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항공유’ 시장 선점한다…투자 확대

입력 2025.03.18 (09:48) 수정 2025.03.18 (10: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유럽을 중심으로 탄소 배출을 줄이는 '친환경 항공유' 사용을 의무화하며, 지역의 정유업계도 시장 선점에 나섰습니다.

투자를 늘려 생산 라인을 구축하는 등 대응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보도에 박중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일본으로 가는 우리 국적기에 '친환경 항공유'를 급유합니다.

에쓰오일이 만든 지속가능항공유로, 국내 정유업계 처음으로 정기 노선 여객기에 공급한 겁니다.

SK에너지는 홍콩 국적항공사와 계약을 맺고 2027년까지 2만 톤 이상의 지속가능항공유를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폐식용유나 식물성 원료로 만드는 지속가능항공유는 탄소배출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습니다.

유럽연합은 내년부터 항공기에 급유하는 연료의 2%를 지속가능항공유로 쓰도록 했고, 2050년에는 비율을 70%까지 높입니다.

미국은 2050년에 항공유의 100%를 지속가능항공유로 대체할 계획입니다.

이 같은 추세에 맞춰 울산의 정유사들도 지속가능항공유에 투자를 확대합니다.

에쓰오일은 약 1조 원을 들여 연간 50만 톤의 생산 능력을 확보할 계획이고, 연간 10만 톤의 지속가능항공유를 생산하는 SK에너지도 전용 설비 구축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안호성/SK에너지 항공유팀장 : "국내외 SAF(지속가능항공유) 정책 변화와 수여 변동 등 시장 상황을 면밀히 관찰하면서 다양한 전략적 파트너들과 협력함으로써 안정적인 글로벌 SAF 공급망을 구축해 갈 것입니다."]

복잡한 공정 등으로 기존 항공유보다 평균 3배가량 비싼 지속가능항공유를 대량 생산하려면 정부 지원도 필요합니다.

[조상범/대한석유협회 대외협력실장 : "우리보다 더 앞서 있는 미국과 일본에서는 생산 세액공제로 SAF(지속가능항공유) 가격에 생산비 인센티브를 주고 있는 것처럼 우리나라도 그에 준하는 수준의 인센티브 부여가 필요합니다."]

국제 시장 조사기관은 지난해 17억 달러였던 전 세계 지속가능항공유 시장 규모가 2034년엔 746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KBS 뉴스 박중관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친환경 항공유’ 시장 선점한다…투자 확대
    • 입력 2025-03-18 09:48:28
    • 수정2025-03-18 10:23:46
    930뉴스(울산)
[앵커]

유럽을 중심으로 탄소 배출을 줄이는 '친환경 항공유' 사용을 의무화하며, 지역의 정유업계도 시장 선점에 나섰습니다.

투자를 늘려 생산 라인을 구축하는 등 대응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보도에 박중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일본으로 가는 우리 국적기에 '친환경 항공유'를 급유합니다.

에쓰오일이 만든 지속가능항공유로, 국내 정유업계 처음으로 정기 노선 여객기에 공급한 겁니다.

SK에너지는 홍콩 국적항공사와 계약을 맺고 2027년까지 2만 톤 이상의 지속가능항공유를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폐식용유나 식물성 원료로 만드는 지속가능항공유는 탄소배출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습니다.

유럽연합은 내년부터 항공기에 급유하는 연료의 2%를 지속가능항공유로 쓰도록 했고, 2050년에는 비율을 70%까지 높입니다.

미국은 2050년에 항공유의 100%를 지속가능항공유로 대체할 계획입니다.

이 같은 추세에 맞춰 울산의 정유사들도 지속가능항공유에 투자를 확대합니다.

에쓰오일은 약 1조 원을 들여 연간 50만 톤의 생산 능력을 확보할 계획이고, 연간 10만 톤의 지속가능항공유를 생산하는 SK에너지도 전용 설비 구축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안호성/SK에너지 항공유팀장 : "국내외 SAF(지속가능항공유) 정책 변화와 수여 변동 등 시장 상황을 면밀히 관찰하면서 다양한 전략적 파트너들과 협력함으로써 안정적인 글로벌 SAF 공급망을 구축해 갈 것입니다."]

복잡한 공정 등으로 기존 항공유보다 평균 3배가량 비싼 지속가능항공유를 대량 생산하려면 정부 지원도 필요합니다.

[조상범/대한석유협회 대외협력실장 : "우리보다 더 앞서 있는 미국과 일본에서는 생산 세액공제로 SAF(지속가능항공유) 가격에 생산비 인센티브를 주고 있는 것처럼 우리나라도 그에 준하는 수준의 인센티브 부여가 필요합니다."]

국제 시장 조사기관은 지난해 17억 달러였던 전 세계 지속가능항공유 시장 규모가 2034년엔 746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KBS 뉴스 박중관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울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