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전역 이용객 급증…‘복합환승센터’ 재추진
입력 2025.03.31 (08:28)
수정 2025.03.31 (09: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부전역 이용객의 증가세가 뚜렷합니다.
서울과 강원도를 잇는 열차 편이 잇따라 생겼기 때문인데요,
이번 기회에 '부전역 복합환승센터'를 다시 추진하자는 요구가 많습니다.
15년째 표류 중인 복합환승센터, 올해는 가능할까요?
최위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청량리와 강원도 강릉행 열차가 새로 생긴 부산 부전역입니다.
평일 낮인데도 열차 이용객들로 붐빕니다.
[최경집/강원도 삼척시 : "시간도 많이 절약되고 지하철역하고 바로 연결되니까 다른 데로 이동하기도 쉬운 거 같아요."]
지난 1월 부전역 열차 이용객은 5만여 명으로, 전달보다 2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이용객 증가세가 이어지자, 작고 불편한 부전역에 복합환승센터를 새로 짓자는 움직임이 일고 있습니다.
가장 큰 걸림돌은 1조 원이 넘는 건립 비용.
민간 자본 유치가 필수입니다.
하지만 지금보다 역 이용객이 40~50배 더 늘어야 사업성이 확보되는 상황입니다.
역 이용객을 크게 늘리는 방법은 '고속철 열차'만 한 게 없습니다.
부산시와 부산진구는 이곳 부전역에 경부선 KTX 열차 정차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부산진구는 올해 말 발표될 국토교통부의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KTX역 신설 등을 반영해달라고 요청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100만 명 서명 운동에 들어갔습니다.
[김재선/부산진구 미래창조과장 : "저희가 인근 지자체와 함께 서명 운동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 목소리를 모아서 저희가 4월 말까지 국토부에 제출할 예정입니다."]
부산진구는 이번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부전역 KTX 정차가 반영되지 않는다면, 그 대안으로, 수서행 SRT 열차를 유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최위지입니다.
촬영기자:이한범/그래픽:김명진
최근 부전역 이용객의 증가세가 뚜렷합니다.
서울과 강원도를 잇는 열차 편이 잇따라 생겼기 때문인데요,
이번 기회에 '부전역 복합환승센터'를 다시 추진하자는 요구가 많습니다.
15년째 표류 중인 복합환승센터, 올해는 가능할까요?
최위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청량리와 강원도 강릉행 열차가 새로 생긴 부산 부전역입니다.
평일 낮인데도 열차 이용객들로 붐빕니다.
[최경집/강원도 삼척시 : "시간도 많이 절약되고 지하철역하고 바로 연결되니까 다른 데로 이동하기도 쉬운 거 같아요."]
지난 1월 부전역 열차 이용객은 5만여 명으로, 전달보다 2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이용객 증가세가 이어지자, 작고 불편한 부전역에 복합환승센터를 새로 짓자는 움직임이 일고 있습니다.
가장 큰 걸림돌은 1조 원이 넘는 건립 비용.
민간 자본 유치가 필수입니다.
하지만 지금보다 역 이용객이 40~50배 더 늘어야 사업성이 확보되는 상황입니다.
역 이용객을 크게 늘리는 방법은 '고속철 열차'만 한 게 없습니다.
부산시와 부산진구는 이곳 부전역에 경부선 KTX 열차 정차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부산진구는 올해 말 발표될 국토교통부의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KTX역 신설 등을 반영해달라고 요청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100만 명 서명 운동에 들어갔습니다.
[김재선/부산진구 미래창조과장 : "저희가 인근 지자체와 함께 서명 운동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 목소리를 모아서 저희가 4월 말까지 국토부에 제출할 예정입니다."]
부산진구는 이번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부전역 KTX 정차가 반영되지 않는다면, 그 대안으로, 수서행 SRT 열차를 유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최위지입니다.
촬영기자:이한범/그래픽:김명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전역 이용객 급증…‘복합환승센터’ 재추진
-
- 입력 2025-03-31 08:28:59
- 수정2025-03-31 09:14:35

[앵커]
최근 부전역 이용객의 증가세가 뚜렷합니다.
서울과 강원도를 잇는 열차 편이 잇따라 생겼기 때문인데요,
이번 기회에 '부전역 복합환승센터'를 다시 추진하자는 요구가 많습니다.
15년째 표류 중인 복합환승센터, 올해는 가능할까요?
최위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청량리와 강원도 강릉행 열차가 새로 생긴 부산 부전역입니다.
평일 낮인데도 열차 이용객들로 붐빕니다.
[최경집/강원도 삼척시 : "시간도 많이 절약되고 지하철역하고 바로 연결되니까 다른 데로 이동하기도 쉬운 거 같아요."]
지난 1월 부전역 열차 이용객은 5만여 명으로, 전달보다 2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이용객 증가세가 이어지자, 작고 불편한 부전역에 복합환승센터를 새로 짓자는 움직임이 일고 있습니다.
가장 큰 걸림돌은 1조 원이 넘는 건립 비용.
민간 자본 유치가 필수입니다.
하지만 지금보다 역 이용객이 40~50배 더 늘어야 사업성이 확보되는 상황입니다.
역 이용객을 크게 늘리는 방법은 '고속철 열차'만 한 게 없습니다.
부산시와 부산진구는 이곳 부전역에 경부선 KTX 열차 정차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부산진구는 올해 말 발표될 국토교통부의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KTX역 신설 등을 반영해달라고 요청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100만 명 서명 운동에 들어갔습니다.
[김재선/부산진구 미래창조과장 : "저희가 인근 지자체와 함께 서명 운동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 목소리를 모아서 저희가 4월 말까지 국토부에 제출할 예정입니다."]
부산진구는 이번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부전역 KTX 정차가 반영되지 않는다면, 그 대안으로, 수서행 SRT 열차를 유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최위지입니다.
촬영기자:이한범/그래픽:김명진
최근 부전역 이용객의 증가세가 뚜렷합니다.
서울과 강원도를 잇는 열차 편이 잇따라 생겼기 때문인데요,
이번 기회에 '부전역 복합환승센터'를 다시 추진하자는 요구가 많습니다.
15년째 표류 중인 복합환승센터, 올해는 가능할까요?
최위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청량리와 강원도 강릉행 열차가 새로 생긴 부산 부전역입니다.
평일 낮인데도 열차 이용객들로 붐빕니다.
[최경집/강원도 삼척시 : "시간도 많이 절약되고 지하철역하고 바로 연결되니까 다른 데로 이동하기도 쉬운 거 같아요."]
지난 1월 부전역 열차 이용객은 5만여 명으로, 전달보다 2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이용객 증가세가 이어지자, 작고 불편한 부전역에 복합환승센터를 새로 짓자는 움직임이 일고 있습니다.
가장 큰 걸림돌은 1조 원이 넘는 건립 비용.
민간 자본 유치가 필수입니다.
하지만 지금보다 역 이용객이 40~50배 더 늘어야 사업성이 확보되는 상황입니다.
역 이용객을 크게 늘리는 방법은 '고속철 열차'만 한 게 없습니다.
부산시와 부산진구는 이곳 부전역에 경부선 KTX 열차 정차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부산진구는 올해 말 발표될 국토교통부의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KTX역 신설 등을 반영해달라고 요청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100만 명 서명 운동에 들어갔습니다.
[김재선/부산진구 미래창조과장 : "저희가 인근 지자체와 함께 서명 운동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 목소리를 모아서 저희가 4월 말까지 국토부에 제출할 예정입니다."]
부산진구는 이번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부전역 KTX 정차가 반영되지 않는다면, 그 대안으로, 수서행 SRT 열차를 유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최위지입니다.
촬영기자:이한범/그래픽:김명진
-
-
최위지 기자 allways@kbs.co.kr
최위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