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산불경보 ‘심각’…입산객 ‘실화’ 비상

입력 2025.03.24 (19:22) 수정 2025.03.25 (16: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주말 사이 부산 인근에 대형 산불이 잇따랐습니다.

부산시도 산불경보 '심각' 단계, 비상이 걸렸습니다.

봄철, 바짝 메마른 산에 강한 바람이 더해지면, 불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기 때문에 특히 입산객 불씨 관리에 총력 대응 중입니다.

전형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남 산청과 김해, 울산 울주군 산불까지.

임야 2천 헥타르, 축구장 2천8백 개 규모를 태웠는데, 산불 대응 2~3단계, 아직도 불을 끄지 못하고 있습니다.

산불 위험이 커지자 부산에도 산불 경보수준 '심각' 단계가 발령 중입니다.

울주군 산불 발화지점에서 약 22km 떨어진 기장군 구곡산.

산불 진화대원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등산객들에게 일일이 물어, 화기 소지 여부를 확인합니다.

또 쓰레기를 절대로 태우지 말기를 당부합니다.

["지금 가지고 계시는 라이터나 인화물질 같은 그런 거 없죠?"]

부산시와 지자체들도 지침에 따라, 관련 부서의 1/4 이상, 조를 짜서, 산불 순찰을 강화하도록 지시했습니다.

[하유봉/기장군청 산불진화대 : "산 인접 지역에서는 바람이 불었다 하면 바로 옮겨붙어 버리거든요? 그런 문제에 대해 저희가 제일 신경 쓰고…."]

지난 10년간 부산 산불을 살펴보면, 무려 65%가 봄철에 집중됐습니다.

봄철 피해 면적은 전체의 96%에 달했습니다.

이처럼 야산에는 겨울 동안 마른 낙엽과 가지가 산재해 있어 작은 불씨도 대형 산불로 번질 가능성이 큽니다.

산불 발생 원인을 보면 실화가 41%, 담뱃불이 15%, 소각이 12% 등 순이었습니다.

[권춘근/산림과학원 박사 : "사람의 활동이 많아지는 시기입니다. 입산객의 흡연, 취사 활동, 그리고 쓰레기 소각. 여기에 강풍이 불기 때문에 확산 위험…."]

부산시는 오는 5월 15일까지를 '산불조심기간'으로 정해 산불 예방에 총력을 쏟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전형서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그래픽:김명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산 산불경보 ‘심각’…입산객 ‘실화’ 비상
    • 입력 2025-03-24 19:22:03
    • 수정2025-03-25 16:26:30
    뉴스7(부산)
[앵커]

주말 사이 부산 인근에 대형 산불이 잇따랐습니다.

부산시도 산불경보 '심각' 단계, 비상이 걸렸습니다.

봄철, 바짝 메마른 산에 강한 바람이 더해지면, 불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기 때문에 특히 입산객 불씨 관리에 총력 대응 중입니다.

전형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남 산청과 김해, 울산 울주군 산불까지.

임야 2천 헥타르, 축구장 2천8백 개 규모를 태웠는데, 산불 대응 2~3단계, 아직도 불을 끄지 못하고 있습니다.

산불 위험이 커지자 부산에도 산불 경보수준 '심각' 단계가 발령 중입니다.

울주군 산불 발화지점에서 약 22km 떨어진 기장군 구곡산.

산불 진화대원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등산객들에게 일일이 물어, 화기 소지 여부를 확인합니다.

또 쓰레기를 절대로 태우지 말기를 당부합니다.

["지금 가지고 계시는 라이터나 인화물질 같은 그런 거 없죠?"]

부산시와 지자체들도 지침에 따라, 관련 부서의 1/4 이상, 조를 짜서, 산불 순찰을 강화하도록 지시했습니다.

[하유봉/기장군청 산불진화대 : "산 인접 지역에서는 바람이 불었다 하면 바로 옮겨붙어 버리거든요? 그런 문제에 대해 저희가 제일 신경 쓰고…."]

지난 10년간 부산 산불을 살펴보면, 무려 65%가 봄철에 집중됐습니다.

봄철 피해 면적은 전체의 96%에 달했습니다.

이처럼 야산에는 겨울 동안 마른 낙엽과 가지가 산재해 있어 작은 불씨도 대형 산불로 번질 가능성이 큽니다.

산불 발생 원인을 보면 실화가 41%, 담뱃불이 15%, 소각이 12% 등 순이었습니다.

[권춘근/산림과학원 박사 : "사람의 활동이 많아지는 시기입니다. 입산객의 흡연, 취사 활동, 그리고 쓰레기 소각. 여기에 강풍이 불기 때문에 확산 위험…."]

부산시는 오는 5월 15일까지를 '산불조심기간'으로 정해 산불 예방에 총력을 쏟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전형서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그래픽:김명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