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담] 제주, 노키즈존 전국 2위…“사업주 부담 덜어줘야”

입력 2025.03.13 (19:16) 수정 2025.03.13 (20: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음식점이나 카페에서 아동의 출입을 제한하는 노키즈존, 전국에서 제주가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관광의 섬에서 출입 제한을 두는 건 맞지 않다는 의견과 함께,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업소가 많아 오히려 이해한다는 목소리도 있는데요.

도내 노키즈존 실태에 대해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손태주 선임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안녕하세요.

먼저, 이번 연구를 진행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요?

[앵커]

관광이 핵심 산업인 제주가 다른 지역보다 노키즈존 업소 비율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고요?

[앵커]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수치인데, 도내 사업주들이 노키즈존을 도입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앵커]

사업주의 개인적 배경 역시 노키즈존 설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고요?

[앵커]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노키즈존을 운영하지만, 아동 출입을 허용한 경험이 있는 사업주들이 절반 이상을 차지합니다.

이건 어떻게 된 상황이죠?

[앵커]

노키즈존이 늘어난다는 건 아동과 보호자를 위한 공간이 점차 줄어든다는 거죠.

노키즈존 운영자들이 이런 상황을 바라지는 않을 텐데, 그렇다면 어떤 지원이 있었으면 하는지도 조사하셨죠?

[앵커]

포용적 공간 운영이 이상적일 텐데요.

특히 관광 되살리기에 나선 제주 입장으로선 중요한 사안이라고도 볼 수 있고요.

이를 위해 어떤 제도적 대안을 제안하실 수 있을까요?

[앵커]

실제 제안하신 대안들이 실현되는 사례가 있을까요?

구체적인 실천 방안이라도요?

[앵커]

제주도에선 2년 전 '제주도 아동 출입제한 업소 확산 방지와 인식개선을 위한 조례'를 제정했죠.

어떤 노력과 실천이 이어져야 할까요?

[앵커]

끝으로 전하고 싶은 말씀 있다면요?

[앵커]

네, 함께 살아가는 사회 속에서 중요한 건 책임 있는 행동과 서로 존중하는 예의죠.

이를 위한 배려가 커졌으면 합니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담] 제주, 노키즈존 전국 2위…“사업주 부담 덜어줘야”
    • 입력 2025-03-13 19:16:56
    • 수정2025-03-13 20:14:24
    뉴스7(제주)
[앵커]

음식점이나 카페에서 아동의 출입을 제한하는 노키즈존, 전국에서 제주가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관광의 섬에서 출입 제한을 두는 건 맞지 않다는 의견과 함께,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업소가 많아 오히려 이해한다는 목소리도 있는데요.

도내 노키즈존 실태에 대해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손태주 선임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안녕하세요.

먼저, 이번 연구를 진행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요?

[앵커]

관광이 핵심 산업인 제주가 다른 지역보다 노키즈존 업소 비율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고요?

[앵커]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수치인데, 도내 사업주들이 노키즈존을 도입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앵커]

사업주의 개인적 배경 역시 노키즈존 설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고요?

[앵커]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노키즈존을 운영하지만, 아동 출입을 허용한 경험이 있는 사업주들이 절반 이상을 차지합니다.

이건 어떻게 된 상황이죠?

[앵커]

노키즈존이 늘어난다는 건 아동과 보호자를 위한 공간이 점차 줄어든다는 거죠.

노키즈존 운영자들이 이런 상황을 바라지는 않을 텐데, 그렇다면 어떤 지원이 있었으면 하는지도 조사하셨죠?

[앵커]

포용적 공간 운영이 이상적일 텐데요.

특히 관광 되살리기에 나선 제주 입장으로선 중요한 사안이라고도 볼 수 있고요.

이를 위해 어떤 제도적 대안을 제안하실 수 있을까요?

[앵커]

실제 제안하신 대안들이 실현되는 사례가 있을까요?

구체적인 실천 방안이라도요?

[앵커]

제주도에선 2년 전 '제주도 아동 출입제한 업소 확산 방지와 인식개선을 위한 조례'를 제정했죠.

어떤 노력과 실천이 이어져야 할까요?

[앵커]

끝으로 전하고 싶은 말씀 있다면요?

[앵커]

네, 함께 살아가는 사회 속에서 중요한 건 책임 있는 행동과 서로 존중하는 예의죠.

이를 위한 배려가 커졌으면 합니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제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