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호’ 에스컬레이터…완제품 출시

입력 2025.03.24 (22:02) 수정 2025.03.24 (22: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나라 에스컬레이터 업계는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중국과 가격 경쟁에 밀려 10여 년 전부터 국내 생산을 중단했는데요.

중국산이 국내 시장을 장악한 가운데, 거창에서 16년 만에 국산 에스컬레이터가 다시 만들어졌습니다.

보도에 손원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에스컬레이터를 만드는 거창의 한 공장.

5.3m 길이 한 층을 연결하는 에스컬레이터 완제품이 출고를 앞두고 있습니다.

대구 서문시장에 설치될 국내 생산 1호 인증 모델입니다.

'K-에스컬레이터'사가 법인설립 1년 만에 모델 인증과 납품에 이른 것입니다.

중국 업체와 가격 경쟁에서 밀려 국내 생산을 중단한 지 16년 만에 국산 제품이 만들어진 겁니다.

국내 에스컬레이터를 중국산이 장악하다 보니, 연평균 30건의 에스컬레이터 사고에다 부품 수급도 원활하지 않아 유지·보수에도 어려움이 뒤따랐습니다.

[이준섭/K-에스컬레이터 대표 : "기술력이나 부품 조달이나 이런 부분에서 상당히 빠른 시간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지금 중국산 부품으로 인해 한 달, 두 달 (에스컬레이터가) 서 있는 이런 경우는 없을 것으로…."]

구동기와 제어반, 구동체인 등 주요 핵심 부품을 국내에서 생산합니다.

3년 이내 에스컬레이터 부품 50% 이상을 국산화한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중국산보다 20% 정도 비싸지만, 기술 안전성과 유지보수 등의 장점으로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는 판단입니다.

이번 첫 출고가 흩어진 국내 부품 업체들을 거창에 집적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구인모/거창군수 : "거창 베스트밸리에 있는 많은 (승강기 관련) 기업들이 있습니다. 이런 기업들과 연계를 해서 우리 지역 경제가 활성화되기를 바라고…."]

국내 에스컬레이터 신규 수요는 한해 천7백 대 정도.

여기다 국내 설치된 4만 천 대 가운데 수선이나 교체가 필요한 20년 지난 에스컬레이터도 8천 대입니다.

국내 시장 안착을 통해 세계 에스컬레이터 시장 진출을 목표로, 우리나라 에스컬레이터 산업이 재도약의 출발점에 섰습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내 1호’ 에스컬레이터…완제품 출시
    • 입력 2025-03-24 22:02:52
    • 수정2025-03-24 22:10:27
    뉴스9(창원)
[앵커]

우리나라 에스컬레이터 업계는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중국과 가격 경쟁에 밀려 10여 년 전부터 국내 생산을 중단했는데요.

중국산이 국내 시장을 장악한 가운데, 거창에서 16년 만에 국산 에스컬레이터가 다시 만들어졌습니다.

보도에 손원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에스컬레이터를 만드는 거창의 한 공장.

5.3m 길이 한 층을 연결하는 에스컬레이터 완제품이 출고를 앞두고 있습니다.

대구 서문시장에 설치될 국내 생산 1호 인증 모델입니다.

'K-에스컬레이터'사가 법인설립 1년 만에 모델 인증과 납품에 이른 것입니다.

중국 업체와 가격 경쟁에서 밀려 국내 생산을 중단한 지 16년 만에 국산 제품이 만들어진 겁니다.

국내 에스컬레이터를 중국산이 장악하다 보니, 연평균 30건의 에스컬레이터 사고에다 부품 수급도 원활하지 않아 유지·보수에도 어려움이 뒤따랐습니다.

[이준섭/K-에스컬레이터 대표 : "기술력이나 부품 조달이나 이런 부분에서 상당히 빠른 시간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지금 중국산 부품으로 인해 한 달, 두 달 (에스컬레이터가) 서 있는 이런 경우는 없을 것으로…."]

구동기와 제어반, 구동체인 등 주요 핵심 부품을 국내에서 생산합니다.

3년 이내 에스컬레이터 부품 50% 이상을 국산화한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중국산보다 20% 정도 비싸지만, 기술 안전성과 유지보수 등의 장점으로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는 판단입니다.

이번 첫 출고가 흩어진 국내 부품 업체들을 거창에 집적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구인모/거창군수 : "거창 베스트밸리에 있는 많은 (승강기 관련) 기업들이 있습니다. 이런 기업들과 연계를 해서 우리 지역 경제가 활성화되기를 바라고…."]

국내 에스컬레이터 신규 수요는 한해 천7백 대 정도.

여기다 국내 설치된 4만 천 대 가운데 수선이나 교체가 필요한 20년 지난 에스컬레이터도 8천 대입니다.

국내 시장 안착을 통해 세계 에스컬레이터 시장 진출을 목표로, 우리나라 에스컬레이터 산업이 재도약의 출발점에 섰습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