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사교육비 ‘전국 4번째’…교육청 대책 ‘효과’ 있을까?
입력 2025.03.16 (21:41)
수정 2025.03.16 (21: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 초·중·고등학생 사교육비가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대구는 전국에서 4번째로 높았는데요.
잦은 교육 정책 변화에다 공교육에 대한 신뢰가 약해지면서 학부모들이 사교육에 의존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박준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구 수성구 학원가.
일요일에도 학원마다 문전성시를 이룹니다.
[정서진/고등학교 2학년 : "미술학원이랑 국어학원, 영어학원 다니고 있습니다. (다른 학생들도) 국어학원, 영어학원, 수학학원 해서 더 많이 다니면 4~5개도 다니는 거 같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초·중·고생 사교육비는 29조 2천억 원으로 역대 가장 많았습니다.
일년 전과 비교해 초등학생 6.5%, 중등 9.5%, 고등학생은 7.9%나 올랐습니다.
의대정원 확대와 고교 내신 5등급 전환 등 입시 변화와 수능 킬러문항 배제에 따른 변별력 등이 불안을 키웠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주호/교육부장관 : "사교육비 조사 결과는 국민들의 기대와 눈높이에 부응하지 못했습니다."]
특히, 대구지역 전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47만 8천 원으로, 서울·경기·부산 다음으로 많았습니다.
사교육 참여율은 81.8%로 전국 4위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대구시 교육청은 사교육비 경감을 위해 늘봄학교 확대와 AI교과서 도입, 학원비 안정화 등의 종합대책을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현장에선 효과가 있을 지 의문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강은아/대구시 범어동 : "늘봄(학교)은 예체능 위주로 하고 있고요. 근데 늘봄(학교)에서 영어랑 수학을 하기에는 학생이 다들 레벨이 다르잖아요."]
학생 수는 갈수록 줄어드는데, 늘어나는 사교육비는 학부모 부담은 불론, 아이낳기를 꺼려하는 저출생의 한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준우입니다.
촬영기자:백재민/그래픽:김현정
지난해 초·중·고등학생 사교육비가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대구는 전국에서 4번째로 높았는데요.
잦은 교육 정책 변화에다 공교육에 대한 신뢰가 약해지면서 학부모들이 사교육에 의존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박준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구 수성구 학원가.
일요일에도 학원마다 문전성시를 이룹니다.
[정서진/고등학교 2학년 : "미술학원이랑 국어학원, 영어학원 다니고 있습니다. (다른 학생들도) 국어학원, 영어학원, 수학학원 해서 더 많이 다니면 4~5개도 다니는 거 같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초·중·고생 사교육비는 29조 2천억 원으로 역대 가장 많았습니다.
일년 전과 비교해 초등학생 6.5%, 중등 9.5%, 고등학생은 7.9%나 올랐습니다.
의대정원 확대와 고교 내신 5등급 전환 등 입시 변화와 수능 킬러문항 배제에 따른 변별력 등이 불안을 키웠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주호/교육부장관 : "사교육비 조사 결과는 국민들의 기대와 눈높이에 부응하지 못했습니다."]
특히, 대구지역 전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47만 8천 원으로, 서울·경기·부산 다음으로 많았습니다.
사교육 참여율은 81.8%로 전국 4위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대구시 교육청은 사교육비 경감을 위해 늘봄학교 확대와 AI교과서 도입, 학원비 안정화 등의 종합대책을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현장에선 효과가 있을 지 의문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강은아/대구시 범어동 : "늘봄(학교)은 예체능 위주로 하고 있고요. 근데 늘봄(학교)에서 영어랑 수학을 하기에는 학생이 다들 레벨이 다르잖아요."]
학생 수는 갈수록 줄어드는데, 늘어나는 사교육비는 학부모 부담은 불론, 아이낳기를 꺼려하는 저출생의 한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준우입니다.
촬영기자:백재민/그래픽:김현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구 사교육비 ‘전국 4번째’…교육청 대책 ‘효과’ 있을까?
-
- 입력 2025-03-16 21:41:10
- 수정2025-03-16 21:53:13

[앵커]
지난해 초·중·고등학생 사교육비가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대구는 전국에서 4번째로 높았는데요.
잦은 교육 정책 변화에다 공교육에 대한 신뢰가 약해지면서 학부모들이 사교육에 의존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박준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구 수성구 학원가.
일요일에도 학원마다 문전성시를 이룹니다.
[정서진/고등학교 2학년 : "미술학원이랑 국어학원, 영어학원 다니고 있습니다. (다른 학생들도) 국어학원, 영어학원, 수학학원 해서 더 많이 다니면 4~5개도 다니는 거 같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초·중·고생 사교육비는 29조 2천억 원으로 역대 가장 많았습니다.
일년 전과 비교해 초등학생 6.5%, 중등 9.5%, 고등학생은 7.9%나 올랐습니다.
의대정원 확대와 고교 내신 5등급 전환 등 입시 변화와 수능 킬러문항 배제에 따른 변별력 등이 불안을 키웠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주호/교육부장관 : "사교육비 조사 결과는 국민들의 기대와 눈높이에 부응하지 못했습니다."]
특히, 대구지역 전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47만 8천 원으로, 서울·경기·부산 다음으로 많았습니다.
사교육 참여율은 81.8%로 전국 4위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대구시 교육청은 사교육비 경감을 위해 늘봄학교 확대와 AI교과서 도입, 학원비 안정화 등의 종합대책을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현장에선 효과가 있을 지 의문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강은아/대구시 범어동 : "늘봄(학교)은 예체능 위주로 하고 있고요. 근데 늘봄(학교)에서 영어랑 수학을 하기에는 학생이 다들 레벨이 다르잖아요."]
학생 수는 갈수록 줄어드는데, 늘어나는 사교육비는 학부모 부담은 불론, 아이낳기를 꺼려하는 저출생의 한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준우입니다.
촬영기자:백재민/그래픽:김현정
지난해 초·중·고등학생 사교육비가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대구는 전국에서 4번째로 높았는데요.
잦은 교육 정책 변화에다 공교육에 대한 신뢰가 약해지면서 학부모들이 사교육에 의존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박준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구 수성구 학원가.
일요일에도 학원마다 문전성시를 이룹니다.
[정서진/고등학교 2학년 : "미술학원이랑 국어학원, 영어학원 다니고 있습니다. (다른 학생들도) 국어학원, 영어학원, 수학학원 해서 더 많이 다니면 4~5개도 다니는 거 같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초·중·고생 사교육비는 29조 2천억 원으로 역대 가장 많았습니다.
일년 전과 비교해 초등학생 6.5%, 중등 9.5%, 고등학생은 7.9%나 올랐습니다.
의대정원 확대와 고교 내신 5등급 전환 등 입시 변화와 수능 킬러문항 배제에 따른 변별력 등이 불안을 키웠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주호/교육부장관 : "사교육비 조사 결과는 국민들의 기대와 눈높이에 부응하지 못했습니다."]
특히, 대구지역 전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47만 8천 원으로, 서울·경기·부산 다음으로 많았습니다.
사교육 참여율은 81.8%로 전국 4위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대구시 교육청은 사교육비 경감을 위해 늘봄학교 확대와 AI교과서 도입, 학원비 안정화 등의 종합대책을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현장에선 효과가 있을 지 의문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강은아/대구시 범어동 : "늘봄(학교)은 예체능 위주로 하고 있고요. 근데 늘봄(학교)에서 영어랑 수학을 하기에는 학생이 다들 레벨이 다르잖아요."]
학생 수는 갈수록 줄어드는데, 늘어나는 사교육비는 학부모 부담은 불론, 아이낳기를 꺼려하는 저출생의 한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준우입니다.
촬영기자:백재민/그래픽:김현정
-
-
박준우 기자 joonwoo@kbs.co.kr
박준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