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친화시설 정책 지원·사회적 인식 개선 필요”

입력 2025.03.06 (10:37) 수정 2025.03.06 (10: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이를 동반한 손님을 받지 않는 이른바 ‘노키즈존’ 업장이 점차 증가하며 이를 막기 위한 정책 필요성이 제기됐습니다.

제주연구원이 노키즈존 사업주 80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조용한 가게 분위기를 유지하고 싶어서’라는 응답이 43%로 가장 많았고, 아동 안전사고 발생 시 책임 우려 33%, 다른 고객과의 마찰 우려 12%로 조사됐습니다.

업주들은 정책적 지원 1순위로 보호자 책임 강화와 홍보를 꼽았고 보험 가입비 지원, 보호자와 아동에 대한 교육 등의 순서로 응답했습니다.

연구원은 아동친화적 상업시설 인증제 등 정책과 아이와 어른이 함께하는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언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동친화시설 정책 지원·사회적 인식 개선 필요”
    • 입력 2025-03-06 10:37:05
    • 수정2025-03-06 10:53:16
    930뉴스(제주)
아이를 동반한 손님을 받지 않는 이른바 ‘노키즈존’ 업장이 점차 증가하며 이를 막기 위한 정책 필요성이 제기됐습니다.

제주연구원이 노키즈존 사업주 80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조용한 가게 분위기를 유지하고 싶어서’라는 응답이 43%로 가장 많았고, 아동 안전사고 발생 시 책임 우려 33%, 다른 고객과의 마찰 우려 12%로 조사됐습니다.

업주들은 정책적 지원 1순위로 보호자 책임 강화와 홍보를 꼽았고 보험 가입비 지원, 보호자와 아동에 대한 교육 등의 순서로 응답했습니다.

연구원은 아동친화적 상업시설 인증제 등 정책과 아이와 어른이 함께하는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언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제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