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이경제] 역대 최악의 산불…산불의 거시경제적 영향은?
입력 2025.04.02 (19:15)
수정 2025.04.02 (20: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치 있는 소비를 위해 생활 속 경제 이슈를 짚어보는 '같이경제' 시간입니다.
최근 발생한 산불이 경북 5개 시군에 막대한 피해를 주면서 '역대 최악의 산불'로 평가되고 있죠.
최근 30년간 발생한 전국 산불 현황을 봐도 경북의 피해는 두드러지는데요.
1995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국 산불 사망자는 240명으로, 이 중 경북이 43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같은 기간 재산 피해도 경북이 전국 피해액의 절반가량을 차지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이번 산불로 경북에서만 27명이 숨지며 연간 산불 사망자수가 가장 많았던 1995년 25명 기록을 넘어섰고요.
지금까지 파악된 산불영향구역은 4만 5천여 헥타르로 역대 최대입니다.
이것 역시 잠정 집계일 뿐이고, 정밀조사가 이뤄지면 피해는 더 커질 것으로 보이는데요.
문제는 산불이 직접피해를 넘어서 진화비용과 복구비용 등 다양한 형태로 경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겁니다.
구체적으로 보면요.
우선 인명, 주택, 산림 등의 직접적인 피해가 있고요.
산불 진화를 위해 투입된 인력과 장비 등 진화비용과 피해 시설 등의 복구 비용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산불 피해는 임산물을 중간재로 활용하는 종이와 인쇄, 음식료품 등 전후방 산업에 타격을 주고요.
전국적으로 축제나 행사 등이 취소되면서 관광객이 줄고 지역경제도 침체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외에도 거시경제효과로 국내총생산이나 소비자 후생 측면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그런데 산불로 인한 거시경제적 영향을 다룬 연구는 거의 없습니다.
그나마 2019년 한국방재학회에서 발표한 논문을 보면요.
2017년 산불로 인한 직접피해액은 173억 원, 복구비용 27억 원, 진화비용 450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거시경제와 산업부문에서는 소비자후생이 372억 원, 국내총생산이 350억 원 줄면서 직간접 손실을 포함한 총 사회적비용은 천 372억 원으로 추정됐습니다.
단순 계산만 해도 총 사회적비용은 직접 피해액의 8배 수준인데요.
다만 이 연구는 2017년 한 해를 기준으로 한 것이고, 산림이 주는 심리적 효과나 복구까지 걸리는 시간이 제외된 점 등에 한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분명한 건 산불로 인한 사회적 총비용은 예방과 진화 같은 관리비용과 반비례한다는 건데요.
이 때문에 논문에서는 정부가 예산을 투입해 최적의 예방, 진화 비용으로 산불 손실을 최소화 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산불은 직접 피해만 이미 '역대급'으로 총 사회적 비용은 가늠도 되지 않습니다.
신속한 복구와 일상회복과 함께 산림재해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철저한 연구와 분석도 늦지 않게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같이경제' 오아영입니다.
그래픽:김현정
최근 발생한 산불이 경북 5개 시군에 막대한 피해를 주면서 '역대 최악의 산불'로 평가되고 있죠.
최근 30년간 발생한 전국 산불 현황을 봐도 경북의 피해는 두드러지는데요.
1995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국 산불 사망자는 240명으로, 이 중 경북이 43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같은 기간 재산 피해도 경북이 전국 피해액의 절반가량을 차지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이번 산불로 경북에서만 27명이 숨지며 연간 산불 사망자수가 가장 많았던 1995년 25명 기록을 넘어섰고요.
지금까지 파악된 산불영향구역은 4만 5천여 헥타르로 역대 최대입니다.
이것 역시 잠정 집계일 뿐이고, 정밀조사가 이뤄지면 피해는 더 커질 것으로 보이는데요.
문제는 산불이 직접피해를 넘어서 진화비용과 복구비용 등 다양한 형태로 경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겁니다.
구체적으로 보면요.
우선 인명, 주택, 산림 등의 직접적인 피해가 있고요.
산불 진화를 위해 투입된 인력과 장비 등 진화비용과 피해 시설 등의 복구 비용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산불 피해는 임산물을 중간재로 활용하는 종이와 인쇄, 음식료품 등 전후방 산업에 타격을 주고요.
전국적으로 축제나 행사 등이 취소되면서 관광객이 줄고 지역경제도 침체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외에도 거시경제효과로 국내총생산이나 소비자 후생 측면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그런데 산불로 인한 거시경제적 영향을 다룬 연구는 거의 없습니다.
그나마 2019년 한국방재학회에서 발표한 논문을 보면요.
2017년 산불로 인한 직접피해액은 173억 원, 복구비용 27억 원, 진화비용 450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거시경제와 산업부문에서는 소비자후생이 372억 원, 국내총생산이 350억 원 줄면서 직간접 손실을 포함한 총 사회적비용은 천 372억 원으로 추정됐습니다.
단순 계산만 해도 총 사회적비용은 직접 피해액의 8배 수준인데요.
다만 이 연구는 2017년 한 해를 기준으로 한 것이고, 산림이 주는 심리적 효과나 복구까지 걸리는 시간이 제외된 점 등에 한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분명한 건 산불로 인한 사회적 총비용은 예방과 진화 같은 관리비용과 반비례한다는 건데요.
이 때문에 논문에서는 정부가 예산을 투입해 최적의 예방, 진화 비용으로 산불 손실을 최소화 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산불은 직접 피해만 이미 '역대급'으로 총 사회적 비용은 가늠도 되지 않습니다.
신속한 복구와 일상회복과 함께 산림재해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철저한 연구와 분석도 늦지 않게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같이경제' 오아영입니다.
그래픽:김현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같이경제] 역대 최악의 산불…산불의 거시경제적 영향은?
-
- 입력 2025-04-02 19:15:55
- 수정2025-04-02 20:03:35

가치 있는 소비를 위해 생활 속 경제 이슈를 짚어보는 '같이경제' 시간입니다.
최근 발생한 산불이 경북 5개 시군에 막대한 피해를 주면서 '역대 최악의 산불'로 평가되고 있죠.
최근 30년간 발생한 전국 산불 현황을 봐도 경북의 피해는 두드러지는데요.
1995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국 산불 사망자는 240명으로, 이 중 경북이 43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같은 기간 재산 피해도 경북이 전국 피해액의 절반가량을 차지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이번 산불로 경북에서만 27명이 숨지며 연간 산불 사망자수가 가장 많았던 1995년 25명 기록을 넘어섰고요.
지금까지 파악된 산불영향구역은 4만 5천여 헥타르로 역대 최대입니다.
이것 역시 잠정 집계일 뿐이고, 정밀조사가 이뤄지면 피해는 더 커질 것으로 보이는데요.
문제는 산불이 직접피해를 넘어서 진화비용과 복구비용 등 다양한 형태로 경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겁니다.
구체적으로 보면요.
우선 인명, 주택, 산림 등의 직접적인 피해가 있고요.
산불 진화를 위해 투입된 인력과 장비 등 진화비용과 피해 시설 등의 복구 비용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산불 피해는 임산물을 중간재로 활용하는 종이와 인쇄, 음식료품 등 전후방 산업에 타격을 주고요.
전국적으로 축제나 행사 등이 취소되면서 관광객이 줄고 지역경제도 침체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외에도 거시경제효과로 국내총생산이나 소비자 후생 측면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그런데 산불로 인한 거시경제적 영향을 다룬 연구는 거의 없습니다.
그나마 2019년 한국방재학회에서 발표한 논문을 보면요.
2017년 산불로 인한 직접피해액은 173억 원, 복구비용 27억 원, 진화비용 450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거시경제와 산업부문에서는 소비자후생이 372억 원, 국내총생산이 350억 원 줄면서 직간접 손실을 포함한 총 사회적비용은 천 372억 원으로 추정됐습니다.
단순 계산만 해도 총 사회적비용은 직접 피해액의 8배 수준인데요.
다만 이 연구는 2017년 한 해를 기준으로 한 것이고, 산림이 주는 심리적 효과나 복구까지 걸리는 시간이 제외된 점 등에 한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분명한 건 산불로 인한 사회적 총비용은 예방과 진화 같은 관리비용과 반비례한다는 건데요.
이 때문에 논문에서는 정부가 예산을 투입해 최적의 예방, 진화 비용으로 산불 손실을 최소화 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산불은 직접 피해만 이미 '역대급'으로 총 사회적 비용은 가늠도 되지 않습니다.
신속한 복구와 일상회복과 함께 산림재해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철저한 연구와 분석도 늦지 않게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같이경제' 오아영입니다.
그래픽:김현정
최근 발생한 산불이 경북 5개 시군에 막대한 피해를 주면서 '역대 최악의 산불'로 평가되고 있죠.
최근 30년간 발생한 전국 산불 현황을 봐도 경북의 피해는 두드러지는데요.
1995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국 산불 사망자는 240명으로, 이 중 경북이 43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같은 기간 재산 피해도 경북이 전국 피해액의 절반가량을 차지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이번 산불로 경북에서만 27명이 숨지며 연간 산불 사망자수가 가장 많았던 1995년 25명 기록을 넘어섰고요.
지금까지 파악된 산불영향구역은 4만 5천여 헥타르로 역대 최대입니다.
이것 역시 잠정 집계일 뿐이고, 정밀조사가 이뤄지면 피해는 더 커질 것으로 보이는데요.
문제는 산불이 직접피해를 넘어서 진화비용과 복구비용 등 다양한 형태로 경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겁니다.
구체적으로 보면요.
우선 인명, 주택, 산림 등의 직접적인 피해가 있고요.
산불 진화를 위해 투입된 인력과 장비 등 진화비용과 피해 시설 등의 복구 비용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산불 피해는 임산물을 중간재로 활용하는 종이와 인쇄, 음식료품 등 전후방 산업에 타격을 주고요.
전국적으로 축제나 행사 등이 취소되면서 관광객이 줄고 지역경제도 침체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외에도 거시경제효과로 국내총생산이나 소비자 후생 측면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그런데 산불로 인한 거시경제적 영향을 다룬 연구는 거의 없습니다.
그나마 2019년 한국방재학회에서 발표한 논문을 보면요.
2017년 산불로 인한 직접피해액은 173억 원, 복구비용 27억 원, 진화비용 450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거시경제와 산업부문에서는 소비자후생이 372억 원, 국내총생산이 350억 원 줄면서 직간접 손실을 포함한 총 사회적비용은 천 372억 원으로 추정됐습니다.
단순 계산만 해도 총 사회적비용은 직접 피해액의 8배 수준인데요.
다만 이 연구는 2017년 한 해를 기준으로 한 것이고, 산림이 주는 심리적 효과나 복구까지 걸리는 시간이 제외된 점 등에 한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분명한 건 산불로 인한 사회적 총비용은 예방과 진화 같은 관리비용과 반비례한다는 건데요.
이 때문에 논문에서는 정부가 예산을 투입해 최적의 예방, 진화 비용으로 산불 손실을 최소화 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산불은 직접 피해만 이미 '역대급'으로 총 사회적 비용은 가늠도 되지 않습니다.
신속한 복구와 일상회복과 함께 산림재해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철저한 연구와 분석도 늦지 않게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같이경제' 오아영입니다.
그래픽:김현정
-
-
오아영 기자 ayoung@kbs.co.kr
오아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영남권 최악의 산불…피해 복구 총력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