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담한K] “철거 대신 새 주인을”…‘빈집 뱅크’ 눈길
입력 2025.03.06 (19:37)
수정 2025.03.06 (20: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부산은 전국 광역시 중 빈집이 가장 많은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빈집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많은 지자체의 고민이기도 한데, 중구청이 ‘빈집뱅크’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빈집뱅크 플랫폼을 기획부터 운영을 담당하는 부산중구청 정비사업계 조우창 주무관과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구·군마다 빈집 전담 부서를 만들고, 빈집 정책 담당관을 마련하는 곳들도 있다고 하는데, 빈집 문제가 큰 부담이어서겠죠?
[앵커]
지자체마다 빈집을 어떻게 활용할 건지에 대한 고민이 큽니다.
오늘 모신 이유는 중구가 진행하고 있는 '빈집뱅크'라는 사업 때문인데, 전국에서 처음 있는 시도한 사업이라고요?
[앵커]
보통은 철거라든지 새로운 시설로 활용하는 계획을 세울 때가 많은데요.
주무관님이 빈집을 수요자에게 중개하겠다고 직접 기획까지했다고 들었습니다?
[앵커]
올해 1월에 첫 운영을 시작했는데, 한 달 만에 바로 거래가 성사됐죠.
어떤 경우였습니까?
[앵커]
많은 분이 궁금해하는 건, 빈집뱅크를 이용하면 어떤 이점이 생기는지에 대한 걸텐데요,
집주인, 임차인에게 어떤 혜택이 있는 겁니까?
[앵커]
농촌지역 빈집 문제가 대두됐을 때, 해당 지자체 사이트에 빈집 매물을 올려놓기도 했었는데, 중구청 빈집뱅크의 경우, 단순한 거래 중개는 아니라는 말씀인 거죠.
구청의 역할은 그럼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입니까?
[앵커]
잘만 활용하면 어쩔 수 없이 빈집으로 둬야 했던 집주인, 또 살 곳을 찾고 있는 임대인, 서로 도움이 되는 정책이 될 것도 같은데, 빈집뱅크를 이용할 수 있는 조건이라든가, 이용 방법 정리해 주신다면?
[앵커]
지역의 청년단체와 협업해 빈집을 리모델링한 후 숙박업소를 만들 계획도 있는 것으로 압니다.
어떻게 진행되고 있고, 앞으로 어떻게 활용할 계획인지요?
[앵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지금까지 부산중구청 조우창 주무관이었습니다.
부산은 전국 광역시 중 빈집이 가장 많은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빈집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많은 지자체의 고민이기도 한데, 중구청이 ‘빈집뱅크’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빈집뱅크 플랫폼을 기획부터 운영을 담당하는 부산중구청 정비사업계 조우창 주무관과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구·군마다 빈집 전담 부서를 만들고, 빈집 정책 담당관을 마련하는 곳들도 있다고 하는데, 빈집 문제가 큰 부담이어서겠죠?
[앵커]
지자체마다 빈집을 어떻게 활용할 건지에 대한 고민이 큽니다.
오늘 모신 이유는 중구가 진행하고 있는 '빈집뱅크'라는 사업 때문인데, 전국에서 처음 있는 시도한 사업이라고요?
[앵커]
보통은 철거라든지 새로운 시설로 활용하는 계획을 세울 때가 많은데요.
주무관님이 빈집을 수요자에게 중개하겠다고 직접 기획까지했다고 들었습니다?
[앵커]
올해 1월에 첫 운영을 시작했는데, 한 달 만에 바로 거래가 성사됐죠.
어떤 경우였습니까?
[앵커]
많은 분이 궁금해하는 건, 빈집뱅크를 이용하면 어떤 이점이 생기는지에 대한 걸텐데요,
집주인, 임차인에게 어떤 혜택이 있는 겁니까?
[앵커]
농촌지역 빈집 문제가 대두됐을 때, 해당 지자체 사이트에 빈집 매물을 올려놓기도 했었는데, 중구청 빈집뱅크의 경우, 단순한 거래 중개는 아니라는 말씀인 거죠.
구청의 역할은 그럼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입니까?
[앵커]
잘만 활용하면 어쩔 수 없이 빈집으로 둬야 했던 집주인, 또 살 곳을 찾고 있는 임대인, 서로 도움이 되는 정책이 될 것도 같은데, 빈집뱅크를 이용할 수 있는 조건이라든가, 이용 방법 정리해 주신다면?
[앵커]
지역의 청년단체와 협업해 빈집을 리모델링한 후 숙박업소를 만들 계획도 있는 것으로 압니다.
어떻게 진행되고 있고, 앞으로 어떻게 활용할 계획인지요?
[앵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지금까지 부산중구청 조우창 주무관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담한K] “철거 대신 새 주인을”…‘빈집 뱅크’ 눈길
-
- 입력 2025-03-06 19:37:23
- 수정2025-03-06 20:02:57

[앵커]
부산은 전국 광역시 중 빈집이 가장 많은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빈집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많은 지자체의 고민이기도 한데, 중구청이 ‘빈집뱅크’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빈집뱅크 플랫폼을 기획부터 운영을 담당하는 부산중구청 정비사업계 조우창 주무관과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구·군마다 빈집 전담 부서를 만들고, 빈집 정책 담당관을 마련하는 곳들도 있다고 하는데, 빈집 문제가 큰 부담이어서겠죠?
[앵커]
지자체마다 빈집을 어떻게 활용할 건지에 대한 고민이 큽니다.
오늘 모신 이유는 중구가 진행하고 있는 '빈집뱅크'라는 사업 때문인데, 전국에서 처음 있는 시도한 사업이라고요?
[앵커]
보통은 철거라든지 새로운 시설로 활용하는 계획을 세울 때가 많은데요.
주무관님이 빈집을 수요자에게 중개하겠다고 직접 기획까지했다고 들었습니다?
[앵커]
올해 1월에 첫 운영을 시작했는데, 한 달 만에 바로 거래가 성사됐죠.
어떤 경우였습니까?
[앵커]
많은 분이 궁금해하는 건, 빈집뱅크를 이용하면 어떤 이점이 생기는지에 대한 걸텐데요,
집주인, 임차인에게 어떤 혜택이 있는 겁니까?
[앵커]
농촌지역 빈집 문제가 대두됐을 때, 해당 지자체 사이트에 빈집 매물을 올려놓기도 했었는데, 중구청 빈집뱅크의 경우, 단순한 거래 중개는 아니라는 말씀인 거죠.
구청의 역할은 그럼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입니까?
[앵커]
잘만 활용하면 어쩔 수 없이 빈집으로 둬야 했던 집주인, 또 살 곳을 찾고 있는 임대인, 서로 도움이 되는 정책이 될 것도 같은데, 빈집뱅크를 이용할 수 있는 조건이라든가, 이용 방법 정리해 주신다면?
[앵커]
지역의 청년단체와 협업해 빈집을 리모델링한 후 숙박업소를 만들 계획도 있는 것으로 압니다.
어떻게 진행되고 있고, 앞으로 어떻게 활용할 계획인지요?
[앵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지금까지 부산중구청 조우창 주무관이었습니다.
부산은 전국 광역시 중 빈집이 가장 많은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빈집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많은 지자체의 고민이기도 한데, 중구청이 ‘빈집뱅크’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빈집뱅크 플랫폼을 기획부터 운영을 담당하는 부산중구청 정비사업계 조우창 주무관과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구·군마다 빈집 전담 부서를 만들고, 빈집 정책 담당관을 마련하는 곳들도 있다고 하는데, 빈집 문제가 큰 부담이어서겠죠?
[앵커]
지자체마다 빈집을 어떻게 활용할 건지에 대한 고민이 큽니다.
오늘 모신 이유는 중구가 진행하고 있는 '빈집뱅크'라는 사업 때문인데, 전국에서 처음 있는 시도한 사업이라고요?
[앵커]
보통은 철거라든지 새로운 시설로 활용하는 계획을 세울 때가 많은데요.
주무관님이 빈집을 수요자에게 중개하겠다고 직접 기획까지했다고 들었습니다?
[앵커]
올해 1월에 첫 운영을 시작했는데, 한 달 만에 바로 거래가 성사됐죠.
어떤 경우였습니까?
[앵커]
많은 분이 궁금해하는 건, 빈집뱅크를 이용하면 어떤 이점이 생기는지에 대한 걸텐데요,
집주인, 임차인에게 어떤 혜택이 있는 겁니까?
[앵커]
농촌지역 빈집 문제가 대두됐을 때, 해당 지자체 사이트에 빈집 매물을 올려놓기도 했었는데, 중구청 빈집뱅크의 경우, 단순한 거래 중개는 아니라는 말씀인 거죠.
구청의 역할은 그럼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입니까?
[앵커]
잘만 활용하면 어쩔 수 없이 빈집으로 둬야 했던 집주인, 또 살 곳을 찾고 있는 임대인, 서로 도움이 되는 정책이 될 것도 같은데, 빈집뱅크를 이용할 수 있는 조건이라든가, 이용 방법 정리해 주신다면?
[앵커]
지역의 청년단체와 협업해 빈집을 리모델링한 후 숙박업소를 만들 계획도 있는 것으로 압니다.
어떻게 진행되고 있고, 앞으로 어떻게 활용할 계획인지요?
[앵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지금까지 부산중구청 조우창 주무관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