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특사 방미에 “신중한 낙관론…정상 간 통화 계획 없어”

입력 2025.04.04 (21:45) 수정 2025.04.04 (22: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러시아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해외투자·경제협력 특사의 미국 방문을 ‘신중한 낙관주의’라고 평가했습니다.

타스 통신에 따르면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현지시각 4일 브리핑에서 푸틴 대통령의 특사인 키릴 드미트리예프 러시아직접투자펀드(RDIF) 대표의 미국 방문에 대해 “신중한 낙관주의가 실제로 존재한다”고 말했습니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드미트리예프가 워싱턴에서 한 것과 같은 접촉은 매우 중요하다”며 “고통스러운 작업이 다양한 채널에서 진행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미·러 정상이 이번 주말 전이나 후에 통화할 수 있다는 폴리티코 보도에 대해서는 “아니다. 며칠 내에 그런 계획은 없다. 일정에 아무것도 없다”며 부인했습니다.

드미트리예프 특사는 지난 2∼3일 미국을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정부의 인사들과 미·러 관계와 우크라이나 종전 방안 등을 논의했습니다.

AFP,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드미트리예프 특사는 3일 미국·러시아 언론들과 인터뷰에서 미 정부와 희토류 개발 및 북극 협력을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논의했으며 양국 직항편 복원을 위해 작업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물론 다양한 측면에서 의견 불일치가 있지만 절차가 있고 대화가 있다. 우리가 알기로 이런 이견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드미트리예프 특사는 양국 간 ‘긍정적인 역동성’을 확인했다면서도 “(양국 간) 차이를 모두 해소하려면 일련의 회의가 여전히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우크라이나 문제와 관련해 그는 트럼프 정부와 여전히 견해차가 있지만 분쟁 종식을 위한 외교적 해결은 가능하다며 “어떻게 장기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지에 대해 생각하는 단계에 있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트럼프 팀이 제3차 세계대전 발발을 멈췄을 뿐 아니라 이미 우크라이나 해결에 상당한 진전을 달성했다는 것에 의문의 여지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트럼프 정부가 협상에서 우크라이나에 유리한 입지를 제공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을 불가능하다고 말했다고 전하기도 했습니다.

드미트리예프 특사는 친트럼프 성향의 케이블 뉴스 채널 뉴스맥스와도 인터뷰하고 트럼프 정부 막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화성 임무와 관련해 협력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또 미국 측 인사들의 러시아 방문을 초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러시아가 서방에 대러시아 경제 제재를 해제해달라고 요청하지는 않는다면서 “러시아인들은 러시아가 서방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는 데 제재가 도움이 됐다고 믿는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제재로 러시아에서 철수한 미국 회사가 오히려 약 3천억 달러의 잠재적 손해를 봤다며 “미국 회사가 러시아에 복귀하고 싶을 때 제재가 해제될 것으로 본다”고 했습니다.

[사진 출처 : 타스=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러, 특사 방미에 “신중한 낙관론…정상 간 통화 계획 없어”
    • 입력 2025-04-04 21:45:29
    • 수정2025-04-04 22:47:33
    국제
러시아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해외투자·경제협력 특사의 미국 방문을 ‘신중한 낙관주의’라고 평가했습니다.

타스 통신에 따르면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현지시각 4일 브리핑에서 푸틴 대통령의 특사인 키릴 드미트리예프 러시아직접투자펀드(RDIF) 대표의 미국 방문에 대해 “신중한 낙관주의가 실제로 존재한다”고 말했습니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드미트리예프가 워싱턴에서 한 것과 같은 접촉은 매우 중요하다”며 “고통스러운 작업이 다양한 채널에서 진행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미·러 정상이 이번 주말 전이나 후에 통화할 수 있다는 폴리티코 보도에 대해서는 “아니다. 며칠 내에 그런 계획은 없다. 일정에 아무것도 없다”며 부인했습니다.

드미트리예프 특사는 지난 2∼3일 미국을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정부의 인사들과 미·러 관계와 우크라이나 종전 방안 등을 논의했습니다.

AFP,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드미트리예프 특사는 3일 미국·러시아 언론들과 인터뷰에서 미 정부와 희토류 개발 및 북극 협력을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논의했으며 양국 직항편 복원을 위해 작업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물론 다양한 측면에서 의견 불일치가 있지만 절차가 있고 대화가 있다. 우리가 알기로 이런 이견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드미트리예프 특사는 양국 간 ‘긍정적인 역동성’을 확인했다면서도 “(양국 간) 차이를 모두 해소하려면 일련의 회의가 여전히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우크라이나 문제와 관련해 그는 트럼프 정부와 여전히 견해차가 있지만 분쟁 종식을 위한 외교적 해결은 가능하다며 “어떻게 장기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지에 대해 생각하는 단계에 있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트럼프 팀이 제3차 세계대전 발발을 멈췄을 뿐 아니라 이미 우크라이나 해결에 상당한 진전을 달성했다는 것에 의문의 여지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트럼프 정부가 협상에서 우크라이나에 유리한 입지를 제공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을 불가능하다고 말했다고 전하기도 했습니다.

드미트리예프 특사는 친트럼프 성향의 케이블 뉴스 채널 뉴스맥스와도 인터뷰하고 트럼프 정부 막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화성 임무와 관련해 협력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또 미국 측 인사들의 러시아 방문을 초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러시아가 서방에 대러시아 경제 제재를 해제해달라고 요청하지는 않는다면서 “러시아인들은 러시아가 서방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는 데 제재가 도움이 됐다고 믿는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제재로 러시아에서 철수한 미국 회사가 오히려 약 3천억 달러의 잠재적 손해를 봤다며 “미국 회사가 러시아에 복귀하고 싶을 때 제재가 해제될 것으로 본다”고 했습니다.

[사진 출처 : 타스=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