도는 신중한 입장입니다.
행정 통합 특례에 대한 정부 협조와 지원이 멈춘 상황에서 무리한 추진은 어렵다는 겁니다.
[김호진/경북도 기획조정실장 : "시군 권한 강화나 북부 지역 낙후 지역 발전 대책 등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권한과 특례 이전 등의 검토 내지 추진 등이 이루어지는지 상황을 보고 있고…."]
조기 대선 출마를 발표한 홍준표 시장의 거취 등 리더십 변화 가능성이 있어 통합 절차를 서두르려는 대구시와, 통합 반대 여론이 우세한 경북 북부권을 설득할 확실한 카드가 필요한 경북도의 입장차도 뚜렷합니다.
최근 대통령 탄핵을 놓고 시·도 두 단체장의 입장이 미묘하게 엇갈리는 등 주도권 싸움도 치열하다는 분석입니다.
시민사회단체는 통합 논의가 지연되고 있는 지금이 시도민 숙의 과정을 제대로 진행할 수 있는 적기라고 강조합니다.
[이창용/지방분권운동 대구경북본부 상임대표 : "대구시와 경북도도 이제 작년 수준에서 이 논의를 해서는 안 되고 더 깊숙하게 시도민들과 소통하려고 하는 노력을 해야 될 것 같고요."]
계엄과 탄핵, 조기 대선 등 불확실성으로 가득한 정국 상황에서 대구 경북 행정 통합 논의가 다시 추진력을 얻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정국 혼란으로 대구·경북 행정 통합 논의가 사실상 중단된 지 석 달이 다 돼갑니다.
관련 특별법 제정 목표도 애초 상반기에서 연말로 미뤄졌는데요.
대구시가 서둘러 절차를 마무리 지으려는 반면, 경상북도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면서 논의는 지지부진합니다.
김도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비상계엄 사태로 정부의 국정운영 동력이 약해지면서 급제동이 걸린 대구·경북 행정 통합 논의, 지난해 12월, 대구시의회에선 통합 동의안이 통과됐지만 경북은 아직 소식이 없습니다.
이와 관련해 홍준표 대구시장은 최근 간부회의에서 "경북도의회 통과가 최우선인 만큼 경북도가 더욱 분발해야 한다"며 직접 압박에 나섰습니다.
반면 경북도는 신중한 입장입니다.
행정 통합 특례에 대한 정부 협조와 지원이 멈춘 상황에서 무리한 추진은 어렵다는 겁니다.
[김호진/경북도 기획조정실장 : "시군 권한 강화나 북부 지역 낙후 지역 발전 대책 등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권한과 특례 이전 등의 검토 내지 추진 등이 이루어지는지 상황을 보고 있고…."]
조기 대선 출마를 발표한 홍준표 시장의 거취 등 리더십 변화 가능성이 있어 통합 절차를 서두르려는 대구시와, 통합 반대 여론이 우세한 경북 북부권을 설득할 확실한 카드가 필요한 경북도의 입장차도 뚜렷합니다.
최근 대통령 탄핵을 놓고 시·도 두 단체장의 입장이 미묘하게 엇갈리는 등 주도권 싸움도 치열하다는 분석입니다.
시민사회단체는 통합 논의가 지연되고 있는 지금이 시도민 숙의 과정을 제대로 진행할 수 있는 적기라고 강조합니다.
[이창용/지방분권운동 대구경북본부 상임대표 : "대구시와 경북도도 이제 작년 수준에서 이 논의를 해서는 안 되고 더 깊숙하게 시도민들과 소통하려고 하는 노력을 해야 될 것 같고요."]
계엄과 탄핵, 조기 대선 등 불확실성으로 가득한 정국 상황에서 대구 경북 행정 통합 논의가 다시 추진력을 얻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
-
-
김도훈 기자 kinchy@kbs.co.kr
김도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