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첫날, 주가 3%↓…외국인 돌아올까

입력 2025.04.01 (06:26) 수정 2025.04.01 (08: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세계 주요국 중 우리만 전면 금지해 온 '공매도'가 어제 재개됐습니다.

떠나간 외국인 투자자를 불러들이려면 필요한 조치지만, 첫 날 주가 흐름은 썩 좋지 않았습니다.

최인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SK하이닉스 -4%, 포스코퓨처엠 -6% 등.

공매도 첫날 반도체와 이차전지 대형주들이 급락했습니다.

공매도는 주식을 빌려서 팔고 나중에 사서 갚는 투자 전략입니다.

주당 만 원인 주식을 남에게 빌려와 팔면, 일단 만 원이 손에 들어옵니다.

이후 주가가 9천 원이 됐을 때 되사서 갚으면 되니 천 원 차익이 남는 식입니다.

문제는 빌려오지도 않고 파는 '무차입' 공매도인데, 걸러낼 수 있게 됐습니다.

[정은보/한국거래소 이사장/지난달 19일 : "불법 공매도는 주문을 낼 때 무차입인지 여부가 탐지가 되어야 한다. 한국거래소가 전산적 해결을 해보겠다."]

공매도는 특정 주가가 과열될 때 적정가로 식혀줄 수 있습니다.

주요국도 모두 허용합니다.

특정 종목에 물량이 몰리면 시장 불안이 커질 수 있지만, 불법만 거를 수 있다면 한국 증시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습니다.

[김학균/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 : "공매도 타깃이 되면 주가는 조정을 받겠지만, 대체로 반대편에서는 사는 힘도 존재하니까 시장 전체적으로는 중립이라고 봐야 하지 않을까."]

공매도를 막았다 풀었던 앞선 3차례를 분석해 보면, 재개 후 60일 동안 코스피는 평균 8.9% 올랐습니다.

첫날 공매도 거래 규모는 1조 7천억 원으로 외국인이 90%를 차지했습니다.

어제 코스피는 3% 급락했고, 원·달러 환율은 1,472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KBS 뉴스 최인영입니다.

촬영기자:조영천 지선호 황종원/영상편집:김인수/그래픽:박미주 이호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매도 첫날, 주가 3%↓…외국인 돌아올까
    • 입력 2025-04-01 06:26:06
    • 수정2025-04-01 08:01:17
    뉴스광장 1부
[앵커]

세계 주요국 중 우리만 전면 금지해 온 '공매도'가 어제 재개됐습니다.

떠나간 외국인 투자자를 불러들이려면 필요한 조치지만, 첫 날 주가 흐름은 썩 좋지 않았습니다.

최인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SK하이닉스 -4%, 포스코퓨처엠 -6% 등.

공매도 첫날 반도체와 이차전지 대형주들이 급락했습니다.

공매도는 주식을 빌려서 팔고 나중에 사서 갚는 투자 전략입니다.

주당 만 원인 주식을 남에게 빌려와 팔면, 일단 만 원이 손에 들어옵니다.

이후 주가가 9천 원이 됐을 때 되사서 갚으면 되니 천 원 차익이 남는 식입니다.

문제는 빌려오지도 않고 파는 '무차입' 공매도인데, 걸러낼 수 있게 됐습니다.

[정은보/한국거래소 이사장/지난달 19일 : "불법 공매도는 주문을 낼 때 무차입인지 여부가 탐지가 되어야 한다. 한국거래소가 전산적 해결을 해보겠다."]

공매도는 특정 주가가 과열될 때 적정가로 식혀줄 수 있습니다.

주요국도 모두 허용합니다.

특정 종목에 물량이 몰리면 시장 불안이 커질 수 있지만, 불법만 거를 수 있다면 한국 증시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습니다.

[김학균/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 : "공매도 타깃이 되면 주가는 조정을 받겠지만, 대체로 반대편에서는 사는 힘도 존재하니까 시장 전체적으로는 중립이라고 봐야 하지 않을까."]

공매도를 막았다 풀었던 앞선 3차례를 분석해 보면, 재개 후 60일 동안 코스피는 평균 8.9% 올랐습니다.

첫날 공매도 거래 규모는 1조 7천억 원으로 외국인이 90%를 차지했습니다.

어제 코스피는 3% 급락했고, 원·달러 환율은 1,472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KBS 뉴스 최인영입니다.

촬영기자:조영천 지선호 황종원/영상편집:김인수/그래픽:박미주 이호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