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안동] 산불 피해 농업시설물 사후 관리 필요 외

입력 2025.04.03 (19:23) 수정 2025.04.03 (19: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 산불과 강풍으로 피해를 입은 농업시설물에 대한 신속한 사후관리가 필요합니다.

비닐이 찢어진 시설하우스는 신속히 보수해 저온과 바람 피해를 최소화하고, 부직포나 커튼 등의 보온 덮개를 보강해 보온력을 높여야 합니다.

또 재와 흙먼지 발생으로 시설하우스에 일조 부족이 우려됨에 따라 수용성 세제 용액으로 세척하고, 2~3일 뒤에 물로 한번 더 씻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영양 산불 피해 농가에 농기계 무상 대여

영양군이 산불피해농가에 대해 재난 종료시까지 농기계를 무상 대여해 주기로 했습니다.

영양군 농기계임대사업소는 임대농기계 무상지원 특별창구를 마련하고 산불 피해사실이 확인된 농가에 농기계 임대사용료와 운반 대행료를 전액 감면해 줍니다.

영양군은 이를 위해 군비 4억원으로 트랙터 등 10종류, 64대의 농기계를 긴급하게 추가 구입했고, 예천군과 울진군으로부터 9대의 농기계를 지원받았습니다.

문경에 영남진폐재해자복지회관 문 열어

영남진폐재해자복지회관이 문경시에 문을 열었습니다.

영남진폐재해자복지회관은 2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돼 지상 2층, 연면적 384㎡ 규모로 조성돼 민원상담실과 건강지원실 등을 갖췄습니다.

복지회관은 앞으로 진폐재해자들의 건강 증진과 사회참여를 지원하고, 서로 소통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공간으로 운영될 예정입니다.

경북교육청, 농어촌 통학 지원 확대

경북교육청이 농어촌 지역 학생들의 통학지원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경북교육청은 올해 농어촌 지역 내 유치원 한 곳과 초등학교와 중학교 각 세 곳 등 7개 학교를 대상으로 에듀버스 5대와 택시 7대를 추가 지원합니다.

이와 함께, 학생 통학 지원에 관한 조례를 개정해 구체적인 지원대상을 명문화했고, 학교 간 통학버스 공동이용 활성화를 위해 교육장이 통학버스 노선 조정을 권고할 수 있도록 근거를 신설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기는 안동] 산불 피해 농업시설물 사후 관리 필요 외
    • 입력 2025-04-03 19:23:17
    • 수정2025-04-03 19:43:25
    뉴스7(대구)
이번 산불과 강풍으로 피해를 입은 농업시설물에 대한 신속한 사후관리가 필요합니다.

비닐이 찢어진 시설하우스는 신속히 보수해 저온과 바람 피해를 최소화하고, 부직포나 커튼 등의 보온 덮개를 보강해 보온력을 높여야 합니다.

또 재와 흙먼지 발생으로 시설하우스에 일조 부족이 우려됨에 따라 수용성 세제 용액으로 세척하고, 2~3일 뒤에 물로 한번 더 씻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영양 산불 피해 농가에 농기계 무상 대여

영양군이 산불피해농가에 대해 재난 종료시까지 농기계를 무상 대여해 주기로 했습니다.

영양군 농기계임대사업소는 임대농기계 무상지원 특별창구를 마련하고 산불 피해사실이 확인된 농가에 농기계 임대사용료와 운반 대행료를 전액 감면해 줍니다.

영양군은 이를 위해 군비 4억원으로 트랙터 등 10종류, 64대의 농기계를 긴급하게 추가 구입했고, 예천군과 울진군으로부터 9대의 농기계를 지원받았습니다.

문경에 영남진폐재해자복지회관 문 열어

영남진폐재해자복지회관이 문경시에 문을 열었습니다.

영남진폐재해자복지회관은 2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돼 지상 2층, 연면적 384㎡ 규모로 조성돼 민원상담실과 건강지원실 등을 갖췄습니다.

복지회관은 앞으로 진폐재해자들의 건강 증진과 사회참여를 지원하고, 서로 소통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공간으로 운영될 예정입니다.

경북교육청, 농어촌 통학 지원 확대

경북교육청이 농어촌 지역 학생들의 통학지원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경북교육청은 올해 농어촌 지역 내 유치원 한 곳과 초등학교와 중학교 각 세 곳 등 7개 학교를 대상으로 에듀버스 5대와 택시 7대를 추가 지원합니다.

이와 함께, 학생 통학 지원에 관한 조례를 개정해 구체적인 지원대상을 명문화했고, 학교 간 통학버스 공동이용 활성화를 위해 교육장이 통학버스 노선 조정을 권고할 수 있도록 근거를 신설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