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강원 행정복합타운 조성…전국 도청 신도시 ‘기대 이하’
입력 2025.03.12 (07:51)
수정 2025.03.12 (09: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춘천 고은리에 추진되는 행정복합타운은 강원도가 가장 공을 들이는 사업입니다.
동시에, 이게 '사업성이 있느냐'는 지역의 가장 뜨거운 감자이기도 한데요.
이에 KBS는 논란에서 한발 더 나아가 사업의 현실성과 미래성을 직접 따져보는 연속 기획을 마련했습니다.
먼저, 강원도의 사업 구상은 뭔지, 현실적인 전망은 어떤지를 이청초, 박상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중앙고속도로 춘천나들목 인근의 땅.
2022년 12월, 강원도는 이 곳을 강원도청 신청사 자리로 낙점했습니다.
이게 다가 아닙니다.
새 도청을 중심으로 이 일대를 '행정복합타운'으로 조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진태/강원도지사/2022년 12월 : "여기(도청 신청사)는 10만㎡인데요. 기왕 하는 김에 100만㎡로 키워서."]
사업 면적을 다 합치면 100만㎡로 축구장 140여 개 크깁니다.
사업비는 9,000억 원이 넘습니다.
먼저, 1단계로는 도청과 도의회를 이전할 계획입니다.
그 다음, 강원도 산하기관 등 공공기관을 옮깁니다.
마지막 3단계로 일대에 상업·업무지구 등으로 나눠 개발합니다.
4,700여 세대가 입주하는 주거단지도 들어옵니다.
강원도는 이 사업이 강원도 인구 200만 명의 발판이 될거라고 밝힙니다.
땅 분양과 공공기관 입주로 최소 600억 원의 수익까지 날 걸로 자신하고 있습니다.
대구에서 안동으로 경북도청을 이전하며 신도시를 만든 사례를 예로 들었습니다.
[김진태/강원도지사/신년 인터뷰 : "경북도청이 300만 평인데 우리 강원도청을 30만 평으로 지금 그 10분의 1로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30만 평 정도의 행정복합타운은 저는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하고요."]
실제로 전국에는 '도청' 이전을 계기로 추진된 도심개발사업이 여럿 있습니다.
이를 통해 행정복합타운의 미래를 엿볼 수 있습니다.
현재 이 사업들은 어디까지 왔고,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박상용 기자가 직접 다녀왔습니다.
경상북도 안동과 예천에 걸쳐 있는 '경북도청 이전 신도시' 2010년, 대구광역시에 있던 경북도청을 옮기면서 사업이 시작됐습니다.
전체 사업비는 2조 1,000억 원.
1단계로 경북교육청 등 공공기관 50곳 이전은 대부분 끝났습니다.
그런데 도심을 조금만 벗어나면 상황은 달라집니다.
빈 땅 곳곳에 잡초만 무성합니다.
다 지은 놓은 상가들도 곳곳이 비어있습니다.
[김나현·최유하/신도시 주민 : "병원이 모자란 게 불편했고 첫째가 유치원 갈 나이인데 지원했을 때도 많이 떨어져서 갈 곳이 없어서 어린이집을 다시 나가게 됐어요."]
공공기관이 들어선 뒤에도 정작, 인구 유입이 기대보다 훨씬 더디기 때문입니다.
경북도청 이전 신도시는 첫 계획 당시 인구 10만 명이 사는 자족도시를 꿈꿨습니다.
하지만 사업 10년이 넘도록 인구는 2만 5천 여 명 수준.
목표치의 4분의 1 정돕니다.
2단계 사업 분양률은 24%.
전체 사업 면적 10.9㎢ 가운데 70%는 여전히 빈 땅입니다.
[현호기/신도시 부동산업체 대표 : "(향후에)공공기관, 산업단지, (고속도로)IC 이런 편의성이 갖춰지지 않으면 자족도시가 되기에는 시간이 좀 많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충남도청 이전과 함께 추진된 내포신도시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충남개발공사와 토지주택공사가 2조 5,000억 원을 투자했습니다.
18년 동안 이어진 공사는 올해 모두 끝납니다.
하지만, 10만 명을 목표로 한 인구는 4만 명 수준.
행정타운과 주거용지를 제외하면 상업 산업시설용지 분양률은 50%대에 그치고 있습니다.
행정기관 이전만으로 인구 유입과 지역 개발 효과를 더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뜻입니다.
[홍형득/강원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원도심의 공동화 부분에 대해서도 주민들의 갈등 해소라든지 인구 유입효과가 전제되지 않으면 상당히 이것이 오랫동안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강원도 행정복합타운 사업이 장미빛 전망에만 의존해서는 안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KBS 뉴스 박상용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최중호
춘천 고은리에 추진되는 행정복합타운은 강원도가 가장 공을 들이는 사업입니다.
동시에, 이게 '사업성이 있느냐'는 지역의 가장 뜨거운 감자이기도 한데요.
이에 KBS는 논란에서 한발 더 나아가 사업의 현실성과 미래성을 직접 따져보는 연속 기획을 마련했습니다.
먼저, 강원도의 사업 구상은 뭔지, 현실적인 전망은 어떤지를 이청초, 박상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중앙고속도로 춘천나들목 인근의 땅.
2022년 12월, 강원도는 이 곳을 강원도청 신청사 자리로 낙점했습니다.
이게 다가 아닙니다.
새 도청을 중심으로 이 일대를 '행정복합타운'으로 조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진태/강원도지사/2022년 12월 : "여기(도청 신청사)는 10만㎡인데요. 기왕 하는 김에 100만㎡로 키워서."]
사업 면적을 다 합치면 100만㎡로 축구장 140여 개 크깁니다.
사업비는 9,000억 원이 넘습니다.
먼저, 1단계로는 도청과 도의회를 이전할 계획입니다.
그 다음, 강원도 산하기관 등 공공기관을 옮깁니다.
마지막 3단계로 일대에 상업·업무지구 등으로 나눠 개발합니다.
4,700여 세대가 입주하는 주거단지도 들어옵니다.
강원도는 이 사업이 강원도 인구 200만 명의 발판이 될거라고 밝힙니다.
땅 분양과 공공기관 입주로 최소 600억 원의 수익까지 날 걸로 자신하고 있습니다.
대구에서 안동으로 경북도청을 이전하며 신도시를 만든 사례를 예로 들었습니다.
[김진태/강원도지사/신년 인터뷰 : "경북도청이 300만 평인데 우리 강원도청을 30만 평으로 지금 그 10분의 1로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30만 평 정도의 행정복합타운은 저는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하고요."]
실제로 전국에는 '도청' 이전을 계기로 추진된 도심개발사업이 여럿 있습니다.
이를 통해 행정복합타운의 미래를 엿볼 수 있습니다.
현재 이 사업들은 어디까지 왔고,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박상용 기자가 직접 다녀왔습니다.
경상북도 안동과 예천에 걸쳐 있는 '경북도청 이전 신도시' 2010년, 대구광역시에 있던 경북도청을 옮기면서 사업이 시작됐습니다.
전체 사업비는 2조 1,000억 원.
1단계로 경북교육청 등 공공기관 50곳 이전은 대부분 끝났습니다.
그런데 도심을 조금만 벗어나면 상황은 달라집니다.
빈 땅 곳곳에 잡초만 무성합니다.
다 지은 놓은 상가들도 곳곳이 비어있습니다.
[김나현·최유하/신도시 주민 : "병원이 모자란 게 불편했고 첫째가 유치원 갈 나이인데 지원했을 때도 많이 떨어져서 갈 곳이 없어서 어린이집을 다시 나가게 됐어요."]
공공기관이 들어선 뒤에도 정작, 인구 유입이 기대보다 훨씬 더디기 때문입니다.
경북도청 이전 신도시는 첫 계획 당시 인구 10만 명이 사는 자족도시를 꿈꿨습니다.
하지만 사업 10년이 넘도록 인구는 2만 5천 여 명 수준.
목표치의 4분의 1 정돕니다.
2단계 사업 분양률은 24%.
전체 사업 면적 10.9㎢ 가운데 70%는 여전히 빈 땅입니다.
[현호기/신도시 부동산업체 대표 : "(향후에)공공기관, 산업단지, (고속도로)IC 이런 편의성이 갖춰지지 않으면 자족도시가 되기에는 시간이 좀 많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충남도청 이전과 함께 추진된 내포신도시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충남개발공사와 토지주택공사가 2조 5,000억 원을 투자했습니다.
18년 동안 이어진 공사는 올해 모두 끝납니다.
하지만, 10만 명을 목표로 한 인구는 4만 명 수준.
행정타운과 주거용지를 제외하면 상업 산업시설용지 분양률은 50%대에 그치고 있습니다.
행정기관 이전만으로 인구 유입과 지역 개발 효과를 더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뜻입니다.
[홍형득/강원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원도심의 공동화 부분에 대해서도 주민들의 갈등 해소라든지 인구 유입효과가 전제되지 않으면 상당히 이것이 오랫동안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강원도 행정복합타운 사업이 장미빛 전망에만 의존해서는 안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KBS 뉴스 박상용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최중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 강원 행정복합타운 조성…전국 도청 신도시 ‘기대 이하’
-
- 입력 2025-03-12 07:51:11
- 수정2025-03-12 09:34:11

[앵커]
춘천 고은리에 추진되는 행정복합타운은 강원도가 가장 공을 들이는 사업입니다.
동시에, 이게 '사업성이 있느냐'는 지역의 가장 뜨거운 감자이기도 한데요.
이에 KBS는 논란에서 한발 더 나아가 사업의 현실성과 미래성을 직접 따져보는 연속 기획을 마련했습니다.
먼저, 강원도의 사업 구상은 뭔지, 현실적인 전망은 어떤지를 이청초, 박상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중앙고속도로 춘천나들목 인근의 땅.
2022년 12월, 강원도는 이 곳을 강원도청 신청사 자리로 낙점했습니다.
이게 다가 아닙니다.
새 도청을 중심으로 이 일대를 '행정복합타운'으로 조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진태/강원도지사/2022년 12월 : "여기(도청 신청사)는 10만㎡인데요. 기왕 하는 김에 100만㎡로 키워서."]
사업 면적을 다 합치면 100만㎡로 축구장 140여 개 크깁니다.
사업비는 9,000억 원이 넘습니다.
먼저, 1단계로는 도청과 도의회를 이전할 계획입니다.
그 다음, 강원도 산하기관 등 공공기관을 옮깁니다.
마지막 3단계로 일대에 상업·업무지구 등으로 나눠 개발합니다.
4,700여 세대가 입주하는 주거단지도 들어옵니다.
강원도는 이 사업이 강원도 인구 200만 명의 발판이 될거라고 밝힙니다.
땅 분양과 공공기관 입주로 최소 600억 원의 수익까지 날 걸로 자신하고 있습니다.
대구에서 안동으로 경북도청을 이전하며 신도시를 만든 사례를 예로 들었습니다.
[김진태/강원도지사/신년 인터뷰 : "경북도청이 300만 평인데 우리 강원도청을 30만 평으로 지금 그 10분의 1로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30만 평 정도의 행정복합타운은 저는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하고요."]
실제로 전국에는 '도청' 이전을 계기로 추진된 도심개발사업이 여럿 있습니다.
이를 통해 행정복합타운의 미래를 엿볼 수 있습니다.
현재 이 사업들은 어디까지 왔고,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박상용 기자가 직접 다녀왔습니다.
경상북도 안동과 예천에 걸쳐 있는 '경북도청 이전 신도시' 2010년, 대구광역시에 있던 경북도청을 옮기면서 사업이 시작됐습니다.
전체 사업비는 2조 1,000억 원.
1단계로 경북교육청 등 공공기관 50곳 이전은 대부분 끝났습니다.
그런데 도심을 조금만 벗어나면 상황은 달라집니다.
빈 땅 곳곳에 잡초만 무성합니다.
다 지은 놓은 상가들도 곳곳이 비어있습니다.
[김나현·최유하/신도시 주민 : "병원이 모자란 게 불편했고 첫째가 유치원 갈 나이인데 지원했을 때도 많이 떨어져서 갈 곳이 없어서 어린이집을 다시 나가게 됐어요."]
공공기관이 들어선 뒤에도 정작, 인구 유입이 기대보다 훨씬 더디기 때문입니다.
경북도청 이전 신도시는 첫 계획 당시 인구 10만 명이 사는 자족도시를 꿈꿨습니다.
하지만 사업 10년이 넘도록 인구는 2만 5천 여 명 수준.
목표치의 4분의 1 정돕니다.
2단계 사업 분양률은 24%.
전체 사업 면적 10.9㎢ 가운데 70%는 여전히 빈 땅입니다.
[현호기/신도시 부동산업체 대표 : "(향후에)공공기관, 산업단지, (고속도로)IC 이런 편의성이 갖춰지지 않으면 자족도시가 되기에는 시간이 좀 많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충남도청 이전과 함께 추진된 내포신도시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충남개발공사와 토지주택공사가 2조 5,000억 원을 투자했습니다.
18년 동안 이어진 공사는 올해 모두 끝납니다.
하지만, 10만 명을 목표로 한 인구는 4만 명 수준.
행정타운과 주거용지를 제외하면 상업 산업시설용지 분양률은 50%대에 그치고 있습니다.
행정기관 이전만으로 인구 유입과 지역 개발 효과를 더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뜻입니다.
[홍형득/강원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원도심의 공동화 부분에 대해서도 주민들의 갈등 해소라든지 인구 유입효과가 전제되지 않으면 상당히 이것이 오랫동안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강원도 행정복합타운 사업이 장미빛 전망에만 의존해서는 안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KBS 뉴스 박상용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최중호
춘천 고은리에 추진되는 행정복합타운은 강원도가 가장 공을 들이는 사업입니다.
동시에, 이게 '사업성이 있느냐'는 지역의 가장 뜨거운 감자이기도 한데요.
이에 KBS는 논란에서 한발 더 나아가 사업의 현실성과 미래성을 직접 따져보는 연속 기획을 마련했습니다.
먼저, 강원도의 사업 구상은 뭔지, 현실적인 전망은 어떤지를 이청초, 박상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중앙고속도로 춘천나들목 인근의 땅.
2022년 12월, 강원도는 이 곳을 강원도청 신청사 자리로 낙점했습니다.
이게 다가 아닙니다.
새 도청을 중심으로 이 일대를 '행정복합타운'으로 조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진태/강원도지사/2022년 12월 : "여기(도청 신청사)는 10만㎡인데요. 기왕 하는 김에 100만㎡로 키워서."]
사업 면적을 다 합치면 100만㎡로 축구장 140여 개 크깁니다.
사업비는 9,000억 원이 넘습니다.
먼저, 1단계로는 도청과 도의회를 이전할 계획입니다.
그 다음, 강원도 산하기관 등 공공기관을 옮깁니다.
마지막 3단계로 일대에 상업·업무지구 등으로 나눠 개발합니다.
4,700여 세대가 입주하는 주거단지도 들어옵니다.
강원도는 이 사업이 강원도 인구 200만 명의 발판이 될거라고 밝힙니다.
땅 분양과 공공기관 입주로 최소 600억 원의 수익까지 날 걸로 자신하고 있습니다.
대구에서 안동으로 경북도청을 이전하며 신도시를 만든 사례를 예로 들었습니다.
[김진태/강원도지사/신년 인터뷰 : "경북도청이 300만 평인데 우리 강원도청을 30만 평으로 지금 그 10분의 1로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30만 평 정도의 행정복합타운은 저는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하고요."]
실제로 전국에는 '도청' 이전을 계기로 추진된 도심개발사업이 여럿 있습니다.
이를 통해 행정복합타운의 미래를 엿볼 수 있습니다.
현재 이 사업들은 어디까지 왔고,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박상용 기자가 직접 다녀왔습니다.
경상북도 안동과 예천에 걸쳐 있는 '경북도청 이전 신도시' 2010년, 대구광역시에 있던 경북도청을 옮기면서 사업이 시작됐습니다.
전체 사업비는 2조 1,000억 원.
1단계로 경북교육청 등 공공기관 50곳 이전은 대부분 끝났습니다.
그런데 도심을 조금만 벗어나면 상황은 달라집니다.
빈 땅 곳곳에 잡초만 무성합니다.
다 지은 놓은 상가들도 곳곳이 비어있습니다.
[김나현·최유하/신도시 주민 : "병원이 모자란 게 불편했고 첫째가 유치원 갈 나이인데 지원했을 때도 많이 떨어져서 갈 곳이 없어서 어린이집을 다시 나가게 됐어요."]
공공기관이 들어선 뒤에도 정작, 인구 유입이 기대보다 훨씬 더디기 때문입니다.
경북도청 이전 신도시는 첫 계획 당시 인구 10만 명이 사는 자족도시를 꿈꿨습니다.
하지만 사업 10년이 넘도록 인구는 2만 5천 여 명 수준.
목표치의 4분의 1 정돕니다.
2단계 사업 분양률은 24%.
전체 사업 면적 10.9㎢ 가운데 70%는 여전히 빈 땅입니다.
[현호기/신도시 부동산업체 대표 : "(향후에)공공기관, 산업단지, (고속도로)IC 이런 편의성이 갖춰지지 않으면 자족도시가 되기에는 시간이 좀 많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충남도청 이전과 함께 추진된 내포신도시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충남개발공사와 토지주택공사가 2조 5,000억 원을 투자했습니다.
18년 동안 이어진 공사는 올해 모두 끝납니다.
하지만, 10만 명을 목표로 한 인구는 4만 명 수준.
행정타운과 주거용지를 제외하면 상업 산업시설용지 분양률은 50%대에 그치고 있습니다.
행정기관 이전만으로 인구 유입과 지역 개발 효과를 더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뜻입니다.
[홍형득/강원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원도심의 공동화 부분에 대해서도 주민들의 갈등 해소라든지 인구 유입효과가 전제되지 않으면 상당히 이것이 오랫동안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강원도 행정복합타운 사업이 장미빛 전망에만 의존해서는 안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KBS 뉴스 박상용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최중호
-
-
이청초 기자 chocho@kbs.co.kr
이청초 기자의 기사 모음 -
박상용 기자 miso@kbs.co.kr
박상용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