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 “엑스 접속 장애는 사이버공격 때문, IP주소는 우크라이나”
입력 2025.03.11 (07:20)
수정 2025.03.11 (08: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소유한 소셜미디어 엑스에서 접속 장애가 일어난 것과 관련해, 머스크는 접속 장애가 사이버 공격 때문이며 공격 진원지는 우크라이나로 파악됐다고 주장했습니다.
머스크는 10일 오후 엑스 계정에 올린 글에서 “엑스에 대한 대규모 사이버공격이 있었고, 많은 자원이 동원됐다”고 주장했습니다.
머스크는 이어 “크고 조직화한 집단, 또는 국가가 관여하고 있다”며 “추적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머스크는 또 폭스 비즈니스 진행자 래리 커들로와의 인터뷰에서는 “엑스 시스템을 다운시키려는 대규모 사이버공격이 있었다”며 이 공격의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가 “우크라이나 지역에서 기원했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머스크는 이에 대한 명확한 증거를 제시하지는 않았습니다.
머스크는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이 빨리 멈추기를 바란다는 취지의 글과 함께 “내가 위성 인터넷 시스템 스타링크를 끄면 우크라이나의 전선 전체가 붕괴할 것”이라고 썼다가 우크라이나 지지자들에게서 “스타링크를 끄겠다고 협박하는 것이냐”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이에 대해 머스크는 지난 9일 우크라이나에 대한 협박이 아니라 사실을 말한 것이라며 “내가 아무리 우크라이나의 정책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스타링크는 절대 단말기를 끄지 않을 것”이라고 해명하는 글을 올리기도 했습니다.
앞서 엑스는 미국 동부시각 10일 오전 미국을 비롯한 거의 전 세계 국가에서 일시적으로 접속이 안 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인터넷 모니터링 사이트 ‘다운디텍터’는 미국과 영국, 프랑스, 인도, 호주, 아르헨티나, 일본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 엑스 서비스에 접속할 수 없다는 이용자들의 신고가 접수됐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머스크는 10일 오후 엑스 계정에 올린 글에서 “엑스에 대한 대규모 사이버공격이 있었고, 많은 자원이 동원됐다”고 주장했습니다.
머스크는 이어 “크고 조직화한 집단, 또는 국가가 관여하고 있다”며 “추적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머스크는 또 폭스 비즈니스 진행자 래리 커들로와의 인터뷰에서는 “엑스 시스템을 다운시키려는 대규모 사이버공격이 있었다”며 이 공격의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가 “우크라이나 지역에서 기원했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머스크는 이에 대한 명확한 증거를 제시하지는 않았습니다.
머스크는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이 빨리 멈추기를 바란다는 취지의 글과 함께 “내가 위성 인터넷 시스템 스타링크를 끄면 우크라이나의 전선 전체가 붕괴할 것”이라고 썼다가 우크라이나 지지자들에게서 “스타링크를 끄겠다고 협박하는 것이냐”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이에 대해 머스크는 지난 9일 우크라이나에 대한 협박이 아니라 사실을 말한 것이라며 “내가 아무리 우크라이나의 정책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스타링크는 절대 단말기를 끄지 않을 것”이라고 해명하는 글을 올리기도 했습니다.
앞서 엑스는 미국 동부시각 10일 오전 미국을 비롯한 거의 전 세계 국가에서 일시적으로 접속이 안 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인터넷 모니터링 사이트 ‘다운디텍터’는 미국과 영국, 프랑스, 인도, 호주, 아르헨티나, 일본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 엑스 서비스에 접속할 수 없다는 이용자들의 신고가 접수됐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머스크 “엑스 접속 장애는 사이버공격 때문, IP주소는 우크라이나”
-
- 입력 2025-03-11 07:19:59
- 수정2025-03-11 08:32:35

일론 머스크가 소유한 소셜미디어 엑스에서 접속 장애가 일어난 것과 관련해, 머스크는 접속 장애가 사이버 공격 때문이며 공격 진원지는 우크라이나로 파악됐다고 주장했습니다.
머스크는 10일 오후 엑스 계정에 올린 글에서 “엑스에 대한 대규모 사이버공격이 있었고, 많은 자원이 동원됐다”고 주장했습니다.
머스크는 이어 “크고 조직화한 집단, 또는 국가가 관여하고 있다”며 “추적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머스크는 또 폭스 비즈니스 진행자 래리 커들로와의 인터뷰에서는 “엑스 시스템을 다운시키려는 대규모 사이버공격이 있었다”며 이 공격의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가 “우크라이나 지역에서 기원했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머스크는 이에 대한 명확한 증거를 제시하지는 않았습니다.
머스크는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이 빨리 멈추기를 바란다는 취지의 글과 함께 “내가 위성 인터넷 시스템 스타링크를 끄면 우크라이나의 전선 전체가 붕괴할 것”이라고 썼다가 우크라이나 지지자들에게서 “스타링크를 끄겠다고 협박하는 것이냐”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이에 대해 머스크는 지난 9일 우크라이나에 대한 협박이 아니라 사실을 말한 것이라며 “내가 아무리 우크라이나의 정책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스타링크는 절대 단말기를 끄지 않을 것”이라고 해명하는 글을 올리기도 했습니다.
앞서 엑스는 미국 동부시각 10일 오전 미국을 비롯한 거의 전 세계 국가에서 일시적으로 접속이 안 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인터넷 모니터링 사이트 ‘다운디텍터’는 미국과 영국, 프랑스, 인도, 호주, 아르헨티나, 일본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 엑스 서비스에 접속할 수 없다는 이용자들의 신고가 접수됐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머스크는 10일 오후 엑스 계정에 올린 글에서 “엑스에 대한 대규모 사이버공격이 있었고, 많은 자원이 동원됐다”고 주장했습니다.
머스크는 이어 “크고 조직화한 집단, 또는 국가가 관여하고 있다”며 “추적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머스크는 또 폭스 비즈니스 진행자 래리 커들로와의 인터뷰에서는 “엑스 시스템을 다운시키려는 대규모 사이버공격이 있었다”며 이 공격의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가 “우크라이나 지역에서 기원했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머스크는 이에 대한 명확한 증거를 제시하지는 않았습니다.
머스크는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이 빨리 멈추기를 바란다는 취지의 글과 함께 “내가 위성 인터넷 시스템 스타링크를 끄면 우크라이나의 전선 전체가 붕괴할 것”이라고 썼다가 우크라이나 지지자들에게서 “스타링크를 끄겠다고 협박하는 것이냐”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이에 대해 머스크는 지난 9일 우크라이나에 대한 협박이 아니라 사실을 말한 것이라며 “내가 아무리 우크라이나의 정책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스타링크는 절대 단말기를 끄지 않을 것”이라고 해명하는 글을 올리기도 했습니다.
앞서 엑스는 미국 동부시각 10일 오전 미국을 비롯한 거의 전 세계 국가에서 일시적으로 접속이 안 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인터넷 모니터링 사이트 ‘다운디텍터’는 미국과 영국, 프랑스, 인도, 호주, 아르헨티나, 일본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 엑스 서비스에 접속할 수 없다는 이용자들의 신고가 접수됐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