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강 코앞, 꿈쩍 않는 의대생들…의대 학장들도 “증원 0명”
입력 2025.02.24 (23:38)
수정 2025.02.24 (23: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3월 개강이 코앞인데도 휴학 중인 의대생들의 복귀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올해 의대 신입생들도 수업을 들어야 할지 말지 혼란스러운 건 마찬가지인데요.
전국의 의대 학장들은 오늘 이주호 사회부총리에게 내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이전 수준으로 동결해야 한다고 거듭 요구했습니다.
김하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의대 증원에 반발해 휴학 중인 의대생은 만8천여 명에 달합니다.
정부가 개강까지 늦춰가며 복귀를 유도했지만, 다음달 초 새 학기에 복학을 신청한 의대생은 전체의 8%에 불과합니다.
[의대생/음성변조 : "비과학적인 정책 패키지와 그 안의 증원 정책이 결국 학생들이 나오게 된 심각한 문제 상황이고요. 의대 1학년이 최대 4배가 된 곳도 있다는 건 제대로 된 교육은 이제 없다는 걸로…."]
1년 넘게 이어진 의정 갈등에 의대생들의 상처도 쌓여가고 있습니다.
수업 거부 강요, 휴학계 제출 압박 등 의대생들의 신고를 받아 교육부가 수사 의뢰한 사건이 11건에 달합니다.
특히, 올해 의대 신입생 4천5백여 명 입장에선 혼란스러울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가운데 오늘 교육부가 비공개로 개최한 40개 의대 학장 간담회에서도 사태 해결의 실마리는 찾지 못했습니다.
의대 학장들은 내년도 입학 정원을 증원 전인 3천 명 수준으로 되돌려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했습니다.
한 의대 학장은 KBS와의 통화에서 "내년도 의대 정원을 되돌리지 않으면 핵생들을 돌아오게 할 명분이 없다"면서 "학생들이 돌아오지 않으면 결국 의료가 붕괴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교육부는 내년도 의대 증원 규모를 각 대학이 자율 결정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지만, 의대 증원에 대비해 이미 설비 등을 확보한 대학본부와 의과대학의 입장이 달라 학내 갈등이 재연될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
KBS 뉴스 김하은입니다.
영상편집:고응용/그래픽:최창준
3월 개강이 코앞인데도 휴학 중인 의대생들의 복귀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올해 의대 신입생들도 수업을 들어야 할지 말지 혼란스러운 건 마찬가지인데요.
전국의 의대 학장들은 오늘 이주호 사회부총리에게 내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이전 수준으로 동결해야 한다고 거듭 요구했습니다.
김하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의대 증원에 반발해 휴학 중인 의대생은 만8천여 명에 달합니다.
정부가 개강까지 늦춰가며 복귀를 유도했지만, 다음달 초 새 학기에 복학을 신청한 의대생은 전체의 8%에 불과합니다.
[의대생/음성변조 : "비과학적인 정책 패키지와 그 안의 증원 정책이 결국 학생들이 나오게 된 심각한 문제 상황이고요. 의대 1학년이 최대 4배가 된 곳도 있다는 건 제대로 된 교육은 이제 없다는 걸로…."]
1년 넘게 이어진 의정 갈등에 의대생들의 상처도 쌓여가고 있습니다.
수업 거부 강요, 휴학계 제출 압박 등 의대생들의 신고를 받아 교육부가 수사 의뢰한 사건이 11건에 달합니다.
특히, 올해 의대 신입생 4천5백여 명 입장에선 혼란스러울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가운데 오늘 교육부가 비공개로 개최한 40개 의대 학장 간담회에서도 사태 해결의 실마리는 찾지 못했습니다.
의대 학장들은 내년도 입학 정원을 증원 전인 3천 명 수준으로 되돌려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했습니다.
한 의대 학장은 KBS와의 통화에서 "내년도 의대 정원을 되돌리지 않으면 핵생들을 돌아오게 할 명분이 없다"면서 "학생들이 돌아오지 않으면 결국 의료가 붕괴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교육부는 내년도 의대 증원 규모를 각 대학이 자율 결정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지만, 의대 증원에 대비해 이미 설비 등을 확보한 대학본부와 의과대학의 입장이 달라 학내 갈등이 재연될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
KBS 뉴스 김하은입니다.
영상편집:고응용/그래픽: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개강 코앞, 꿈쩍 않는 의대생들…의대 학장들도 “증원 0명”
-
- 입력 2025-02-24 23:38:53
- 수정2025-02-24 23:42:27

[앵커]
3월 개강이 코앞인데도 휴학 중인 의대생들의 복귀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올해 의대 신입생들도 수업을 들어야 할지 말지 혼란스러운 건 마찬가지인데요.
전국의 의대 학장들은 오늘 이주호 사회부총리에게 내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이전 수준으로 동결해야 한다고 거듭 요구했습니다.
김하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의대 증원에 반발해 휴학 중인 의대생은 만8천여 명에 달합니다.
정부가 개강까지 늦춰가며 복귀를 유도했지만, 다음달 초 새 학기에 복학을 신청한 의대생은 전체의 8%에 불과합니다.
[의대생/음성변조 : "비과학적인 정책 패키지와 그 안의 증원 정책이 결국 학생들이 나오게 된 심각한 문제 상황이고요. 의대 1학년이 최대 4배가 된 곳도 있다는 건 제대로 된 교육은 이제 없다는 걸로…."]
1년 넘게 이어진 의정 갈등에 의대생들의 상처도 쌓여가고 있습니다.
수업 거부 강요, 휴학계 제출 압박 등 의대생들의 신고를 받아 교육부가 수사 의뢰한 사건이 11건에 달합니다.
특히, 올해 의대 신입생 4천5백여 명 입장에선 혼란스러울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가운데 오늘 교육부가 비공개로 개최한 40개 의대 학장 간담회에서도 사태 해결의 실마리는 찾지 못했습니다.
의대 학장들은 내년도 입학 정원을 증원 전인 3천 명 수준으로 되돌려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했습니다.
한 의대 학장은 KBS와의 통화에서 "내년도 의대 정원을 되돌리지 않으면 핵생들을 돌아오게 할 명분이 없다"면서 "학생들이 돌아오지 않으면 결국 의료가 붕괴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교육부는 내년도 의대 증원 규모를 각 대학이 자율 결정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지만, 의대 증원에 대비해 이미 설비 등을 확보한 대학본부와 의과대학의 입장이 달라 학내 갈등이 재연될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
KBS 뉴스 김하은입니다.
영상편집:고응용/그래픽:최창준
3월 개강이 코앞인데도 휴학 중인 의대생들의 복귀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올해 의대 신입생들도 수업을 들어야 할지 말지 혼란스러운 건 마찬가지인데요.
전국의 의대 학장들은 오늘 이주호 사회부총리에게 내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이전 수준으로 동결해야 한다고 거듭 요구했습니다.
김하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의대 증원에 반발해 휴학 중인 의대생은 만8천여 명에 달합니다.
정부가 개강까지 늦춰가며 복귀를 유도했지만, 다음달 초 새 학기에 복학을 신청한 의대생은 전체의 8%에 불과합니다.
[의대생/음성변조 : "비과학적인 정책 패키지와 그 안의 증원 정책이 결국 학생들이 나오게 된 심각한 문제 상황이고요. 의대 1학년이 최대 4배가 된 곳도 있다는 건 제대로 된 교육은 이제 없다는 걸로…."]
1년 넘게 이어진 의정 갈등에 의대생들의 상처도 쌓여가고 있습니다.
수업 거부 강요, 휴학계 제출 압박 등 의대생들의 신고를 받아 교육부가 수사 의뢰한 사건이 11건에 달합니다.
특히, 올해 의대 신입생 4천5백여 명 입장에선 혼란스러울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가운데 오늘 교육부가 비공개로 개최한 40개 의대 학장 간담회에서도 사태 해결의 실마리는 찾지 못했습니다.
의대 학장들은 내년도 입학 정원을 증원 전인 3천 명 수준으로 되돌려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했습니다.
한 의대 학장은 KBS와의 통화에서 "내년도 의대 정원을 되돌리지 않으면 핵생들을 돌아오게 할 명분이 없다"면서 "학생들이 돌아오지 않으면 결국 의료가 붕괴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교육부는 내년도 의대 증원 규모를 각 대학이 자율 결정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지만, 의대 증원에 대비해 이미 설비 등을 확보한 대학본부와 의과대학의 입장이 달라 학내 갈등이 재연될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
KBS 뉴스 김하은입니다.
영상편집:고응용/그래픽:최창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