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에 유통·인재까지…‘수소 산업’ 메카로

입력 2025.02.28 (07:37) 수정 2025.02.28 (08: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울산시가 2030년 수소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하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수소 충전과 함께 운송 시설도 들어서는데요,

수소 전문 인력까지 배출해 미래 먹거리 경쟁에서 앞서 나가겠다는 계획입니다.

허성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국 수소 생산량의 60%를 차지하는 울산.

최대 생산지에 필요한 유통망도 구축합니다.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인 이른바 '블루수소'를 저장한 뒤 수소 운반 차량에 공급하는 충전 시설이 내년 8월까지 울산·미포국가산단에 들어섭니다.

수소전기차 40만 대의 연료와 맞먹는 2천 톤의 수소를 매년 공급하고 유통할 수 있습니다.

[김두겸/울산시장 : "수소만큼은 전 세계에서 1등 도시로 만들고 싶습니다. 블루수소 충전 인프라가 구축되면 수소의 생산과 유통, 공급이 훨씬 원활해지면서 울산의 수소경제가 공고해질 것입니다."]

울산 북신항에는 수출 전진 기지 역할을 할 세계 최대 규모의 수소 운송 시설도 들어섭니다.

현재 공정률 28%로, 연간 32만 톤의 수소를 실어 나를 수 있습니다.

수소 생산에도 한층 속도가 붙을 전망입니다.

축구장 400개 규모의 수소 융복합 밸리 산업단지의 80% 차지하던 개발제한구역이 풀려 200개가 넘는 기업이 입주할 예정입니다.

여기다 수소 관련 기업의 연구 인력도 울산에서 배출합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 문을 연 대학원에서 매년 석, 박사급의 수소 전문 인력을 배출합니다.

이처럼 울산이 수소 산업의 메카로 자리 잡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 있지만, 풀어야 할 과제도 적지 않습니다.

수소의 생산과 유통에 거쳐야 할 행정 절차를 간소화할 법적 근거와 함께 수소를 안전하게 관리할 제도도 갖춰야 합니다.

또, 추상적인 선언에 그치지 않고 수소 산업을 육성할 구체적이고 장기적인 계획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허성권입니다.

촬영기자:김용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생산에 유통·인재까지…‘수소 산업’ 메카로
    • 입력 2025-02-28 07:37:14
    • 수정2025-02-28 08:15:29
    뉴스광장(울산)
[앵커]

울산시가 2030년 수소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하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수소 충전과 함께 운송 시설도 들어서는데요,

수소 전문 인력까지 배출해 미래 먹거리 경쟁에서 앞서 나가겠다는 계획입니다.

허성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국 수소 생산량의 60%를 차지하는 울산.

최대 생산지에 필요한 유통망도 구축합니다.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인 이른바 '블루수소'를 저장한 뒤 수소 운반 차량에 공급하는 충전 시설이 내년 8월까지 울산·미포국가산단에 들어섭니다.

수소전기차 40만 대의 연료와 맞먹는 2천 톤의 수소를 매년 공급하고 유통할 수 있습니다.

[김두겸/울산시장 : "수소만큼은 전 세계에서 1등 도시로 만들고 싶습니다. 블루수소 충전 인프라가 구축되면 수소의 생산과 유통, 공급이 훨씬 원활해지면서 울산의 수소경제가 공고해질 것입니다."]

울산 북신항에는 수출 전진 기지 역할을 할 세계 최대 규모의 수소 운송 시설도 들어섭니다.

현재 공정률 28%로, 연간 32만 톤의 수소를 실어 나를 수 있습니다.

수소 생산에도 한층 속도가 붙을 전망입니다.

축구장 400개 규모의 수소 융복합 밸리 산업단지의 80% 차지하던 개발제한구역이 풀려 200개가 넘는 기업이 입주할 예정입니다.

여기다 수소 관련 기업의 연구 인력도 울산에서 배출합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 문을 연 대학원에서 매년 석, 박사급의 수소 전문 인력을 배출합니다.

이처럼 울산이 수소 산업의 메카로 자리 잡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 있지만, 풀어야 할 과제도 적지 않습니다.

수소의 생산과 유통에 거쳐야 할 행정 절차를 간소화할 법적 근거와 함께 수소를 안전하게 관리할 제도도 갖춰야 합니다.

또, 추상적인 선언에 그치지 않고 수소 산업을 육성할 구체적이고 장기적인 계획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허성권입니다.

촬영기자:김용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울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