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41년 만에 새로운 CI 공개…기내 서비스도 향상
입력 2025.03.11 (18:00)
수정 2025.03.11 (18: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한항공이 1984년 이후 41년 만에 새로운 기업 이미지(CI)를 공개했습니다.
대한항공은 오늘(11일) 서울 강서구 대한항공 본사에서 열린 발표 행사에서 기존 태극마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새로운 CI를 선보였습니다.
새로운 CI의 가장 큰 특징은 태극마크가 하나의 선으로 연결된 형태라는 점이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완전한 통합을 앞두고 새로운 정체성을 정립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보입니다.
대한항공은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태극마크를 유지하면서도, 기존의 적색과 청색을 하나의 색과 선으로 단순화했습니다.
대한항공은 "기존 태극마크에 디자인적 요소를 더해 세련된 이미지를 구현했다"며, "최근 기업 브랜드가 추구하는 모던함 등을 추구하면서도 대한항공 고유의 전통을 계승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대한항공의 CI 변경은 1984년 '고니 마크'에서 '태극 마크'로 바뀐 뒤 41년 만입니다.
당시 대한항공은 변화하는 기업 환경에 대처하고 기업 이미지 높이기 위해 기존의 '고니 마크'에서 대한민국을 상징할 수 있는 '태극 마크'를 도입한 바 있습니다.
CI 공개와 함께 기내식 신메뉴와 향상된 기내 서비스도 발표했습니다.
대한항공은 한남동에 있는 최고급 레스토랑 오너 셰프와 협업해 새로운 기내식 메뉴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상위 클래스의 경우 새로운 스타일의 요리와 디저트를 제공할 계획이며, 일반석 기내식으로 제공되던 한식도 연어 비빔밥, 낙지 제육 덮밥 등으로 다양화합니다.
또 기내 식기와 와인잔, 침구 등도 고급화할 예정입니다.
새롭게 도장된 항공기는 내일(12일) 오전 인천에서 일본 도쿄 나리타로 향하는 KE703편에 처음 투입됩니다.
또 같은 날 신규 기내식과 기내 서비스도 미국 뉴욕, 프랑스 파리, 영국 런던 등 장거리 주요 10개 노선에 우선 적용됩니다.
대한항공은 올해 6월부터 장거리 전 노선, 9월부터는 중·단거리 모든 노선으로 확대 시행할 예정입니다.
한편, 대한항공은 지난해 12월 12일, 아시아나항공의 지분 63.88%를 취득해 인수를 마무리했습니다.
아시아나항공은 대한항공 자회사로 편입돼 약 2년 동안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준비기간을 거쳐 대한항공과 완전히 통합될 예정입니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통합 대한항공은 마음과 마음, 세상과 세상을 하늘길로 연결하겠다는 수송의 더 뜻깊은 가치에 집중할 것이다"라면서 "오랜 시간 동안 축적된 노하우를 하나로 보듬어 새롭고 멋진 항공사로 거듭날 것이다"고 밝혔습니다.
또 통합 대한항공 출범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운임 인상과 서비스 질 하락 우려에 대해 조 회장은 "한 도시를 취항하게 되면 상대국도 취항하는 상호주의 원칙에 따라 취항하고 있다"면서 "독과점이라고 하는 부분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서비스 질이 하락하는) 일은 없을 거다"고 강조했습니다.
조 회장은 또 LCC 통합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조 회장은 "에어부산 분리 매각에 대해서는 생각해 본 적이 없고, 에어부산도 한 가족이라고 생각한다"면서 "부산은 우리나라 제2도시고, 제2공항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앞으로 진에어가 에어부산이 부산에서 했던 역할 이상으로 역할을 할 것으로 계획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마일리지와 관련해서는 "모든 고객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서 통합하고, 합리적으로 하는 게 목표다"면서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대한항공 제공]
대한항공은 오늘(11일) 서울 강서구 대한항공 본사에서 열린 발표 행사에서 기존 태극마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새로운 CI를 선보였습니다.
새로운 CI의 가장 큰 특징은 태극마크가 하나의 선으로 연결된 형태라는 점이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완전한 통합을 앞두고 새로운 정체성을 정립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보입니다.
대한항공은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태극마크를 유지하면서도, 기존의 적색과 청색을 하나의 색과 선으로 단순화했습니다.
대한항공은 "기존 태극마크에 디자인적 요소를 더해 세련된 이미지를 구현했다"며, "최근 기업 브랜드가 추구하는 모던함 등을 추구하면서도 대한항공 고유의 전통을 계승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대한항공의 CI 변경은 1984년 '고니 마크'에서 '태극 마크'로 바뀐 뒤 41년 만입니다.
당시 대한항공은 변화하는 기업 환경에 대처하고 기업 이미지 높이기 위해 기존의 '고니 마크'에서 대한민국을 상징할 수 있는 '태극 마크'를 도입한 바 있습니다.
CI 공개와 함께 기내식 신메뉴와 향상된 기내 서비스도 발표했습니다.
대한항공은 한남동에 있는 최고급 레스토랑 오너 셰프와 협업해 새로운 기내식 메뉴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상위 클래스의 경우 새로운 스타일의 요리와 디저트를 제공할 계획이며, 일반석 기내식으로 제공되던 한식도 연어 비빔밥, 낙지 제육 덮밥 등으로 다양화합니다.
또 기내 식기와 와인잔, 침구 등도 고급화할 예정입니다.
새롭게 도장된 항공기는 내일(12일) 오전 인천에서 일본 도쿄 나리타로 향하는 KE703편에 처음 투입됩니다.
또 같은 날 신규 기내식과 기내 서비스도 미국 뉴욕, 프랑스 파리, 영국 런던 등 장거리 주요 10개 노선에 우선 적용됩니다.
대한항공은 올해 6월부터 장거리 전 노선, 9월부터는 중·단거리 모든 노선으로 확대 시행할 예정입니다.
한편, 대한항공은 지난해 12월 12일, 아시아나항공의 지분 63.88%를 취득해 인수를 마무리했습니다.
아시아나항공은 대한항공 자회사로 편입돼 약 2년 동안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준비기간을 거쳐 대한항공과 완전히 통합될 예정입니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통합 대한항공은 마음과 마음, 세상과 세상을 하늘길로 연결하겠다는 수송의 더 뜻깊은 가치에 집중할 것이다"라면서 "오랜 시간 동안 축적된 노하우를 하나로 보듬어 새롭고 멋진 항공사로 거듭날 것이다"고 밝혔습니다.
또 통합 대한항공 출범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운임 인상과 서비스 질 하락 우려에 대해 조 회장은 "한 도시를 취항하게 되면 상대국도 취항하는 상호주의 원칙에 따라 취항하고 있다"면서 "독과점이라고 하는 부분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서비스 질이 하락하는) 일은 없을 거다"고 강조했습니다.
조 회장은 또 LCC 통합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조 회장은 "에어부산 분리 매각에 대해서는 생각해 본 적이 없고, 에어부산도 한 가족이라고 생각한다"면서 "부산은 우리나라 제2도시고, 제2공항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앞으로 진에어가 에어부산이 부산에서 했던 역할 이상으로 역할을 할 것으로 계획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마일리지와 관련해서는 "모든 고객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서 통합하고, 합리적으로 하는 게 목표다"면서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대한항공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한항공, 41년 만에 새로운 CI 공개…기내 서비스도 향상
-
- 입력 2025-03-11 18:00:23
- 수정2025-03-11 18:11:34

대한항공이 1984년 이후 41년 만에 새로운 기업 이미지(CI)를 공개했습니다.
대한항공은 오늘(11일) 서울 강서구 대한항공 본사에서 열린 발표 행사에서 기존 태극마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새로운 CI를 선보였습니다.
새로운 CI의 가장 큰 특징은 태극마크가 하나의 선으로 연결된 형태라는 점이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완전한 통합을 앞두고 새로운 정체성을 정립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보입니다.
대한항공은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태극마크를 유지하면서도, 기존의 적색과 청색을 하나의 색과 선으로 단순화했습니다.
대한항공은 "기존 태극마크에 디자인적 요소를 더해 세련된 이미지를 구현했다"며, "최근 기업 브랜드가 추구하는 모던함 등을 추구하면서도 대한항공 고유의 전통을 계승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대한항공의 CI 변경은 1984년 '고니 마크'에서 '태극 마크'로 바뀐 뒤 41년 만입니다.
당시 대한항공은 변화하는 기업 환경에 대처하고 기업 이미지 높이기 위해 기존의 '고니 마크'에서 대한민국을 상징할 수 있는 '태극 마크'를 도입한 바 있습니다.
CI 공개와 함께 기내식 신메뉴와 향상된 기내 서비스도 발표했습니다.
대한항공은 한남동에 있는 최고급 레스토랑 오너 셰프와 협업해 새로운 기내식 메뉴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상위 클래스의 경우 새로운 스타일의 요리와 디저트를 제공할 계획이며, 일반석 기내식으로 제공되던 한식도 연어 비빔밥, 낙지 제육 덮밥 등으로 다양화합니다.
또 기내 식기와 와인잔, 침구 등도 고급화할 예정입니다.
새롭게 도장된 항공기는 내일(12일) 오전 인천에서 일본 도쿄 나리타로 향하는 KE703편에 처음 투입됩니다.
또 같은 날 신규 기내식과 기내 서비스도 미국 뉴욕, 프랑스 파리, 영국 런던 등 장거리 주요 10개 노선에 우선 적용됩니다.
대한항공은 올해 6월부터 장거리 전 노선, 9월부터는 중·단거리 모든 노선으로 확대 시행할 예정입니다.
한편, 대한항공은 지난해 12월 12일, 아시아나항공의 지분 63.88%를 취득해 인수를 마무리했습니다.
아시아나항공은 대한항공 자회사로 편입돼 약 2년 동안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준비기간을 거쳐 대한항공과 완전히 통합될 예정입니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통합 대한항공은 마음과 마음, 세상과 세상을 하늘길로 연결하겠다는 수송의 더 뜻깊은 가치에 집중할 것이다"라면서 "오랜 시간 동안 축적된 노하우를 하나로 보듬어 새롭고 멋진 항공사로 거듭날 것이다"고 밝혔습니다.
또 통합 대한항공 출범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운임 인상과 서비스 질 하락 우려에 대해 조 회장은 "한 도시를 취항하게 되면 상대국도 취항하는 상호주의 원칙에 따라 취항하고 있다"면서 "독과점이라고 하는 부분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서비스 질이 하락하는) 일은 없을 거다"고 강조했습니다.
조 회장은 또 LCC 통합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조 회장은 "에어부산 분리 매각에 대해서는 생각해 본 적이 없고, 에어부산도 한 가족이라고 생각한다"면서 "부산은 우리나라 제2도시고, 제2공항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앞으로 진에어가 에어부산이 부산에서 했던 역할 이상으로 역할을 할 것으로 계획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마일리지와 관련해서는 "모든 고객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서 통합하고, 합리적으로 하는 게 목표다"면서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대한항공 제공]
대한항공은 오늘(11일) 서울 강서구 대한항공 본사에서 열린 발표 행사에서 기존 태극마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새로운 CI를 선보였습니다.
새로운 CI의 가장 큰 특징은 태극마크가 하나의 선으로 연결된 형태라는 점이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완전한 통합을 앞두고 새로운 정체성을 정립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보입니다.
대한항공은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태극마크를 유지하면서도, 기존의 적색과 청색을 하나의 색과 선으로 단순화했습니다.
대한항공은 "기존 태극마크에 디자인적 요소를 더해 세련된 이미지를 구현했다"며, "최근 기업 브랜드가 추구하는 모던함 등을 추구하면서도 대한항공 고유의 전통을 계승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대한항공의 CI 변경은 1984년 '고니 마크'에서 '태극 마크'로 바뀐 뒤 41년 만입니다.
당시 대한항공은 변화하는 기업 환경에 대처하고 기업 이미지 높이기 위해 기존의 '고니 마크'에서 대한민국을 상징할 수 있는 '태극 마크'를 도입한 바 있습니다.
CI 공개와 함께 기내식 신메뉴와 향상된 기내 서비스도 발표했습니다.
대한항공은 한남동에 있는 최고급 레스토랑 오너 셰프와 협업해 새로운 기내식 메뉴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상위 클래스의 경우 새로운 스타일의 요리와 디저트를 제공할 계획이며, 일반석 기내식으로 제공되던 한식도 연어 비빔밥, 낙지 제육 덮밥 등으로 다양화합니다.
또 기내 식기와 와인잔, 침구 등도 고급화할 예정입니다.
새롭게 도장된 항공기는 내일(12일) 오전 인천에서 일본 도쿄 나리타로 향하는 KE703편에 처음 투입됩니다.
또 같은 날 신규 기내식과 기내 서비스도 미국 뉴욕, 프랑스 파리, 영국 런던 등 장거리 주요 10개 노선에 우선 적용됩니다.
대한항공은 올해 6월부터 장거리 전 노선, 9월부터는 중·단거리 모든 노선으로 확대 시행할 예정입니다.
한편, 대한항공은 지난해 12월 12일, 아시아나항공의 지분 63.88%를 취득해 인수를 마무리했습니다.
아시아나항공은 대한항공 자회사로 편입돼 약 2년 동안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준비기간을 거쳐 대한항공과 완전히 통합될 예정입니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통합 대한항공은 마음과 마음, 세상과 세상을 하늘길로 연결하겠다는 수송의 더 뜻깊은 가치에 집중할 것이다"라면서 "오랜 시간 동안 축적된 노하우를 하나로 보듬어 새롭고 멋진 항공사로 거듭날 것이다"고 밝혔습니다.
또 통합 대한항공 출범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운임 인상과 서비스 질 하락 우려에 대해 조 회장은 "한 도시를 취항하게 되면 상대국도 취항하는 상호주의 원칙에 따라 취항하고 있다"면서 "독과점이라고 하는 부분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서비스 질이 하락하는) 일은 없을 거다"고 강조했습니다.
조 회장은 또 LCC 통합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조 회장은 "에어부산 분리 매각에 대해서는 생각해 본 적이 없고, 에어부산도 한 가족이라고 생각한다"면서 "부산은 우리나라 제2도시고, 제2공항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앞으로 진에어가 에어부산이 부산에서 했던 역할 이상으로 역할을 할 것으로 계획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마일리지와 관련해서는 "모든 고객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서 통합하고, 합리적으로 하는 게 목표다"면서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대한항공 제공]
-
-
윤아림 기자 aha@kbs.co.kr
윤아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다만 이 기사는 일부 댓글에 모욕・명예훼손 등 현행법에 저촉될 우려가 발견돼 건전한 댓글 문화 정착을 위해 댓글 사용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