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 플라스틱, 광합성 방해해 식량 공급 감소 초래”
입력 2025.03.11 (10:28)
수정 2025.03.11 (10: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세 플라스틱이 식물 광합성을 방해해 식량 공급의 현저한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현지시각 10일 보도했습니다.
중국 난징대학교 연구진은 미세 플라스틱이 식물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 기존 연구 157건에서 확보한 관찰자료 3천 건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진은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해 밀과 쌀, 옥수수 등 전 세계의 주요 작물 4∼14%가 줄어들고 있다면서, 앞으로 더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환경에 흘러 들어가면 상황이 악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미세 플라스틱은 대기 오염 물질 상태로 존재하면서 식물의 잎에 도달하는 햇빛을 차단하거나 토양을 오염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식물에 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또 식물이 흡수한 미세 플라스틱은 영양분과 수분 통로를 막고 세포를 손상시키는 불안정 분자를 유발하며, 독성 화학 물질을 방출해 광합성 색소인 엽록소 수치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연구진은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한 육상 식물의 광합성 감소는 약 12%, 해조류의 경우 약 7%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또 아시아에서만 연간 5천400만 톤에서 1억7천700만 톤의 농작물 손실이 발생하고, 바다에서는 어류와 해산물 손실이 연간 100만 톤에서 2천400만 톤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한 이같은 연간 농작물 손실은 최근 수십 년 동안 기후 위기로 인한 농작물 손실분과 맞먹는 규모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과학 저널 미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실렸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중국 난징대학교 연구진은 미세 플라스틱이 식물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 기존 연구 157건에서 확보한 관찰자료 3천 건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진은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해 밀과 쌀, 옥수수 등 전 세계의 주요 작물 4∼14%가 줄어들고 있다면서, 앞으로 더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환경에 흘러 들어가면 상황이 악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미세 플라스틱은 대기 오염 물질 상태로 존재하면서 식물의 잎에 도달하는 햇빛을 차단하거나 토양을 오염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식물에 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또 식물이 흡수한 미세 플라스틱은 영양분과 수분 통로를 막고 세포를 손상시키는 불안정 분자를 유발하며, 독성 화학 물질을 방출해 광합성 색소인 엽록소 수치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연구진은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한 육상 식물의 광합성 감소는 약 12%, 해조류의 경우 약 7%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또 아시아에서만 연간 5천400만 톤에서 1억7천700만 톤의 농작물 손실이 발생하고, 바다에서는 어류와 해산물 손실이 연간 100만 톤에서 2천400만 톤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한 이같은 연간 농작물 손실은 최근 수십 년 동안 기후 위기로 인한 농작물 손실분과 맞먹는 규모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과학 저널 미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실렸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세 플라스틱, 광합성 방해해 식량 공급 감소 초래”
-
- 입력 2025-03-11 10:28:18
- 수정2025-03-11 10:29:00

미세 플라스틱이 식물 광합성을 방해해 식량 공급의 현저한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현지시각 10일 보도했습니다.
중국 난징대학교 연구진은 미세 플라스틱이 식물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 기존 연구 157건에서 확보한 관찰자료 3천 건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진은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해 밀과 쌀, 옥수수 등 전 세계의 주요 작물 4∼14%가 줄어들고 있다면서, 앞으로 더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환경에 흘러 들어가면 상황이 악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미세 플라스틱은 대기 오염 물질 상태로 존재하면서 식물의 잎에 도달하는 햇빛을 차단하거나 토양을 오염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식물에 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또 식물이 흡수한 미세 플라스틱은 영양분과 수분 통로를 막고 세포를 손상시키는 불안정 분자를 유발하며, 독성 화학 물질을 방출해 광합성 색소인 엽록소 수치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연구진은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한 육상 식물의 광합성 감소는 약 12%, 해조류의 경우 약 7%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또 아시아에서만 연간 5천400만 톤에서 1억7천700만 톤의 농작물 손실이 발생하고, 바다에서는 어류와 해산물 손실이 연간 100만 톤에서 2천400만 톤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한 이같은 연간 농작물 손실은 최근 수십 년 동안 기후 위기로 인한 농작물 손실분과 맞먹는 규모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과학 저널 미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실렸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중국 난징대학교 연구진은 미세 플라스틱이 식물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 기존 연구 157건에서 확보한 관찰자료 3천 건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진은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해 밀과 쌀, 옥수수 등 전 세계의 주요 작물 4∼14%가 줄어들고 있다면서, 앞으로 더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환경에 흘러 들어가면 상황이 악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미세 플라스틱은 대기 오염 물질 상태로 존재하면서 식물의 잎에 도달하는 햇빛을 차단하거나 토양을 오염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식물에 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또 식물이 흡수한 미세 플라스틱은 영양분과 수분 통로를 막고 세포를 손상시키는 불안정 분자를 유발하며, 독성 화학 물질을 방출해 광합성 색소인 엽록소 수치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연구진은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한 육상 식물의 광합성 감소는 약 12%, 해조류의 경우 약 7%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또 아시아에서만 연간 5천400만 톤에서 1억7천700만 톤의 농작물 손실이 발생하고, 바다에서는 어류와 해산물 손실이 연간 100만 톤에서 2천400만 톤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한 이같은 연간 농작물 손실은 최근 수십 년 동안 기후 위기로 인한 농작물 손실분과 맞먹는 규모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과학 저널 미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실렸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양민효 기자 gonggam@kbs.co.kr
양민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