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위 부위원장 “올해 합계출산율 0.79명 예상…반등 흐름 이어갈 것”

입력 2025.02.26 (15:07) 수정 2025.02.26 (19: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0.75명을 기록하며 9년 만에 반등한 가운데,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올해 합계출산율을 0.79명 안팎으로 예상하며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을 내놨습니다.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은 오늘(26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임신·출산 바우처 신청 건수와 신청 시 기재하는 출생 예정일, 주민등록 통계, 혼인 건수 등 여러 자료를 활용해 내부적으로 검토한 결과 올해 출생아 수는 지난해보다 1만여 명 늘어난 25만 명으로 예상된다”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주 부위원장은 “정부는 이러한 전망을 현실화하고 최근의 반등 흐름이 더욱 강하고 견고한 추세로 자리 잡도록 앞으로도 저출생 대응에 박차를 가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오늘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인구 동향’에서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5명을 기록하며, 2015년(1.24명)부터 2023년(0.72명)까지 이어졌던 하락세가 일단 멈췄습니다.

이에 대해 주 부위원장은 “정부의 정책적 노력뿐만 아니라 기업, 지자체, 사회 각계각층에서 힘을 모아준 덕분”이라며 “저출생 추세를 반전시킬 중요한 계기가 마련됐다”고 평가했습니다.

특히 저출산위에서 전국 243개 지자체의 저출생 대응 사업을 전수 조사한 결과, 그 규모만 4조 6천억 원에 달했다며 중앙 정부 지원을 넘어선 지역 맞춤형 지원책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습니다.

주 부위원장은 “출산율 상승이 전국적으로 확산해 17개 시도 중 14곳에서 합계출산율이 증가했다”면서 “주 출산 연령대인 30대의 출산율이 크게 개선됐고 20대 후반 출산율의 가파른 하락세가 현저히 둔화한 것도 주목할 만한 변화”라고 밝혔습니다.

또 “출생뿐 아니라 혼인 건수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며 22만 건을 돌파했다”면서 “혼인 증가는 시차를 두고 출산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향후 강한 반등 흐름을 기대하게 하는 매우 고무적인 결과”라고 덧붙였습니다.

저출산위는 2030년 합계출산율 1.0 목표 달성을 위해 ‘저출산·고령사회 시행계획’ 추진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보완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입니다.

주 부위원장은 “일·가정 양립 문화 정착을 위해 더욱 매진하겠다”면서 “기업들이 스스로 변화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유연근무제 확산도 본격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그동안 충분히 다루지 못했던 실질적인 양성평등 환경을 구축하는 데도 역점을 두고 저출생의 근본적 원인으로 지적되는 좋은 일자리 부족, 수도권 집중, 사교육 부담 등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대응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저출산위 부위원장 “올해 합계출산율 0.79명 예상…반등 흐름 이어갈 것”
    • 입력 2025-02-26 15:07:11
    • 수정2025-02-26 19:06:14
    사회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0.75명을 기록하며 9년 만에 반등한 가운데,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올해 합계출산율을 0.79명 안팎으로 예상하며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을 내놨습니다.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은 오늘(26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임신·출산 바우처 신청 건수와 신청 시 기재하는 출생 예정일, 주민등록 통계, 혼인 건수 등 여러 자료를 활용해 내부적으로 검토한 결과 올해 출생아 수는 지난해보다 1만여 명 늘어난 25만 명으로 예상된다”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주 부위원장은 “정부는 이러한 전망을 현실화하고 최근의 반등 흐름이 더욱 강하고 견고한 추세로 자리 잡도록 앞으로도 저출생 대응에 박차를 가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오늘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인구 동향’에서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5명을 기록하며, 2015년(1.24명)부터 2023년(0.72명)까지 이어졌던 하락세가 일단 멈췄습니다.

이에 대해 주 부위원장은 “정부의 정책적 노력뿐만 아니라 기업, 지자체, 사회 각계각층에서 힘을 모아준 덕분”이라며 “저출생 추세를 반전시킬 중요한 계기가 마련됐다”고 평가했습니다.

특히 저출산위에서 전국 243개 지자체의 저출생 대응 사업을 전수 조사한 결과, 그 규모만 4조 6천억 원에 달했다며 중앙 정부 지원을 넘어선 지역 맞춤형 지원책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습니다.

주 부위원장은 “출산율 상승이 전국적으로 확산해 17개 시도 중 14곳에서 합계출산율이 증가했다”면서 “주 출산 연령대인 30대의 출산율이 크게 개선됐고 20대 후반 출산율의 가파른 하락세가 현저히 둔화한 것도 주목할 만한 변화”라고 밝혔습니다.

또 “출생뿐 아니라 혼인 건수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며 22만 건을 돌파했다”면서 “혼인 증가는 시차를 두고 출산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향후 강한 반등 흐름을 기대하게 하는 매우 고무적인 결과”라고 덧붙였습니다.

저출산위는 2030년 합계출산율 1.0 목표 달성을 위해 ‘저출산·고령사회 시행계획’ 추진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보완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입니다.

주 부위원장은 “일·가정 양립 문화 정착을 위해 더욱 매진하겠다”면서 “기업들이 스스로 변화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유연근무제 확산도 본격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그동안 충분히 다루지 못했던 실질적인 양성평등 환경을 구축하는 데도 역점을 두고 저출생의 근본적 원인으로 지적되는 좋은 일자리 부족, 수도권 집중, 사교육 부담 등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대응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