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터 없이 전기로 초미세먼지 대량 제거”…‘저비용 친환경’ 기술 선봬
입력 2025.03.25 (07:38)
수정 2025.03.25 (07: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봄철 불청객 황사가 찾아오면서 미세먼지가 나쁨 수준을 보였는데요.
오늘도 상황은 비슷하다고 합니다.
이처럼 일상이 돼버린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새로운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습니다.
정전기를 활용해 필터 없이도 초미세먼지를 대폭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강나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하철 터널 옆의 미세먼지 저감 장치.
작동 버튼을 누르자, '나쁨' 수준이던 초미세먼지 수치가 떨어집니다.
보시는 것처럼 제 몸보다 훨씬 큰 이 장치는 일종의 대형 공기청정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가장 큰 특징은 필터 없이도, 초미세먼지를 크게 저감할 수 있다는 겁니다.
세 단계를 거쳐 작동되는데, 먼저 이 장치에 전기를 흘려보내 미세먼지가 음의 성질을 띠게 합니다.
그다음, 이 먼지들이 양의 성질을 가진 '집진판'에 들러붙게 되고, 빨아들인 미세먼지는 마치 청소기 안 먼지처럼 뭉쳐지는데, 장치 안에 보관하다 일반 쓰레기처럼 버리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미세먼지 흡입 과정에서 필터를 쓰지 않아도 돼 교체 비용이 들지 않습니다.
낮은 전력으로 작동이 가능한 만큼, 전기료를 아낄 수 있습니다.
[류석현/한국기계연구원장 : "필터가 없습니다. 저전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지 보수가 쉬워요. 그렇기 때문에 기존 기술에 대해서 경제성이 최소 30% 이상 향상될 것으로…."]
또 이 기술을 활용하면 미세먼지 저감 과정에서 생기는 오존의 발생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저비용, 친환경 기술로 불리는 이유입니다.
[김학준/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 "오존이라고 하는 오염원이 발생되기 때문에 그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이 기술을 적용할 수 없었는데, 저희가 이번에 극세사 전극과 비금속 집진판을 활용해서 그런 문제를 해결했다고…."]
기계연구원은 현재 해당 기술에 대한 지하철 인증 작업을 완료했고, 학교와 백화점에서도 실증 시험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촬영기자:김태현/영상편집:김근환/그래픽:최창준
봄철 불청객 황사가 찾아오면서 미세먼지가 나쁨 수준을 보였는데요.
오늘도 상황은 비슷하다고 합니다.
이처럼 일상이 돼버린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새로운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습니다.
정전기를 활용해 필터 없이도 초미세먼지를 대폭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강나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하철 터널 옆의 미세먼지 저감 장치.
작동 버튼을 누르자, '나쁨' 수준이던 초미세먼지 수치가 떨어집니다.
보시는 것처럼 제 몸보다 훨씬 큰 이 장치는 일종의 대형 공기청정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가장 큰 특징은 필터 없이도, 초미세먼지를 크게 저감할 수 있다는 겁니다.
세 단계를 거쳐 작동되는데, 먼저 이 장치에 전기를 흘려보내 미세먼지가 음의 성질을 띠게 합니다.
그다음, 이 먼지들이 양의 성질을 가진 '집진판'에 들러붙게 되고, 빨아들인 미세먼지는 마치 청소기 안 먼지처럼 뭉쳐지는데, 장치 안에 보관하다 일반 쓰레기처럼 버리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미세먼지 흡입 과정에서 필터를 쓰지 않아도 돼 교체 비용이 들지 않습니다.
낮은 전력으로 작동이 가능한 만큼, 전기료를 아낄 수 있습니다.
[류석현/한국기계연구원장 : "필터가 없습니다. 저전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지 보수가 쉬워요. 그렇기 때문에 기존 기술에 대해서 경제성이 최소 30% 이상 향상될 것으로…."]
또 이 기술을 활용하면 미세먼지 저감 과정에서 생기는 오존의 발생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저비용, 친환경 기술로 불리는 이유입니다.
[김학준/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 "오존이라고 하는 오염원이 발생되기 때문에 그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이 기술을 적용할 수 없었는데, 저희가 이번에 극세사 전극과 비금속 집진판을 활용해서 그런 문제를 해결했다고…."]
기계연구원은 현재 해당 기술에 대한 지하철 인증 작업을 완료했고, 학교와 백화점에서도 실증 시험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촬영기자:김태현/영상편집:김근환/그래픽: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필터 없이 전기로 초미세먼지 대량 제거”…‘저비용 친환경’ 기술 선봬
-
- 입력 2025-03-25 07:38:46
- 수정2025-03-25 07:52:06

[앵커]
봄철 불청객 황사가 찾아오면서 미세먼지가 나쁨 수준을 보였는데요.
오늘도 상황은 비슷하다고 합니다.
이처럼 일상이 돼버린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새로운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습니다.
정전기를 활용해 필터 없이도 초미세먼지를 대폭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강나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하철 터널 옆의 미세먼지 저감 장치.
작동 버튼을 누르자, '나쁨' 수준이던 초미세먼지 수치가 떨어집니다.
보시는 것처럼 제 몸보다 훨씬 큰 이 장치는 일종의 대형 공기청정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가장 큰 특징은 필터 없이도, 초미세먼지를 크게 저감할 수 있다는 겁니다.
세 단계를 거쳐 작동되는데, 먼저 이 장치에 전기를 흘려보내 미세먼지가 음의 성질을 띠게 합니다.
그다음, 이 먼지들이 양의 성질을 가진 '집진판'에 들러붙게 되고, 빨아들인 미세먼지는 마치 청소기 안 먼지처럼 뭉쳐지는데, 장치 안에 보관하다 일반 쓰레기처럼 버리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미세먼지 흡입 과정에서 필터를 쓰지 않아도 돼 교체 비용이 들지 않습니다.
낮은 전력으로 작동이 가능한 만큼, 전기료를 아낄 수 있습니다.
[류석현/한국기계연구원장 : "필터가 없습니다. 저전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지 보수가 쉬워요. 그렇기 때문에 기존 기술에 대해서 경제성이 최소 30% 이상 향상될 것으로…."]
또 이 기술을 활용하면 미세먼지 저감 과정에서 생기는 오존의 발생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저비용, 친환경 기술로 불리는 이유입니다.
[김학준/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 "오존이라고 하는 오염원이 발생되기 때문에 그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이 기술을 적용할 수 없었는데, 저희가 이번에 극세사 전극과 비금속 집진판을 활용해서 그런 문제를 해결했다고…."]
기계연구원은 현재 해당 기술에 대한 지하철 인증 작업을 완료했고, 학교와 백화점에서도 실증 시험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촬영기자:김태현/영상편집:김근환/그래픽:최창준
봄철 불청객 황사가 찾아오면서 미세먼지가 나쁨 수준을 보였는데요.
오늘도 상황은 비슷하다고 합니다.
이처럼 일상이 돼버린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새로운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습니다.
정전기를 활용해 필터 없이도 초미세먼지를 대폭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강나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하철 터널 옆의 미세먼지 저감 장치.
작동 버튼을 누르자, '나쁨' 수준이던 초미세먼지 수치가 떨어집니다.
보시는 것처럼 제 몸보다 훨씬 큰 이 장치는 일종의 대형 공기청정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가장 큰 특징은 필터 없이도, 초미세먼지를 크게 저감할 수 있다는 겁니다.
세 단계를 거쳐 작동되는데, 먼저 이 장치에 전기를 흘려보내 미세먼지가 음의 성질을 띠게 합니다.
그다음, 이 먼지들이 양의 성질을 가진 '집진판'에 들러붙게 되고, 빨아들인 미세먼지는 마치 청소기 안 먼지처럼 뭉쳐지는데, 장치 안에 보관하다 일반 쓰레기처럼 버리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미세먼지 흡입 과정에서 필터를 쓰지 않아도 돼 교체 비용이 들지 않습니다.
낮은 전력으로 작동이 가능한 만큼, 전기료를 아낄 수 있습니다.
[류석현/한국기계연구원장 : "필터가 없습니다. 저전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지 보수가 쉬워요. 그렇기 때문에 기존 기술에 대해서 경제성이 최소 30% 이상 향상될 것으로…."]
또 이 기술을 활용하면 미세먼지 저감 과정에서 생기는 오존의 발생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저비용, 친환경 기술로 불리는 이유입니다.
[김학준/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 "오존이라고 하는 오염원이 발생되기 때문에 그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이 기술을 적용할 수 없었는데, 저희가 이번에 극세사 전극과 비금속 집진판을 활용해서 그런 문제를 해결했다고…."]
기계연구원은 현재 해당 기술에 대한 지하철 인증 작업을 완료했고, 학교와 백화점에서도 실증 시험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촬영기자:김태현/영상편집:김근환/그래픽:최창준
-
-
강나루 기자 naru@kbs.co.kr
강나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